설치 / 사용기

기 타 OKR PE 설명의 글

2023.08.15 16:31

집앞의_큰나무 조회:1536 추천:155

  

  사용 중인 윈도우를 wim파일로 백업했을 경우 

딱 한가지 좋은점이 있는데    윈도우 설치툴로 설치를 할 수 있다는점 입니다.

그외 wim파일을 마운트해서 수정하는것도 되니까 또다른 장점이기도합니다.

 

그동안 몇차례 언급을 했었습니다만 글이라는것이 항상 부족하기 마련이므로 한번더 포인트만 짚어봅니다.

최근 메인보드는 UEFI방식 기본값이 주류이므로 이설명도 UEFI방식에 해당됩니다.

 

먼저 OKR PE로 부팅하면 백업은

바탕화면에 있는 "윈도 백업"으로 백업을 합니다. 

5개까지 증분 백업이되며  5회 이상 백업을 하게되면 기존 파일은 날짜 파일로 바뀌고 새로운 백업을 합니다.

 

   주의 사항으로는 윈도우 파티션이 두개이상일때 내가 백업하려고하는 파티션이 C:로 할당이 되었는지 확인해야하며

   다른 드라이브로 할당이 되어 있다면 우클릭 메뉴로 C: 할당을 해준다음 백업을 하여야

   남의 다리를 긁는일이 없습니다.

1.png

 

 

백업 본이 저장될 파티션을 지정해줍니다.

시작이 되면 약간의 딜레이가 있으며

지정한 파티션에 scratch 폴더가 생기는데 메모리 폭주를 막아주는 폴더이며 완료 이후 삭제됩니다.

C: 파티션 윈도우는  선택한 드라이브 DISM_Backup 폴더에  C_Backup.wim파일로 백업됩니다.

2.png

3.png

4.png

 

======백업 완료==========================

 

 

 

윈도 복원

사용 중인 윈도우를 복원하는것이므로

       ESP파티션이 유지되고 있을테니   바탕 화면의 "윈도 복원"으로 복원하면 됩니다.

       확인 방법은   우클릭 메뉴에서 "숨김파일 및 폴더"를 누르면 ESP 파티션이 보입니다.

       이때 거의 대부분 하나면 Z로  둘이면 Z , W로 보일것입니다.

5.png

 

 

==========그러나 =========

 

파티션 작업을 다시 했을 경우

ESP파티션도 포맷되었을것이므로

이런 경우는 WinNTSetup으로 설치하시라는것 입니다.

Legacy방식의 백업본이든 UEFI방식의 백업본이든 무관하며 부팅방식에 맞춰서 설치하면 됩니다.

또한 다른 시스템에 설치하고 드라이버를 지워주면 (특히 그래픽 드라이버를)  깔끔한 부팅을 합니다.

 

       내장된 스크립트형 P-Q-S 파티션툴로 작업했다고 가정할때

      "전체 디스크 할당"을 선택했다면 그림처럼  P와 S로 분할됩니다.

      기타 나부래기 파티션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합니다.

6.png

 

7.png

8.png

 

 

 

 

 

 

백업되었던 C_Backup.wim파일을 찾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만약 증분 백업본이라면 인덱스 선택을 해줍니다.

 

          P-Q-S 파티션 툴로 작업한경우이므로

          부트 드라이브 위치는 S이며

          설치 드라이브 위치는 P입니다.

          

9.png

 

10.png

 

 

 

 

 

혹시라도 ESP파티션 선택이 잘못되었다든가  실수로 지웠다든가.

파티션 작업 이후 윈도 복원으로 복원했다면  EFI 관련 파일들이 없어서 부팅을 못하게 되므로

런처를 띠워서 ESP파티션을 재생하면 됩니다.

 

     diskpart에서의  ESP파티션 표시는 Windows 파티션 곁에 표시되므로 볼륨 번호 선택은 쉽습니다.

 

2023-08-15_065556.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373 제트오디오 사용기.. [9] 나그네켄신 4810 0 10-30
10372 트위터로 PC 종료가 가능하게 하는 유틸 - TweetMyPC 사용기 [2] LiveREX 4004 0 10-30
10371 보급형 삼성 ssd 사용기... [6] 사나이 6464 0 10-31
10370 uTorrent의 메모리 폭식(暴食) [32] GodFather 17110 1 10-31
10369 Windows 7 Ultimate K x86 Lite [8] 난이나 팔 9242 0 11-01
10368 2008 R2 sp1 RC 실사용기 [2] 우금티 4046 0 11-02
10367 트루이미지 기대이상으로 정말 좋으네요. [10] 우유먹고만 7988 1 11-02
10366 테스트 [2] 공피 3532 0 11-03
10365 저사양에서 GPU가속 Chrome 9 vs. IE9 Beta [9] groovy 7523 0 11-04
10364 나의 Torrent 업/다운 최대 속도? [23] GodFather 7481 0 11-06
10363 e-SATA 외장 케이스 설치/사용기 [12] GodFather 8651 0 11-06
10362 [맞짱] 이미지 뷰어 (ACDSee, Picasa, FastStone, XnView, ... [67] 공피 16190 10 11-07
10361 설범 성공하신분.... [11] 기쁨두배 5946 0 11-07
10360 dvi도 음성신호 전송이 가능했군요. [3] 강종상 6154 0 11-08
10359 FastStone Capture 간단 사용기 [13] GodFather 5431 0 11-09
10358 [교환이후] LCD 모니터 MOTVCNC M2410 visual 설치/사용기 [34] GodFather 7212 0 11-14
10357 Windows 7 Ultimate K x64 OEM [9] 실버 10848 0 11-14
10356 공유기 열전 [35] GodFather 8465 1 11-16
10355 가장 쉬운세팅 VoIP 모토로이 드림라인 070 사용기 [3] Andrei Sak 5403 1 11-19
10354 [게임리뷰] id soft사 RAGE HD [2] 이건뭔가요 5082 0 11-2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