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레드스톤4 '최고의 성능' 확인하고 bat 파일 테스트

2018.05.04 16:52

suk 조회:2952 추천:30

일반 에디션에서 최고의 성능은 레드스톤4 인사이더 프리뷰 17101 빌드에서

Pro for Workstations 에 기능 추가 되었다고 ms 블로그에 소개 되어 있었습니다

https://blogs.windows.com/windowsexperience/2018/02/14/announcing-windows-10-insider-preview-build-17101-fast-build-17604-skip-ahead/

 

그런데! 댓글에 Enterprise 도 최고의 성능이 있으시다는 분이 계시더군요. 띄용!

그래서 확인하는 김에 그냥 MSDN에 있는 모든 에디션을 전부 테스트 하기로 했습니다. 리테일 5개, 볼륨 5개 총 10개입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MSDN은 다음과 같습니다. 32/64비트는 동일하기 때문에 더 빠른 설치를 위하여 32비트로 테스트했습니다

ko_windows_10_consumer_editions_version_1803_updated_march_2018_x86_dvd_12064467.iso [리테일 이미지들]
ko_windows_10_business_editions_version_1803_updated_march_2018_x86_dvd_12063350.iso [볼륨 이미지들]

 

이미지 번호 순서대로 테스트했습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이렇게 테스트중입니다 2018-05-04_145406.png

 

이런 식으로 가상머신을 여러개 만들어서 무인설치 적용했습니다만, 준비 과정에서 시간을 소비해버려서 지금은 빠르다고 할 수 없습니다

혹시 다음에도 이런 테스트할까봐 장기적 관점에서 만들어놨습니다 ^^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Home 2018-05-04_142812.png

 

Home 은 역시 없군요.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Home 2018-05-04_143750.png

 

대량 작업을 하면 복사/붙여넣기도 귀찮기 때문에 bat 을 만들어서 활성해봤습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Home 2018-05-04_143910.png

 

이렇게 엔터 한번으로 강좌에 쓴 최고의 성능이 전원 옵션에 나타나게 하고, 만들어진 최고의 성능을 선택까지 하게 됩니다.

 

이후에 9번은 계속 이 과정을 반복 확인하는 것입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Education 2018-05-04_144621.png

 

리테일 2번은 Education 입니다. 역시 없습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Education 2018-05-04_144745.png

 

에듀케이션도 잘 됩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2018-05-04_145005.png

 

리테일 3번은 Pro 입니다. 역시 없습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2018-05-04_145102.png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Education 2018-05-04_145507.png

 

리테일 4번이 Pro Education 입니다. for가 들어가지 않으니까 에디션 나열할 때 헷갈리더군요.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Education 2018-05-04_145612.png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for Workstations 2018-05-04_145934.png

 

리테일 5번, 마지막이 Pro for Workstations 입니다. 당연하지만 최고의 성능이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볼륨 business 로 넘어갑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Education VL 2018-05-04_151105.png

 

볼륨에서는 1번이 Education 입니다. 홈이 없기 때문이죠. 역시 최고의 성능은 없습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Education VL 2018-05-04_151147.png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Enterprise 2018-05-04_151326.png

 

볼륨 2번이 엔터프라이즈 입니다. 최고의 성능이 있습니다. 근데 최상위 에디션이 2번째에 있네요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Enterprise 2018-05-04_151425.png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VL 2018-05-04_151801.png

 

볼륨 3번이 프로입니다. 기본적으로 인증 방식이 '볼륨 KMS' 입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VL 2018-05-04_151912.png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Education VL 2018-05-04_152111.png

 

볼륨 4번이 Pro Education 입니다. 역시 KMS 인증입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Education VL 2018-05-04_152211.png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for Workstations VL 2018-05-04_152526.png

 

역시 마지막 5번은 Pro for Workstations 가 장식해주는군요. 그리고 KMS 볼륨 라이선스가 기본입니다

 

윈도10 버전1803 RS4 레드스톤4 제2의 RTM 17134.1빌드 - 워크스테이션 '최고의 성능' - 다른 에디션에서도 만들기 - MSDN으로 전체 확인 하면서 최고의 성능 만들기 - Pro for Workstations VL 2018-05-04_152630.png

 

이렇게 레드스톤4 MSDN 순정에는 Pro for Workstations 과 Enterprise 에만 전원 옵션에 '최고의 성능'이 있다는걸 노가다 작업으로 알게 됐습니다

아참...검색하면 간단하게 혹시 나오는거 아닌가요? ㅎㅎ 어차피 bat 파일 테스트도 해야 하니까요. 괜찮습니다

 

2018.05.04 금요일 [당일] 오후 06:51

2번째 파일: Windows 10 전원옵션에 최고의 성능 만들기2-최고의성능이있는경우는활성함.bat

수정사항: 최고의 성능이 없는 에디션도 만들고 활성까지 해주는데? 그래서 최고의 성능이 있는 경우도 활성은 하도록 했습니다

           ---------------------

           최고의 성능이 이미 있는 경우만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한글/영문 윈도에서는 제대로 작동하고

           제 3의 윈도 사용하시면 이미 있는 최고의 성능을 찾지 못 하고, 최고의 성능을 또 만들어서 활성하게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5437 기 타| 8pe x86 으로 인터넷 잡기 테스트 [16] suk 1281 15 05-30
5436 윈 도 우| Win10 Lite Edtion AutoCAD용 누락파일 [9] maniaa 1117 7 05-30
5435 윈 도 우| Win10 Lite Edition 누락파일입니다. [11] maniaa 1620 10 05-29
5434 기 타| Windows PE 뼈대 테스트 [49] suk 4416 46 05-28
5433 윈 도 우| CMD도구로 윈도우 설치 [27] 집앞의_큰 1761 29 05-28
5432 윈 도 우| 6W10x64L2PE.wim 네트워크 공유확인 [28] lakeside 1531 13 05-27
5431 윈 도 우| 윈도10 에 윈도7 멀티 부팅하기 [단일 부팅 포함] [18] suk 1503 12 05-27
5430 윈 도 우| DreamPE_x64_AIO_Lite 를 VHD 부팅하기 - 테스트 [27] suk 2294 21 05-26
5429 기 타| Win10XPE_2018-05-17 원본으로 PE 만들어봤습니다 [26] suk 2628 21 05-25
5428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5 인사이더 프리뷰 17677.1000 빌드 나왔네요 [10] suk 1016 12 05-25
5427 윈 도 우| 또 업데이트된 제이유컴님의 WIN10XPE 빌더사용시 초보자들... [17] 오짜 909 9 05-24
5426 윈 도 우| xpe 제이유컴님 빌드로 테스트 [16] 복태취업했 510 5 05-24
5425 하드웨어| 무선 마우스 ROYCHE RX-M1 사용기 번개 768 2 05-24
5424 기 타| 시스템 오류 수정 관련 [29] 집앞의_큰 1129 26 05-22
5423 윈 도 우| Windows 10 Pro for Workstations St41 Plus 설치해 보았습... [102] lakeside 2158 38 05-20
5422 윈 도 우| 제이*컴님 5월17일자 빌드(네트웍 공유 테스트) [10] 항상감사 964 8 05-20
5421 윈 도 우| XPE 제이유컴님자료 빌드업사용기 [13] 복태취업했 1033 6 05-19
5420 윈 도 우| 윈도 시스템 백업으로 만들어진 vhdx를 멀티 부팅하기 [9] suk 1052 16 05-19
5419 기 타| 요즘 인기 많은 Win10XPE 만들기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25] suk 2085 21 05-19
5418 윈 도 우| 윈도 업데이트 설치 후에 문제 생겼을 때 삭제하기 [8] suk 1521 15 05-1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