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마운트된 ESP 파티션 접근 방법들입니다..

2021.01.06 21:43

왕초보 조회:557 추천:6

ESP 파티션 관련해서 마운트후 탐색기에서 접근이 불가능한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서 이미 알고 계신분들이 많으실것

입니다.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히 정리를 하여 보았습니다

 

아래 사용기에서 ESP 파티션을 마운트 하는 방법은 3가지를 예를 들었습니다

 

- 윈도우 자체 파일인 mountvol /s 방법입니다

- 중국 프로그램인 MountESP.exe 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 WinNTSetup 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ESP 마운트를 하는 방법중에서 WinNTSetup 경우 마운트 할수 있고 조금은 불편하지만 마운트된 ESP 파티션에 접근할수도 있습니다

마운트된 접근 방법은 검색을 하면서 알게 된 것들입니다..더 많은 방법이 있을것입니다

 

- 탐색기 대용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가능한것 같습니다..저는 Explorer++ 를 활용하였습니다

- 작업관리자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 메모장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제일 불편합니다

- PE에서 사용되는 탐색기 대용인 WinXShell.exe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제가 해본들것만 정리를 하였습니다

 

ESP 파티션을 마운트 했을때 접근은 안되지만 탐색기에 보이는 경우가 있으신 분도 있으시지만 저는 탐색기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K-Mount로 마운트 한 경우는 보였던것 같습니다..저도 가끔 혼동이 되기도 합니다

마운트 명령을 실행하신후 탐색기에 보이시지 않으시더라도... Explorer++ 를 실행하셔서 확인을 해보시면 마운트가 되어 있을것입니다..

마운트 프로그램이나 Explorer++ 등을 실행하실때에는 꼭!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하여 주셔야 합니다..

 

이런 방법들이 있나 보구나 하는 정도로 참고만 하여 두셨다가 필요하실때 활용을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1. ESP 파티션은 윈도우 설치시에 파티션 유형이 "ESP" 파티션으로 설정이 됩니다.. 이 형식으로 되어 있어야 정확히 마운트가 됩니다..

   마운트 된것도 bootice에서 확인을 하실수 가 있습니다...

   현재 하드가 2개 있고 각각 하드에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으면 ESP 파티션이 2개인 상태입니다..1.jpg

 

2. moumtvol에서 빈 드라이브 문자 Y: 마운트를 하였습니다.. cmd 파일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해주셔야 합니다.

  마운트가 되었지만 탐색기에서는 현재 보이지 않습니다..

2.jpg

 

3. explorer++로 확인을 하여 보았습니다...ESP 파티션이 2개 있는데 1개만 마운트가 되었습니다..mountvol은 ESP 파티션을 1개만 마운트 해줍니다

3.jpg

 

4. MountESP.exe 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을 해주셔야 합니다  마운트가 되었지만 탐색기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4.jpg

 

5. ESP 파티션 2개가 모두 마운트 되었습니다.. MountESP.exe는 파티션 유형이 "ESP"인 파티션을 모두 마운트 해줍니다..

5.jpg

 

6. WinNTSetup를 실행하면 아래처럼 ESP를 마운트 후 드라이브 문자를 보여줍니다...오른쪽에 있는 찾아보기에서 마운트된 ESP 파티션에 접근을 

  할수가 있습니다

6.jpg

 

7. 찾아보기에서 보시면 ESP 파티션 2개가 모두 마운트 되었습니다...프로그램마다 마운트 하는 갯수가 다릅니다

7.jpg

 

8. WinNTSetup의 찾아보기의 경우 폴더보기여서 파일들을 보이지 않습니다..단지 파일을 복사해서 넣을수는 있습니다.

8.jpg

 

9. 탐색기에서 복사한 파일을 우클릭에서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9.jpg

 

10. 붙여넣기 해도 보이지 않아서 다시 복사를 했더니 이미 파일이 있어서 아래 메세지가 나옵니다.사용하기가 영 불편하죠.

10.jpg

 

11. explorer++는 사용기 등에서 많이 보셨죠...탐색기처럼 사용하면 되어서 편합니다

11.jpg

 

12.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mountmol로 ESP 파티션을 마운트 한 경우 explorer++를 다운 받는것이 귀찮을때 간단한 작업이시면 아래처럼 작업관리자

  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작업표시줄에서 실행을 할수가 있고 관리자 권한이 필요없습니다

  파일/새 작업 실행을 하여 주십시요 

12.jpg

 

13. 여기에서 찾아보기를 클릭하시면 되십니다..

13.jpg

 

14. 모든파일로 바꾸시고 필요한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14.jpg

 

15. 파일 복사를 진행하여 보겠습니다

15.jpg

 

16. 복사후 ESP 파티션에 붙여넣기 하시면 되십니다

16.jpg

 

17. 메모장을 활용하는 방법도 인터넷에 있었습니다.그런데 불편해서 실제 사용하기는 좀 그렇습니다..

    메모장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을 해야 합니다...그래야 마운트된 파티션을 볼수가 있습니다

17.jpg

 

18. 열기나 다른이름 저장등으로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모든 파일로 변경후 복사등의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18.jpg

 

19. 파일을 복사하는것까지 하여보았습니다...

19.jpg

 

20. 탐색기 대용 프로그램중에서 PE에 있는 WinXShell.exe을 활용한 경우 입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해주셔야 합니다

  explorer++ 처럼 그냥 탐색기 사용하듯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20.jpg

 

21. 복사를 하여 보았습니다

21.jpg

 

22. 마무리

이미 아시는 분도 있으시고 잘 모르시고 있으셨던분도 있으실것입니다..

ESP 마운트를 하는 방식도 여러가지 있고 마운트된 ESP 파티션에 접근하는 방법도 편한것이 있고 좀 복잡한것도 있습니다.

 

아마 다른 방법들도 있을것입니다만..제가 아는 정도만 간단히 적어 보았습니다

알고 있으면 필요할때 활용을 할수가 있죠...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서울에도 눈이 많이 오네요.

피해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7192 윈 도 우| Windows10 Enterprise x64 20H2(19042.685) Compact Lite 깡통 [37] 메인보드 2104 36 01-06
» 기 타| 마운트된 ESP 파티션 접근 방법들입니다.. [5] 왕초보 557 6 01-06
7190 윈 도 우| COLx님 로켓PE 초간단 후기 [3] 와로 601 4 01-06
7189 소프트웨어| 이미지 속 (한글)폰트 찾기 해봤습니다. [3] 오스 1033 9 01-06
7188 기 타| ESP만 마운트 하는 중국의 MountESP.exe 소개입니다 [20] 왕초보 1119 11 01-06
7187 기 타| mountvol /s 로 ESP 파티션에 boot.sdi 설치후 BCD 등록을 ... [2] 왕초보 606 9 01-05
7186 윈 도 우| Rocket PE [18] 드림캐쳐 2563 10 01-05
7185 기 타| Win10에서 UEFI or Legacy 를 구분하는 5가지 방법을 소개... [7] 왕초보 1716 8 01-04
7184 윈 도 우| SnapshotOnekeyBR boot.wim 파일 교체기 [18] 간장종지646 903 14 01-03
7183 기 타| boot.sdi를 내마음대로 추가 등록하기를 하여보았습니다.. [6] 왕초보 1005 15 01-03
7182 기 타| 단일-R-Studio 8.15 Build 180125 Network Technician [27] 첨임다 1302 37 01-01
7181 기 타| (추가) DISM_Onekey_BR_Maker.ahk를 IFW용으로 활용하여 보... [14] 왕초보 937 10 01-01
7180 소프트웨어| 윈도우 잠금 때 인터넷 끊고 cpu 절전으로...테스트 [14] suk 857 12 01-01
7179 소프트웨어| ghost & wim & ifw & sna 백업 & 복원 부... [36] 오스 1424 24 01-01
7178 소프트웨어| ghost & wim & ifw 백업 & 복원 부팅 이미지 [45] 오스 1972 44 12-31
7177 기 타| Backupper - 편하게 Cmd로 자동복원, 백업을 하여 보았습니다 [17] 왕초보 867 15 12-31
7176 기 타| Backupper 자동복원 활용 - 아쉽네요... [4] 왕초보 1277 10 12-29
7175 윈 도 우| UEFI Legacy 겸용 설치에서 [85] 집앞의_큰 1956 54 12-29
7174 기 타| [종료]다시만들었습니다..실컴용-AOMEI Backupper 6.3.0 [394] 첨임다 2504 105 12-28
7173 소프트웨어| Acronis True Image 2021 35860 x86 & x64 PE버전 [15] elios 1792 21 12-2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