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초보의 IoT Enterprise 인증 시행착오 경험기

2020.06.05 19:47

회오리BOi 조회:1989 추천:6

그 이전에도 쓰실 분들은 잘 쓰고 계셨겠지만...

 

https://windowsforum.kr/review/13482132

위 Link '디폴트' 님의 글 덕분에

요즘들어 IoT Enterprise 이야기가 많아졌지요.

 

Home 또는 Pro Digital License 인증이 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영구 인증이 됩니다. 』

 

라는 귀띔 말씀에 굉장히 혹했습니다.

 

어지간한 Digital License/ 전화/ KMS 방식의 인증 도구들 조차도,

IoT 제품군은 인증이 되는 경우가 드물었거든요.

 

그렇게 고행길이 시작되었고, 다음과 같은 깨달음(???) 을 얻었습니다.

 

============================

 

[ 一. Key 교체방식의 최소는 Pro 로 설치하는 게 나음 ]

 

보편적으론 'Home' 이 다른 걸로 갈아타기에 범용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slmgr /ipk 방식을 이용함에 있어서는 「Windows 7 비코어 어쩌구」오류가 빈번했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개인시장 과 기업시장 모두를 아우르는 'Pro' 의 경우가 더 낫더군요.

 

이유는 slmgr /ipk 로 다른 Key 값을 교체시...

Retail, OEM, MAK, KMS Key 값 모두가 잘 먹히는 데다...

 

Home → 타 에디션으로 Key 값 교체방식으로 갈아탈 경우에는

PC 를 재시작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 二. Key 교체방식의 정석(?)은 Enterprise 를 우선 설치하는 게 훨씬 나음 ]


Windows Forum 분들이라면

 

Windows 10 제품군 어지간한 것들은

모두 한번 이상을 깔아보고, 인증도 해보셨을 겁니다.

 

때문에, IoT Enterprise 를 설치했을때...

 

바로 인증이 되는 분들도 있으신가 하면,

인증이 되지 않는 분들도 있으셨을 겁니다.

 

개인적으로 이것 때문에, 여러번 시행착오를 겪은 부분의 핵심인데요.

 

처음사용자 및 OEM 용 정품이건, 무료 Upgrade 건, Digital License 인증도구를 사용했건

Home 또는 Pro 만 인증된 상태에선 IoT Enterprise 인증이 불가합니다.

 

https://windowsforum.kr/free/13178139

단! 위 Link 의 '옆집놈' 님의 글에서처럼...

MS 계정을 활용하여 인증하는 경우는 어떠한지 모르겠지만...

 

Local 계정 상태로의 설치는

 

Windows 10 Enterprise 설치 → 인증 → IoT Enterprise Key 교체

 

이 경우가 기존의 Enterprise 인증을 승계(?) 하여 자동적으로 인증 이 되더군요.

* 물론, 그러실 분들은 드물(?)겠지만...

 

최초 Windows 10 Enterprise 인증을 KMS 인증으로 해놓고,
Digital License 인증이 전혀없는 상태에서는 Key 값 변경해봤자 자동인증 안됩니다. *

 

======================= 시행 착오 과정 =======================

 

1) 중국산 Win-Tab 은 Home 이 미리 설치되어 있던

OEM 의 Digital License 인증내역이 있지만,

 

IoT Enterprise 로 Key 를 교체하고 인증시 자동인증이 되지 않았습니다.

 

2) 제가 가지고 있는 구형 Note Book 경우 Digital License 방식 인증이라곤

Windows 10 Enterprise LTSB 2015/2016 만 인증내역이 있었습니다.

 

때문에, Home 하고 Pro Digital License 인증내역이 전혀 없던 PC 였죠.


IoT Enterprise 때문에... Pro 깔고 Digital License 인증도 해놓았는데,

역시나 자동인증이 되진 않았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799 윈 도 우| [휴대폰 데이터 주의] Windows 10 Pro Rs3 Sysprep Oobe_pA... [97] 선우 3467 14 11-03
6798 기 타| 집앞의 큰나무님 HKboot V3.3 사용기입니다. [61] 서기다 992 14 09-11
6797 기 타| RS2_15063_483_x86_x64_10PE_x64_10586_164겸용(2017.7.20) [99] 첨임다 2722 14 07-20
6796 소프트웨어| RSImageX에도 드라이버 설치 기능이 생겼네요 [32] suk 3124 14 04-03
6795 윈 도 우| 저에게 PE는 이게 최고네요.. [22] bleach 7312 14 11-06
6794 소프트웨어| 랜섬웨어 미끼폴더 삭제하기 테스트: 4번째 파일 [27] suk 2946 14 08-23
6793 소프트웨어| 랜섬웨어 감지용 2탄입니다 [24] suk 3254 14 02-29
6792 윈 도 우| win10 10586 vl pro Test... [19] 바람이분다 4843 14 01-21
6791 윈 도 우| win10 x32.iso 수정배포[하드용] [47] 땅콩 2996 14 07-18
6790 소프트웨어| 초보자도 Grub4dos 쉽게 설치하기 [23] sunshine 2095 14 12-27
6789 소프트웨어| [원상복구포함bat] VHD[x] 연결 & 연결해제 하기... [24] suk 2838 14 11-22
6788 윈 도 우| Ko_Win7_Luxury_x64_Super_Manian3 체험 설치기 [48] 선우 1853 14 11-21
6787 윈 도 우| Win7_x86_Super_Manian2 설치 인증샷 입니다 [44] 선우 2609 14 10-28
6786 소프트웨어| 스냅샷 2 fix버전 [46] 오늘을사는 2691 14 03-11
6785 윈 도 우| 윈도10 레드스톤1 14342 빌드 잠시 설치해봤습니다 [27] suk 3150 14 05-17
6784 윈 도 우| 땅콩pe~8.1pe 배포예정 [32] 땅콩 2952 14 08-20
6783 윈 도 우| 땅콩pe 하드용 wim 수정 배포 [30] 땅콩 4680 14 08-17
6782 윈 도 우| 땅콩pe//VGA추가[추가 있음] [27] 땅콩 2810 14 08-06
6781 윈 도 우| Windows 10 Pro K 2015 LTSB 설치기 [47] 서비스 6686 14 08-03
6780 윈 도 우| 윈도업데이트 .msu 파일 일괄 설치하기 bat 테스트 [15] suk 5111 14 06-2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