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추가 아주중요!) 대박! Wifi암호 가장 쉽게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2018.03.09 17:03

왕초보 조회:2507 추천:11

 

추가내용입니다..

 

Wifi자동무선 연결시 xml을 외부에서 이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netsh wlan add profile filename="Profile.xml"

netsh wlan connect name="SSID"

 

이 명령어를 윈키PE에서 사용하려고 하면..추가적인 dll들이 필요합니다.

하지만..PENetwork 에서 수동으로 무선연결을 하는 경우 추가적인 dll이 필요가 없습니다..그동안 잘 사용했었습니다

그래서 확인을 하여 보았습니다

 

그런데..또 대박이네요...어쩌면 당연한것 같습니다..(이미 PENetwork에서 수동으로 연결이 되는 상태였으니까요)

 

기존에..사용하시는 PE에서 PENetwork로 무선을 수동연결시 연결이 잘 되신분들은..그냥...xml을 PENetwork 폴더에 넣고

사용하시면 되실것 같습니다 

 

대박이죠.... 관련 사진은 사용기 끝에 있습니다

 

제이유컴님께서 테스트 하여 주신 내용입니다

"PENetwork.ini 파일도 버젼이 0.95.B8 에있는 것으로 바꿔주니까 지연현상 없시 바로 연결이 되네요

모든 PE에서 다 될것 같습니다."  

 

PENetwork.exe, PENetwork.ini 는 버전이 0.95.B8 인 최신 버전을 사용하여 주십시요 

 

------------------------------------------------------------------------------------------

 

아쉽게도 강좌란에... Wifi암호등록하는 강좌가...없어졌네요..혹시 무슨일이 있으신것은 아니죠.

별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오토잇으로 하거나..cmd로 하거나...아님 다른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하거나...결국은..신경쓸것이 많습니다

그런데..가장 쉬운 방법이 있네요....가장 쉬운 방법은 아닐수도 있습니다..하지만..다른 프로그램이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xml만 있으면 되네요. 명령어를 몰라도 됩니다

 

boot.wim안에 넣어야 하는 불편은 있습니다..이렇게 boot.wim안에 있으면..xml이 추가 되었거나 할때 불편하죠

이럴때는 어쩔수 없이...pecmd.exe의 Load기능을 이용하면..될것 같습니다..

Load 기능을 이미 많이 사용하셔서..어느정도 아실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무선 SSID와 암호가 있는 xml은 PENetwork에서  버튼만 클릭하면 만들수가 있습니다..이렇게 만든 xml을 등록하는것이

불편하셨던 초보분들이 계시면..아래처럼 하여 보아주십시요..장단점은 있지만..그래도 간단하게 등록할수 있습니다

 

 

 

1. xml 등록하는 cmd파일을 삭제를 하여서 pe로 부팅을 하여서 xml이 등록되지 않았습니다..

1.png

 

2. PENetwork 폴더입니다..잘 보아주십시요..

2.png

 

3. 다시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이번에는..무선연결이 되었습니다..

3.png

 

4. 여기에 xml이 4개가 등록이 되었습니다..

4.png

 

5. PENetwork 폴더입니다...이 폴더에 xml 파일이 4개가 있습니다....Wifi암호 등록이 간단하죠...그냥...PENetwork 폴더에 xml파일을 넣어 두면 PENetwork가 시작하고나서 알아서 등록을 해줍니다...boot.wim안에 넣어야 하는 불편은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와이파이가 고정적이시라면...그냥 boot.wim안에 넣어 놓으시는것이 편하실것 같습니다...자주 장소를 옮기는 컴퓨터라면 xml파일이 boot.wim 밖에서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되죠..

5.png

 

6. 저의 경우 boot.wim 밖에서..PENetwork폴더에 xml을 추가하는 방식을 pecmd.exe의 Load 명령을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아래처럼...일단은 PENetwork.exe가 실행되지 못하도록 처리를 하고.. 드라이브 루트에 있는 WifiAuto 안의 WifiAuto.ini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추가하였습니다.

   폴더명들은 원하시는것으로 지정하시면 되시죠..  이름을 잘못 선정했네요..\ 랑 'W'가 비슷해 보입니다..

 

   Load \WifiAuto\WifiAuto.INI

   

6.png

 

7. WifiAuto.INI 에서는 xml 파일들은 PENetwork 폴더에 모두 복사후 그리고나서 PENetwork.exe를 실행하도록 하였습니다..

7.png

 

8. boot.wim안에 있는 PENetwork 폴더에는 xml 파일이 없습니다..인증샷입니다..

8.png

 

9. WifiAuto 폴더에 WifiAuto.ini 와 xml 파일들이 있습니다..

9.png

 

10. PETools.wim 폴더에 있는 xml 등록 폴더는 삭제를 하였습니다..

10.png

 

11.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무선연결이 잘 되었습니다..

11.png

 

12. 프로파일 등록이 4개가 되었습니다..

12.png

 

13. PENetwork 폴더에 xml 파일 4개가 복사되어 있습니다..  PENetwork에서 xml을 내보내기로 WifiAuto로 저장하기만 하면..다음 부팅부터는 자동으로 연결이 됩니다.

13.png

 

14. 크롬을 실행하여 보았습니다

14.png

 

15. 마무리

PENetwork를 이번에서야..어느정도 알게되다보니..이런 기능이 있는줄도 몰랐습니다....

무선랜 서비스가 시작되기전에..프로파일이 등록되는 경우가 있어서..무서랜서비스가 시작되고 나서..프로파일이 등록되게 해본다고 하다가

이런 기능이 있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모르고 있으면 활용을 못하지만..이런 기능이 있으면..활용하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사무실이 아닌 가정에서 사정상 무선랜을 쓰는 경우도 있으실것입니다..이렇게 고정으로 사용하시는 경우라면..boot.wim안에 넣어서 사용하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벌써 마무리를 할 시간이네요..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습니다..

 

 

---------------------------------------------------------------------------------------------------

 

netsh wlan 명령어가 필요가 없어서..dll을 추가할 필요가 없는것 같습니다

dll 추가를 못하여서...xml로 자동등록을 사용하시지 못하였던 분들은 한번 적용하여 보아주십시요

 

1. dll을 추가하지 않은 원키PE로 부팅을 하여 보았습니다..xml을 복사하여서 인지..무선연결이 자동으로 되었습니다.

a1.png

 

2. 왼쪽이 부팅한 PE입니다.. .오른쪽이 dll을 추가한 boot.wim입니다...추가한 dll이 현재의 PE에 보이지 않습니다..dll을 추가하지 않은것입니다

  그런데도..xml로 무선연결이 잘되었습니다...

  사용기 처음에 추가글에도 말씀을 드렸습니다만..이미..PENetwork에서 수동으로 무선연결을 사용했었습니다. PENetwork기능을 활용한것이라면 추가적인 dll이 필요가 없을것입니다...땡 잡았습니다.. boot.wim용량도 줄어들겠죠..

a3.png

 

3. xml이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a4.png

 

4.크롬도 확인을 하여 보았습니다

a5.png

 

5. dll을 추가하지 않은 x64 원키PE입니다..

a6.png

 

6. dll관련해서는 저도..다른분의 도움을 받아서..추가를 했었습니다...이렇게 netsh wlan add profile filename="Profile.xml이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이렇게 어려운 작업이 있었습니다..

하지만..이미 PENetwork에서 수동연결이 되는 상태였서...PENetwork가 등록할때는..추가적인 dll이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솔직히...그 동안 고생한것이 허무할 정도입니다...하지만..아무 PE나 xml을 등록할수 있다면 대박이죠..

사용하시는 PE에서 한번 테스트 하여 보시는것도 재미가 있을것 같습니다..

 

편안하신 저녁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254 윈 도 우| Windows_10_K_20H2(19042)_7in1_X86_net3.5_hotfix200812_K... [7] 타천사둘리 1693 11 08-14
6253 윈 도 우| 집앞의_큰나무 님의 자유게시판 "아는한도에서 최소&q... [16] dedicated 2117 11 06-16
6252 소프트웨어| Windows Boot EFI LOGO 바꾸기 [6] 내꼬 1158 11 10-18
6251 기 타| 홍차의꿈님 저용량 PE TrueImage 버전 간단 부팅기입니다 [7] 왕초보 3067 11 08-19
6250 윈 도 우| 설치기- 간결 Win To VHD [18] 신세계 2130 11 05-26
6249 소프트웨어| 유튜브 mp3 자동 변환 다운로드 기능 테스트용도 8번째 [14] 굿듀님스토 636 11 05-18
6248 기 타| 옛날*님 R-DriveImage를 서기*님 작품에 추가하여 보았습니다. [6] 왕초보 978 11 04-11
6247 기 타| (수정) 시작메뉴에 Snapshot 바로가기 등록하기 입니다.. [16] 왕초보 722 11 01-12
6246 소프트웨어| 백업 그리고 복원 test [11] 동백 2462 11 02-21
6245 윈 도 우| kj님 Win10XPE27 USB부팅 실행 화면 입니다. [13] 하늘은높고 1852 11 02-16
6244 보안 / 해킹| 윈도우 비밀번호 해킹 영상 [5] gooddew 2304 11 02-16
6243 윈 도 우| 첨입니다님 깔끔이PE실행 해봤습니다. [8] 하늘은높고 1750 11 02-20
6242 소프트웨어| Autoit v3.3.8.1 적은 바이러스 오진 [9] 입니다 1215 11 01-27
6241 소프트웨어| 유튜브 다운로드 프로그램 마지막 기능추가 - 배포 x [8] 굿듀님스토 1351 11 11-07
6240 윈 도 우| Quantum AdminF System [1] liberta 1532 11 02-28
6239 윈 도 우| [2탄] MS에서 공개한 19H2 (18363.327) ISO 테스트 [7] suk 1826 11 09-07
6238 기 타| 런처에서 Ghost 미실행 문제 원인과 해결방법입니다.. [6] 왕초보 795 11 08-22
6237 윈 도 우| BLACKBIRD, 내장 데이타 수집(telemetry 등) 무력화, 사생... [6] 빛나는길 1679 11 07-31
6236 윈 도 우| 원격포맷 실무버전 사용기 스샷첨부 [16] 지룡자 1695 11 06-20
6235 기 타| PE-usb에넣고 부팅 +VM에서 부팅하기 [15] 첨임다 2782 11 06-09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