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서버 / IT PE 에서 TINY PXE Server 세팅하기

2019.03.31 06:29

gooddew 조회:2909 추천:6

안녕 하세요. gooddew 입니다.

 

윈도우 PE에서 TINY PXE SERVER 을 사용해서 클라이언트로 부팅 하는 방법을 배워 보겠습니다.

 

보통은 PXE 서버는 컴퓨터실 처럼 여러대의 PC 가 있는 장소에서 고정된 상태로 서버를 운영해서 사용합니다.

 

근데 왜 휴대용 PXE 서버가 필요 할까 라고 생각할수 있는데요. 휴대용 PXE 서버는 고정된 장소에서 PXE 서버로 이용하기 보다는

 

어디든지 휴대하고 다니면서 컴퓨터실 같은 네트워크로 구성된 여러대의 PC 에 윈도우를 설치할때 아주 유용합니다.

 

 

 

여기 강좌에서는 휴대용 PXE 서버 세팅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고 네트워크로 복사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의  G4L 사용법을 참조하세요

 

G4L 사용법은 이전에 작성한 링크 https://windowsforum.kr/index.php?mid=lecture&page=2&document_srl=11332293 입니다.

 

 

 

그럼 PE 용 USB PXE 서버를 세팅 방법을 배워 보겠습니다.

 

 

(1) 준비사항

 

① 네트워크 가능한 PE ( 개인이 준비 )

 

② USB 메모리 디스크 ( 용량은 ① PE 가 들어가고 100 메가 여유가 있으면 됩니다 )

 

③ TINY PXE SERVER 포터블 프로그램 다운받기 ( 다운링크 : http://reboot.pro/files/file/303-tiny-pxe-server/ )

 

 

 

 

(2) USB 용 PXE 서버 만들기


네트워크가 가능한 USB PE 에 원하는 폴더를 생성하고 pxesrv.zip 파일을 복사하세요 

 

pxesrv.zip ( TINY PXE SERVER ) 의 압축을 풉니다.

 

TINY PXE SERVER 는 무료 소프트웨어이며 설치가 필요없는 포터블로 배포가 됩니다. 그래서 윈도우 PE 에서 이용하기 좋습니다.

 

 

 

01.png

 

서버 실행파일 pxesrv 파일이 보입니다.

 

인터넷에서 다운받은 g4l-v0.55.iso 파일 이름을 나중에 부팅메뉴 편집하기 쉽게 g4l.iso 로 파일 이름을 변경하세요.

 

files / images 폴더로 이동합니다.

 

03.png

g4l.iso 이미지를 복사해서 넣습니다. 

 

files 폴더로 이동합니다.

 

 

 

02.png

 

 

menu.ipxe 파일을 본인이 사용하는 편집기로 열으세요

 

☞ 부팅 메뉴를 추가 하겠습니다.

 

내용을 처음부터 보시다보면

 

######## MAIN MENU ################### 이런 부분이 보입니다. 메인 메뉴 설정 부분입니다.

 

이 부분 밑에 아무곳이나 한줄 " item PXE    PXE " 를 추가 합니다.

 

:start
menu Welcome to iPXE's Boot Menu
item
item PXE    PXE

.

.

 

저는 다른 메뉴를 사용 안해서 기존 대부분 메뉴를 삭제 하고 적당한 부분에 " item PXE    PXE " 추가 했습니다.

 

 

☞ 디폴트 메뉴를 설정 하겠습니다.

 

디폴트 메뉴는 여러 메뉴들 중에서 기본적으로 선택된 메뉴를 말합니다.

 

지금 새로 만드려는 PXE 라는 메뉴로 디폴트 메뉴를 설정하겠습니다.

 

######## MAIN MENU ###################

 

:start
menu Welcome to iPXE's Boot Menu
item
item PXE    PXE

.

.

.

item shell      Enter iPXE shell
item reboot     Reboot

item exit       Exit (boot local disk)

choose --default PXE --timeout 3000 target && goto ${target} 

 

위 에서 보면 choose --default 라는 부분이 나오는데 이 부분 다음에 디폴터로 선택할 메뉴명(PXE)을 넣으면 됩니다.

 

 

☞ 새로 추가한 부팅 메뉴의 PXE 에 대한 정의를 하겠습니다.

 

.

.

choose --default PXE --timeout 3000 target && goto ${target}

 

위와 같이 디폴트 메뉴 설정하는 부분 바로 밑에


:PXE
initrd ${boot-url}/images/g4l.iso
chain ${boot-url}/memdisk iso raw
goto start

 

 

위 내용을 추가 합니다.

 

이제 설정파일 menu.ipxe 저장합니다.

 

이렇게 해서 USB PXE 서버를 만들었습니다. 이 PE 로 부팅을 합니다.

 

 

 

(3) PE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망에 DHCP 같은 기능이 있는 장비(예:공유기) 있다면 (3) 단계는 생략합니다.

 

DHCP 로 IP 할당하는 장비가 없다면 수동으로 서버의 IP를 세팅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는 IP를 설정할 필요 없습니다.

 

클라언트를 PXE 서버에서 IP를 제공하게 됩니다.

 

04.png

 

IP 와 서브넷만 넣으면 됩니다. 다른 설정은 안해도 됩니다.

 

 

 

 

(4) pxesrv 서버 세팅

 

pxesrv.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01.png

 

☞ 창 하단에 부팅 파일 항목안에 부팅파일을 선택 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08.png

 

 

☞ PC 의 부팅 형식에 따라서 부팅 파일을  찾아서 선택합니다. 기본은 BIOS 로 되어 있습니다.

 

실행후 서버 실행전에 boot file을 지정해야 합니다

 

BIOS : ipxe.pxe
EFI x32 : ipxe-i386.efi
EFI x64 : ipxe-x86-64.efi

 

 

☞ 중간쯤에 동시 접속자 수( 기본값:10 )를 설정할수 있습니다. 

 

여기는 IP 대역은 192.168.1.2 부터 제공하며 클라이언트 PC 10 대 를 부팅할수 있게 됩니다.

 

 

 

☞ 상단에 ONLONE 버튼을 누르면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하면 IP를 항당하면서 클라이언트가 부팅을 하게 됩니다.

 

07.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43 서버 / IT| linux_dnsmail [2] gooddew 5001 0 08-04
42 서버 / IT| 근거리 통신망(LAN) 구축 지침서 [2] gooddew 5530 0 08-04
41 서버 / IT| Kernel_Compile_Guide-KLDP [2] gooddew 4968 0 08-04
40 서버 / IT| FrameRelayVPN 교육자료 [3] gooddew 5065 0 08-04
39 서버 / IT| FrameRelay 교육 [3] gooddew 4964 0 08-04
38 서버 / IT| frame-realy 이해 [2] gooddew 4994 0 08-04
37 서버 / IT| EMWAC IMS 설정하기 [1] gooddew 5021 0 08-04
36 서버 / IT| Email 교육 [1] gooddew 5019 0 08-04
35 서버 / IT| linux_net_config [2] gooddew 5237 0 08-04
34 서버 / IT| 라우팅종합개요 [1] gooddew 5239 0 08-04
33 서버 / IT| 월드와이드웹(WWW) 기초 [1] gooddew 5244 0 08-04
32 서버 / IT| web 서버 운영 [1] gooddew 5615 0 08-04
31 서버 / IT| 가상 개인 네트워킹 [2] gooddew 5146 0 08-04
30 서버 / IT| UPS 기술문서 [1] gooddew 5352 0 08-04
29 서버 / IT| telnet_ftp 서버구성하기 [2] gooddew 5358 0 08-04
28 서버 / IT| 시스코라우터 패스워드 확인및 복구법 [1] gooddew 6960 0 08-04
27 서버 / IT| router essential [1] gooddew 5095 0 08-04
26 서버 / IT| NFS(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2] gooddew 5219 0 08-04
25 서버 / IT| IPV 6 기술동향 gooddew 5225 0 08-04
24 서버 / IT| iptables를 이용한 내부 인터넷 공유하기 gooddew 6708 0 08-0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