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1

2009.12.24 10:55

우금티 조회:21764

1. 윈도우 서버 2008 R2를 써야하는 이유는 많다.

예전에 윈도우 서버들은 딱 탱크같은 느낌이었습니다. 묵직하고 단순한...
서버2008부터 그 안정감 위에 스피드를 더하더니, Server 2008 R2에서는 화려함과 유연함까지 갖추었습니다. 리소스 또한 Windows7보다 적게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윈도우 작업들도 주관적 판단으로는 훨씬 가볍고 빠릅니다. 단점이라면 유일하게 게임. 웬만한 상용 게임들 거의 안됩니다.(이부분 표현이 잘못됐습니다. 패키징이 잘된 상용 게임들의 거의 모두 됩니다. 주로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공짜 게임들이 잘 안됩니다. 윈도우 공용 라이브러리를 쓰고 있기 때문인데 서버 버전에는 그 라이브러리가 없습니다.) 스타크래프트(정품일때)까지는 잘 된다고 합니다(크랙판은 안됩니다). 게임을 자주하는 게 아니라면 다른 파티션에 윈도우 7 설치하고 멀티부팅하면 됩니다. 그 밖의 영상, 음악, 그래픽 감상이나 편집에 아무런 부족함이 없습니다. 그리고 Hyper-V라는 서버 가상화 툴이 내장되어 있어서 모든 윈도우, 리눅스, x86유닉스들도 설치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A.I의 거의 모든 버전을 테스트 해 왔는데, 모두 가상머신을 사용했습니다.

컴퓨터의 존재 이유가 오로지 게임인 매니아가 아니라면 2008.R2는 메인컴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OS라고 판단합니다. Server 2008 sp1을 작년 여름부터 메인컴으로 사용했는데 2008.R2가 나오면서 2008 sp2는 디스크의 여섯번 째 파티션으로 밀려나 있습니다. 다섯번째 파티션이 Windows 7 Ultimate이고 1~4위를 2008.R2의 여러 에디션들이 차지합니다.


아래의 항목들에 해당되는 분들은 2008.R2를 설치하고 운용해볼만 합니다.

저와 함께 2008.R2를 설치하고 그걸 7처럼 사용해 볼까요?

1) 게임을 거의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멀티부팅을 위해 컴퓨터를 리셋하는 정도의 수고는 기꺼이 할 수 있다.
2) 듀얼코어CPU, 2GB 램 이상의 자원을 가지고 있다. (Hyper-V를 위해서는 4GB 이상의 램 권장)
3) 윈도우 서버 버전을 접해 볼 의사는 기꺼이 있다. 우금티가 윈도우7을 다섯번째 파티션으로 밀어버렸다는데, 구경은 일단 해봐야겠다. ㅋㅋㅋ

ㄱ. 구성참고 : Q9550@3.78GHz, 6GB, 1.5TB, Radeon3850,

     설치소스 : ko_windows_server_2008_r2_standard_enterprise_datacenter_web_retail_x64_dvd_x15-50371.iso
ㄴ. 설치버전 : Windows Server 2008 R2 Enterprise Edition Korean
ㄷ. 우금티의 윈도우 화면 샘플

<그림.00 우금티의 데스크탑>
Fig00_current_R2.jp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1 [18] 우금티 21764 0 12-24
202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2 [2] 우금티 15848 0 12-24
201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3 [12] 우금티 17295 0 12-24
200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4 [4] 우금티 16016 0 12-24
199 서버 / IT| 서버 2008.R2를 메인 OS로 써보자-끝 [32] 우금티 25436 1 12-24
198 서버 / IT| 인텔리 포인트와 오패라로 부드러운 웹브라우징을 [11] Dr. Edward 11952 0 04-11
197 서버 / IT| [팁:정보_수정] 미친 알약(ALyac) [12] 우금티 14883 0 12-21
196 서버 / IT| [강좌]이중화기술 - 가용성과 경제성 [3] 우금티 14474 0 01-06
195 서버 / IT| 서버8 M3의 유용한 유닉스 명령어 소개 [3] 우금티 7997 0 05-03
194 서버 / IT| 다음 메일 계정 추가 가입하기 [4] gooddew 12024 0 08-03
193 서버 / IT| 시작페이지 설정 팁 [4] gooddew 6365 0 08-03
192 서버 / IT| 상대방 이메일 수신확인하기 [1] gooddew 6466 0 08-03
191 서버 / IT| 서브넷 구성방식 - 네트웍 담당자 기본이죠 [3] gooddew 5799 0 08-03
190 서버 / IT| 랜 테스터기 사용법 [3] gooddew 9797 0 08-03
189 서버 / IT| 근거리 통신망 입문 gooddew 5462 0 08-03
188 서버 / IT| TCP_IP 입문 gooddew 5667 0 08-03
187 서버 / IT| ciscorouter 교육 자료 gooddew 5511 0 08-03
186 서버 / IT| DNS교육 gooddew 5668 0 08-03
185 서버 / IT| DSU 설명서 gooddew 5614 0 08-03
184 서버 / IT| CCNA 강좌 [2] gooddew 7907 0 08-0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