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실컴을 그대로 vhd로 사용하기 : 테스트

2016.08.28 21:35

suk 조회:2112 추천:8

밑에 사용기가 올라와서 알고 있는 것이 맞는지 확인하는 차원에서 테스트해봤습니다


컴퓨터가 워낙 복잡, 미묘하기 때문에 빠른 결론 내시면 잘못된 결론을 내리기 쉽습니다
결론적으로 실컴<->vhd[x] 호환됩니다. 단지 그냥은 안 되고 드라이브 문자 꼬임을 해결하셔야 될 겁니다. 
제가 예전에 다른 파티션에 윈도 복구할 때 드라이브 문제 사용기에 썼습니다. 그리고, bcdboot로 부팅파일은 새로 만드셔야 부팅이 됩니다
.
* 드라이브 문자가 레지스트리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이걸 그대로 사용하시면 실컴을 vhd로 만들었을 때 
vhd 부팅한 것을 c:으로 인식해야 하는데 기존에 c:이 그대로 있기 때문에..그걸 계속 c:으로 인식합니다. 여기서 문제가 생기지요
본래 vhd로 사용하던 것은 실컴에 복구해도 별 문제없을 겁니다. vhd라는게 가상이라서 실컴에는 드라이브 문자가 없기 때문이죠.

실컴윈도를vhd에복구하여부팅테스트-순서그림2016-08-28_203647.png

* 스냅샷만 아니라 다른 wim , gho , tib 등도 방법은 같습니다

기존에 백업되어 있는 드라이브 스냅샷을 vhd 1개 만들어서 복구해봤습니다. vhdman.exe에 스냅샷도 지원해주셔서 편리하네요
보시면 고스트, 트루이미지...등도 복구된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복구 후에 bcdboot 항목에서 vhd 드라이브를 대상으로 부팅파일을 만들어야 부팅됩니다..

일단 궁금해서 이 상태로 vhd로 부팅해봤습니다. 다행히 부팅 자체는 되더군요
근데 작업표시줄이 춤을 추고 있었습니다. 꺼졌다 켜졌다. 무한 반복...뭘 할 수가 없습니다


실컴윈도를vhd에복구하여부팅테스트-부팅은되지만작업표시줄이오두방정을떪-C드라이브삭제함2016-08-28_204425.png


그래서 다시 실컴으로 부팅하여, vhd에서 기존에 등록된 드라이브 문자를 삭제해봤습니다.
[추가: 실컴 없이 vhd만 사용하려면 어떻게 하느냐고 하시는 분도 계시는군요. 윈포에 흔히 PE가 올라옵니다. PE로 위 작업하시면 됩니다]

지금 X:으로 vhd를 복구했습니다. X:\windows\system32\config\system 레지스트리 하이브 파일을 
regedit.exe로 하이브 로드하여...C: 항목을 삭제했습니다.

결과는? 여전히 춤을 추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간신히 춤을 추고 있는 상황에서 set으로 현재 윈도가 어떤 드라이브로 되어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G:으로 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다시 실컴으로 부팅하여 같은 방법으로 G:을 삭제했습니다. C:도 또 삭제했고요

다시 결과는? 이번에는 잠잠하더군요. 정상 부팅 됐습니다

실컴윈도를vhd에복구하여부팅테스트-오두방정떠는작업환경에서간신히set으로확인하여G드라이브가윈도로잡힌걸확인함-그래서G드라이브삭제하니까정상부팅됨-그냥드라이브전체를삭제해도됨2016-08-28_205734.png

저는 vhd 별로 사용하지 않아서 필요한 경우가 별로 없을 듯 한데요. vhd 자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에 대하여 씁니다. 알고 보면 어렵지는 않습니다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방법2016-08-28_212128.png

HKEY_LOCAL_MACHINE을 대표적으로 이용합니다. 다른 것도 되기도 합니다만..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방법2016-08-28_212157.png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방법2016-08-28_212353.png


대상이 vhd인 경우는 vhd가 마운트 된 상태로 하셔야 됩니다. 실컴이 대상인 경우는 그냥 하시면 되고요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방법2016-08-28_212420.png

하이브 로드할 키 이름으로 자유입니다. 저는 그냥 간단하게 1 이용합니다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방법2016-08-28_212503.png

이렇게 HKEY_LOCAL_MACHINE 밑에 1로 로드 됩니다.
이것이 곧 실컴에서 HKEY_LOCAL_MACHINE\SYSTEM과 같은 자리입니다. 1을 SYSTEM으로 해석하시면 맞습니다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방법2016-08-28_212615.png





여기서 문제가 되는 드라이브를 삭제했습니다. 밑에서 C: G:을 삭제한 것입니다. 지금은 삭제되어서 안 보이네요.
C:은 무조건 생기는 것입니다. 문제를 일으켰던 G:이 안 보이네요. 삭제 후에는 반드시 하이브 언로드를 해주셔야 됩니다

실컴은 그냥 바로 적용됩니다만...하이브로드는 반드시 언로드 해주셔야 적용됩니다. // 사실 무조건 언로드 해주셔야 됩니다. 
실컴에 저걸 달고 살 수는 없기 때문에..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방법2016-08-28_212652.png

언로드 방법은 1을 클릭부터 합니다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방법-언로드해야만적용됩니다2016-08-28_212711.png

이걸로 레지스트리 하이브로드/ 언로드가 끝났습니다.

정확하게 문제되는 드라이브 문자를 모르시는 경우는 그냥 MountedDevices 키 자체를 삭제하시면 됩니다. 안전합니다
이 키 자체가 윈도 설치 하기 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키라서....단지, 드라이브를 윈도 설치때처럼 다시 지정 하셔야 된다는 점만 있습니다

-------------------
2016-08-31 09:38
위에서 말한 제가 전에 쓴 사용기 검색하신 분은 아실텐데요. https://windowsforum.kr/review/6334115

하이브로드는 간단하게 명령어로도 됩니다. 특정 드라이브 삭제하시려면 다음 방법으로 하시면 됩니다. 
드라이브 문자 수정부터 하시고 4줄 전체를 한꺼번에 관리자권한 명령프롬프트에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reg load hklm\1 f:\windows\system32\config\system

reg delete HKLM\1\MountedDevices /v "\DosDevices\C:" /f
reg delete HKLM\1\MountedDevices /v "\DosDevices\F:" /f

reg unload hklm\1


다음은 위에서 말한 MountedDevices 키 자체를 삭제하는 겁니다. 이쪽이 고민없이 더 확실하고 안전합니다.

마운트 된 vhd 드라이브 문자만 [여기서는 f: ] 수정하셔서 명령프롬프트에 한꺼번에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reg load hklm\1 f:\windows\system32\config\system

reg delete HKLM\1\MountedDevices /f

reg unload hklm\1


위 명령어로 하는 방법도 윈도에서나 PE에서 전부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507 윈 도 우| 지가 말요..사죄드릴겸..TH2x86, x64도 함께 LTS비화 올린당께 [46] 네버그린 4526 16 09-22
1506 윈 도 우| 서버 2016 한글 언어팩이 나왔네요 [15] suk 3046 9 09-21
1505 윈 도 우| 윈도우 설치단계를 줄여보기 (수정) [10] 히이이잌 2179 4 09-20
1504 윈 도 우| 10ProTH2_LTSBx86_wim(rs1이 여전히 오류라서)올림 [20] 네버그린 2318 9 09-20
1503 윈 도 우| [수정]마지막 3번째[윈도우 클린 설치] RSIMAGEX등으로 WIM... [18] 보[boram]람 2946 9 09-20
1502 윈 도 우| 2번째[윈도우 클린 설치] WINNTSETUP,RSIMAGEX등 [6] 보[boram]람 2639 7 09-19
1501 윈 도 우| USB로 윈도우 10 클린 설치하는 전과정[펌] [18] 보[boram]람 3741 10 09-17
1500 윈 도 우| Windows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함께 사용하세요. 가벼운... [8] 보[boram]람 3525 3 09-14
1499 윈 도 우| SUK님 레지 [VHD-VHDX-연결또는분리-더블클릭으로자동-윈10... [3] 바이두매니 1530 0 09-14
1498 윈 도 우| 윈도우 VHD 빠르게 연결/분리/만들기 [6] 보[boram]람 2215 4 09-13
1497 윈 도 우| 착할선님 Win_Forum_PE_x64x86_int 사용기 [10] 항상감사 1577 2 09-13
1496 윈 도 우| usb 멀티부팅 쉽게 만들기 알려주세요. [4] 영진정 1792 0 09-13
1495 윈 도 우| Win10_ForumPE_x64x86 단일Wim 부팅 구성기 [461] 선우 4018 30 09-13
1494 윈 도 우| c# WINSAT(체험지수) 점수 출력 프로그램(테스트용) [3] codese7en 1194 1 09-12
1493 윈 도 우| 무.산님의 윈도우10 사용기 입니다. [20] 달리기 2153 5 09-11
1492 윈 도 우| PE에서 바이두 코드넣기 에러 사용기 [7] 단편지식 1129 5 09-11
1491 윈 도 우| 계속 도전2 : 윈도10 RS1 [레드스톤1] 14393.105 [22] suk 2725 10 09-09
1490 윈 도 우| WinforumPEx64 받으신 회원님들 참고 하세요 [78] 선우 2700 6 09-08
1489 윈 도 우| 지연서연아빠님 PE 강좌 정말 감사합니다. [20] 리엣 1099 5 09-08
1488 윈 도 우| WinforumPEx64_14095_10 [316] 선우 3559 41 09-0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