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부팅파일 따로 다른 파티션에 만드니까 편하네요

2014.06.25 17:31

suk 조회:5872 추천:11

install.wim파일로 직접 설치하다 보니까, 항상 C드라이브만 사용했죠.

부팅파일과 윈도 뽕작..


근데 가상머신에 테스트설치할때 빠르게 설치한다고 그냥 미할당공간에 바로 설치해버립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시스템예약파티션이 생기더군요. 이것 때문에 시스템예약파티션을 처음으로 구경하고 관심을 조금 가져봅니다


시스템예약파티션에는 부팅파일이 있습니다.

그래서 부팅불능 문제에는 C드라이브에만 몽땅 설치된 것보다는 유리하겠죠?


저는 이미 윈도를 설치해놓은 상태라서...C드라이브는 냅두고

다른 파티션에 부팅파일을 다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활성만 해주면...그게 부팅파티션...시스템예약파티션 비슷한게 됩니다


여기에 PE를 추가하니까 편리하네요

윈도 포맷, 재설치와는 관계없이 계속 부팅메뉴는 지속되는겁니다


방금 트루이미지 복구했는데...그대로 유지됩니다

단지 복구할때, 기존 C에 활성이 되어 있으므로..활성만 체크해제해줬습니다.


이렇게 하시면 고스트 사용하셔도 될 겁니다.

고스트가 활성은 해주지 않죠?


부팅파일 생성방법

bcdboot c:\windows /s x: /L ko-kr

여기서 x: 이것만 원하시는 드라이브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L ko-kr은 언어입니다. 생략하면 영어입니다.

활성은 디스크관리에서 위 x:에 해당하는 드라이브를 우클릭하시면 나옵니다.


* 활성된 드라이브로만 부팅시도를 하므로...부팅파일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은 경우 부팅불능입니다

부팅불능에 대비책이 없으신 분들은 극히 조심하셔야겠네요. 아무 대책없이 테스트하시는 분들이 가끔 계시더군요.


제 개인적으로는 또 다른 파티션에 교대로 윈도를 설치하는데요

이렇게 제 3의 파티션에 부팅파일을 두면 위 2파티션에 윈도를 포맷,설치해도 계속 부팅메뉴는 유지가 되어서 편리하겠습니다


1. 윈도1

2. 윈도2

3. PE

기본 부팅을 윈도2로 해놓으면 위,아래로 한번만 클릭해주면 되겠네요.


* 위 bcdboot로 부팅파일 만드신 후에,(재부팅후) 다른 윈도나 PE 추가는 EasyBCD로 해주시면 간단합니다.


* 어디로 올려야할지 고민하다가 결국 또 사용기네요;


* uefi 시스템은 이미 부팅파티션이 따로 있으므로...이건 MBR하드에 적용되는 이야기 같습니다


------------------

2014-06-25 20:14

그림 추가 합니다


제3파티션으로부팅하기1.png

위에서 말한..윈도1은 첫번째 파티션..윈도2는 2번째 파티션..부팅파일은 3번째 파티션에 만들었습니다

PE는 아무데나 두셔도 상관없습니다. (물론 포맷하는 윈도 파티션에는 안 되겠죠;)

Y가 있는 것도 됩니다. 아무 파티션이나 몽땅 풀어두시면 됩니다. wim만 등록하시고.

-------------------

2014-06-26 23:32

또 좋은점 발견했습니다


윈도상에서복구되네요.굿.png

윈도복구도 윈도상에서 가능하게 되었네요.물론 다른 파티션에 해야 합니다만...

부팅파일까지 있으면 뭔가 자유롭지 못 했던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

위 트루이미지는 아니네요. 희한하게 복구됩니다.

이 파티션에서 백업한 걸, 다른 파티션에 복구하니까...여전히 이 파티션이 C드라이브네요. 이게 무슨 괴변인지?

부팅은 저쪽에 했는데..사용은 엉뚱한 이 파티션을 한다는거죠. 아주 그냥; 그래서 윈도상에서 복구하는건 일단 보류입니다

같은 파티션으로 복구해야 정상적으로 복구되네요. 조금 좋다 말았네요. 어차피 PE로 부팅하여 금새 복구합니다만

..근데..다른 파티션(버추얼박스의 vhd)을 복구한거는 정상으로 복구가 되었습니다. 무슨 차이인지..?

이 부분 좀 더 연구해봐야겠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2247 윈 도 우| VHD에서는 윈도우 버전 업데이트가 되지 않습니다 [12] suk 1058 12 05-30
2246 윈 도 우| Windows11 22H2 x64 (Rus by OneSmiLe 22621.4) Kor+Util ... [5] 로락이 2042 12 06-13
2245 윈 도 우| Easylight 왕초보님 PE 사용기 [4] 산나물 730 12 01-13
2244 윈 도 우| KB5036893_22621.3447 and 22631.3447 [4] 16k 715 12 04-10
2243 윈 도 우| 퀀텀pe 사용기 [2] 이서윤아빠 914 12 02-08
2242 윈 도 우| uup down 러시아 pe 살펴보기 [5] 4k8k 661 12 06-03
2241 윈 도 우| Windows 10 LTSB KB5027215(Os 빌드 19045.3086) 4k8k 586 12 06-14
2240 윈 도 우| WINDOWS X-LITE OPTIMUM 11-사용기 [7] 하늘개구 828 12 01-07
2239 윈 도 우| 윈도우 디펜더 이 설정은 관리자가 관리합니다. [2] 4k8k 625 12 07-19
2238 윈 도 우| 큰나무님 3Systemboot PE 스샷 [5] 초심겸손 396 12 05-21
2237 윈 도 우| 초보에 큰**님 윈키br 아홉번째 빈**님 윈도우11 64비트 ... [4] 수리수리 257 12 02-28
2236 윈 도 우| 무월님이 소개해준 MSMG Toolkit 사용기(간단) [6] 마로94 638 12 03-21
2235 윈 도 우| KB5034123 _OB 22621.3007_22631.3007 [3] 4k8k 709 12 01-10
2234 윈 도 우| 윈도10 업그레이드 도우미 테스트 중입니다 [11] suk 2893 11 08-05
2233 윈 도 우| [무등산-2013.12.15] 윈도자동인증 8.1 x86 x64 Enterprise [21] Teris 12888 11 12-15
» 윈 도 우| 부팅파일 따로 다른 파티션에 만드니까 편하네요 [11] suk 5872 11 06-25
2231 윈 도 우| USB로 7과 8과 8.1 ISO 이용하여 윈도설치 잘 됩니다. [12] suk 11612 11 10-05
2230 윈 도 우| durimung님 GBITv20150329V (엔딩판) 사용기입니다 [18] cfox 5244 11 03-29
2229 윈 도 우| XP.wim파일도 하드에서 설치해봅시다. [9] suk 5799 11 12-05
2228 윈 도 우| 32비트 윈도에서 PAE로 4GB 상위주소 안정적 사용. [29] 빛과그림자 6825 11 12-2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