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Win11 작업줄 투명화

2023.08.11 15:25

집앞의_큰나무 조회:1224 추천:59

 

 

  투명한 작업 표시줄을 사용하지는 않습니다만.

맹*님 쪽* 질문을 보고 윈도우 버전업이 되면서 안될것 같다는 답을해주고 나서

조금 미안한 마음에 찾아보니  TranslucentTB 사용 방법이 

"홍차의 꿈"님 블로그에 설명이 잘되어 있더군요 

 

단지 Windows11이 업데이트가 되면서  그냥은 안되고 Microsoft.UI.Xaml.2.8.x64.appx를 요구하고 있나 봅니다.

 

예전의 방식인 레지스트리 변경 방법도 이제는 안통하는것 같고요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Advanced]

"UseOLEDTaskbarTransparency"=dword:00000001

 

 

 

TranslucentTB를 활용하는것이 지름길 같은데 

스토어에서 받기가 무척 어렵습니다.

하여 포터블 TranslucentTB를 다운받아서 실행하는 

TranslucentTB 작동에 관한 핵심적인 방법만 나열해보겠습니다.

저도 처음이라서 일반화 하기에는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알립니다.

 

이하 나의 일기장에서 긁어왔기에 첨부된 그림 일부가 없습니다.

--------------------------------------------------------

순서1

우선 아랫 링크의 Visual Studio 4종을 모두 설치해줘야 Dll 파일이 없다는 잔소리를 안합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cpp/windows/latest-supported-vc-redist?view=msvc-170 

 

 

img.png

 

순서2

아랫 링크의  Microsoft.UI.Xaml.2.8.x64.appx를 다운로드합니다.

https://github.com/microsoft/microsoft-ui-xaml/releases

 

img.png

 

순서3 

Microsoft.UI.Xaml.2.8.x64.appx가 위치한곳에서

 터미널에서 열기(Windows PowerShell)를 실행하여 아랫 명령어로 Microsoft.UI.Xaml.2.8.x64.appx를 설치합니다.

Add-AppxPackage -Path "Microsoft.UI.Xaml.2.8.x64.appx"

바탕 화면에 위치한 경우

Add-AppxPackage -Path "C:\Users\Administrator\Desktop\Microsoft.UI.Xaml.2.8.x64.appx"

 설치가 완료되면 숨김 해제하고   C:\Program Files\WindowsApps 폴더를 보면 확인 가능합니다.

설치 확인.png

 

 

순서4

TranslucentTB 포터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합니다.

깃허브 홈페이지   

포터블 

https://github.com/TranslucentTB/TranslucentTB/releases

 

img.png

 

순서5

TranslucentTB 포터블 폴더에서 TranslucentTB.exe를 실행합니다.

 

img.png

 

 

그런데 포터블은 1회성 같아요

그래서 포터블 TranslucentTB가    C:\Program Files\Portable\TranslucentTB 폴더에 있다는 가정하에 

부팅 직후부터 작동이 되도록 하려면  레지스트리 Run에 등록해야 하는데  레지 설명은 건너 뛰기위해

아래의 배치 파일을 실행하면 지속적으로 작동됩니다.

TranslucentTB시작.cmd

 

그리하여 이런 그림이 되었고 

11-1.png

적용된 파일을 올려둡니다.

    테마 스위칭 포함.

    PE부팅 5초 딜레이 막대바 진행 포함

 22621.2134 작업줄 투명화 .tx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787 윈 도 우| (개념글) UEFI 가 사람바보 만드네요.. [7] bleach 5441 1 01-11
3786 윈 도 우| WinPEx86 mid v1.8 - 사용기 [2] forbe 4758 1 01-12
3785 윈 도 우| 표준사용자로 전락했을 때, 다시 관리자로 승진하기 [5] suk 4901 1 01-13
3784 윈 도 우| windows_embedded_8_1_industry_pro 간단 사용기 [11] 마니또우 7113 5 01-14
3783 윈 도 우| ko_Windows 8.1_x86_Embedded Industry (2014.1.14)설치 [11] k-style 8194 3 01-17
3782 윈 도 우| 8.1 Industry Pro 참 좋아요.. [13] bleach 10311 3 01-19
3781 윈 도 우| [스샷추가] Windows 8 Sweet Dream x64 en-US [4] k-style 3251 2 01-24
3780 윈 도 우| [스샷추가] 작년 5월초에 받았던 것 [7] k-style 3404 0 01-24
3779 윈 도 우| 하드에서 설치 방식으로 uefi 설치 가능하네요 [8] suk 4457 2 01-25
3778 윈 도 우| CD&USB 부팅이미지 제작 > 2513 윈 도 우 DaBin 3836 0 01-26
3777 윈 도 우| server_2012_r2_vl_x64_dvd_3316969 설치기.. [6] bleach 4320 2 01-28
3776 윈 도 우| Win 8.1 Heavier™ Ed. 2014 x64 [10] k-style 4522 1 01-28
3775 윈 도 우| PowerUlitmatePE 8 x64 standalone 물건이네요.. [5] bleach 5416 1 01-30
3774 윈 도 우| [무X산 2014.1.26일] Windows 8.1 x64 Embedded Industry Pro [17] Teris 6824 1 01-30
3773 윈 도 우| [테스트] Windows7에 xp추가설치하기 [2] suk 3370 0 01-31
3772 윈 도 우| Wim 파일만 있을 때, usb로 PE부팅하기 - EasyBCD [18] suk 11298 2 02-01
3771 윈 도 우| 8.1 Blue(16596)은 일반 윈도우 8.1 이로군요.. [10] bleach 5010 0 02-04
3770 윈 도 우| [추가 테스트2] UEFI에서 x86 PE부팅하기 [8] suk 4466 3 02-05
3769 윈 도 우| PE만들기 쉬워졌네요 [17] suk 6870 4 02-05
3768 윈 도 우| 드디어 윈빌더 스크립트로 2014 가 되는군요. [6] suk 4873 4 02-0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