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윈 도 우 [추가] 윈도10 버전1903 예약된 저장소 - 삭제 테스트

2019.04.12 05:40

suk 조회:7556 추천:29

예약된 저장소는 버전 1903 부터 새로 생긴 것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기존의 예약 파티션으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별도의 파티션이 아니고, C: 내부에 미리 차지하는 공간입니다. 

 

요즘 예약된 저장소 이야기가 자주 보여서 설치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44228.jpg

 

19H1 [코드네임], 버전 1903, 18362.1 빌드 [정식으로 확정된 RTM]로 테스트했습니다.

VHD에 윈도 이미지 설치[wim 압축해제]하여, vmware에 연결할 겁니다. 이런 테스트는 가상 머신으로도 됩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44428.jpg

 

빠른 테스트를 위하여 무인설치만 적용했습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45311.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45519.jpg

 

윈도만 설치했는데도 용량이 크네요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45704.jpg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레지스트리를 적용해봤습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45727.jpg

 

내용은 위와 같이 간단합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45826.jpg

 

예약된 저장소 7GB가 그대로 있습니다. 재부팅을 해봐야겠습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45910.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 예약된 저장소 확인하는 방법 2019-04-12_050028.jpg

 

막간을 이용한 팁으로 예약된 저장소 찾아가는 방법입니다

[더 간단한 방법으로 작업표시줄 검색에 '저'만 입력해도 '저장소 설정'이 목록에 나옵니다. 엔터...즉, '저' 입력후 엔터입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 예약된 저장소 확인하는 방법 2019-04-12_050126.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 예약된 저장소 확인하는 방법 2019-04-12_050201.jpg

 

변화가 없네요. 이미 MDL 에서 봤기 때문에 예상한 일입니다.

윈도 설치 후에는 레지스트리 적용이 안 됩니다. 윈도 설치 전에 병합해야 한다고 합니다

 

MDL에서 본 것은 레지스트리 + 설치 전에 병합해야 한다 뿐입니다 [스샷 없는 댓글]. 나머지는 제 생각입니다

 

그래서 다시 윈도 설치 전에 레지스트리 하이브하여 테스트해봤습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50856.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50929.jpg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2019-04-12_051115.jpg

 

reg load HKLM\1 N:\Windows\System32\config\Software
reg add HKLM\1\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eserveManager /v ShippedWithReserves /t reg_dword  /d 0 /f
reg unload HKLM\1

 

N: 드라이브 문자만 수정하여 전체 복사하여 한꺼번에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CMD [명령 프롬프트]로 하셔도 됩니다

 

여기서 윈도 설치 전/후가 조금 혼동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위에서 RSImageX로 이미 윈도 설치한 것이 아닌지?

위에 작업은 단순히 wim 파일을 압축해제만 한 상태입니다. 압축해제된 윈도로 부팅하기 전까지는 아직 윈도 설치를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위 상태는 다시 wim 이나 gho 파일로 저장하면 처음 install.wim과 같은 만능 이미지입니다

하지만, 부팅하는 순간 기본 드라이버들이 설치되고 사용자 계정까지 생겨서 만능 이미지가 아니라 그 시스템에 특화된 이미지가 됩니다.

 

그러니까 install.wim 에 미리 적용하실 분들은 위와 같이 저장하시면 됩니다만, 압축해제/캡처 보다는 마운트/언마운트 방식이 시간이 적게 듭니다.

 

Windows 10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테스트 - 윈도 설치 전에 레지스트리 추가하면 예약된 저장소가 생기지 않습니다 2019-04-12_051710.jpg

 

이렇게 C:에 있는 예약된 저장소 7GB가 생기지 않습니다. C: 사용량도 7GB 만큼 줄어들었네요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 - 레지스트리 하이브.txt [위에 테스트한대로 wim 압축해제 후, 윈도 설치 전에 적용됩니다. 윈도 설치 후에는 안 됩니다]

예약된 저장소 해제하기.reg [주의: 위에 테스트한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 단, 하위 윈도에서 버전1903 을 업데이트 방식으로 설치하는 경우는

하위 윈도에서 적용하시면 됩니다]

 

---------------------------

추가: 2019.04.12 금요일 오후 06:47

 

위에 윈도 설치 전에 레지스트리 하이브 로드하여 병합하는 방식은 좀 낯선 듯 합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하는 방법을 찾아봤는데요

다행히 비교적 익숙한 SetupComplete.cmd 에 레지스트리 명령어를 넣으니까 잘 적용되었습니다

 

기존에 SetupComplete.cmd 사용하시는 분들은 다음 3줄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추가: 어디에 넣으실 지 고민이 되시면 제일 위에 추가하시면 됩니다]

 

:: 버전1903 부터 생긴 '예약된 저장소' 생성 방지
for /f "tokens=3 delims=.]" %%a in ('ver') do set build=%%a
if %build% GEQ 18362 (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eserveManager /v ShippedWithReserves /t reg_dword  /d 0 /f) 

 

SetupComplete.cmd 를 사용하지 않던 분들은 다음 oem 폴더를 윈도 iso 의 sources 폴더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iso 편집이 익숙하지 않으시면, 기존 iso를 usb로 만드신 후에 usb의 sources 폴더에 oem폴더를 넣어주셔도 됩니다

버전1903부터예약된저장소방지하기.zip [OEM 폴더]

---------------------------

추가: 2019.10.23 수요일 오후 12:45

버전1903부터예약된저장소순정대로사용.zip [OEM 폴더]

이 파일은 반대로 예약된 저장소 삭제 적용된 경우에도 순정으로 예약된 저장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19.06.04 화요일 오전 03:38

다음 글을 보고 추가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https://windowsforum.kr/free/11715874 여기서는 글로만 간단히 씁니다

위에 자유게시판 댓글에 쓴대로 처음에는 현재 제 통합본이 18362.116 까지만 만든 상태라서 18362.116 빌드를 설치하고 테스트한 것입니다

먼저 18362.116 빌드에서 레지스트리 적용하고, 여전히 레지스트리 적용해도 반영이 안 되는 걸 확인하고

그 다음에 18362.145 빌드를 윈도 업데이트 했습니다. 이렇게 하니까 반영이 되었는데요

그런데, 처음부터 18362.145 빌드를 설치하여 확인해보니까 여전히 레지스트리 적용해도 반영이 안 됩니다. 희한하네요.

현재까지는 윈도 설치 후에는 레지스트리가 바로 적용되지 않고 기능 업데이트든지, 품질 업데이트[일반 윈도 업데이트]든지 해야 반영이 됩니다.

---------------------------

2019.10.14 월요일 오전 02:01

원래 버전 1903 만 아니라, 버전 1903 '부터' 적용되도록 위에 명령 스크립트를 만들었습니다

19H2 (버전 1909, OS 빌드 18363.418) 에도 적용되고, 20H1 인사이더 프리뷰 (OS 빌드 18999.1) 에도 적용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현재 최신 윈도우들 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863 윈 도 우| ★ ★ ★ ★ ★ 월드베스트 PE Lite 7.0 미리보기 [218] 사랑과평화 7816 74 06-25
3862 윈 도 우| 수정 사용기 00.JPG가저가세요 [206] 무등산 7803 69 12-25
3861 윈 도 우| 복구 파티션 만들기(+자료 업로드) 수정 [27] efny 7794 18 01-03
3860 윈 도 우| Windows 10 Pro K 2015 LTSB 사용기 [39] 서비스 7771 11 08-03
3859 윈 도 우| [정정]WMC 무료키 가지신 분들은 행운아 이십니다 ㅎㅎ [18] suk 7676 0 10-18
3858 윈 도 우| ★ ★ ★ ★ ★ 월드베스트 PE Lite 3.0 [종료] [269] 사랑과평화 7610 140 06-14
3857 윈 도 우| WBPE vs k.j-ultimate PE(사견추가) [60] bleach 7591 9 06-01
3856 윈 도 우| 8.1 에서 가장 깔끔한 에어로글래스 테마.. [3] bleach 7585 2 04-20
3855 윈 도 우| win10 - 프리뷰 한글깨짐 간단한 해결방법.. [6] suk 7580 3 04-19
3854 윈 도 우| 완전무인설치 파일입니다. win7~ win8.1/서버포함 [19] suk 7569 9 09-19
» 윈 도 우| [추가] 윈도10 버전1903 예약된 저장소 - 삭제 테스트 [26] suk 7556 29 04-12
3852 윈 도 우| CPU가 G3258인 PC에 Win 10 설치하기 [23] 올파 7482 4 08-20
3851 윈 도 우| 저에게 8.1 트윅은 이제 필수가 되었네요. [20] bleach 7424 7 12-22
3850 윈 도 우| 땅콩10pe 수정배포 [106] 땅콩 7396 52 08-24
3849 윈 도 우| k.j Ultimate PE 5.2 사용기.. [21] bleach 7379 4 04-28
3848 윈 도 우| Windows 10 Technical Preview 사용기 [29] suk 7379 5 10-02
3847 윈 도 우| 8.1통합해봤습니다. [9] suk 7358 1 10-19
3846 윈 도 우| 요즘 윈10 Pro LTSB가 유행인가요? [23] suk 7343 15 08-09
3845 윈 도 우| 윈도우 XP통합 버전의 설치 비교 결과 [18] 마니또우 7341 0 10-04
3844 윈 도 우| 저에게 PE는 이게 최고네요.. [22] bleach 7336 14 11-06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