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Y: 으로 연결 되는 PE 부팅해봤습니다

2017.09.04 20:46

suk 조회:643 추천:6

https://windowsforum.kr/qna/9080014

오늘도 질문에 올라와서 궁금증을 참지 못 하고 부팅 테스트만 해봤습니다.

 

먼저 가상머신에서 구경을 해봤습니다. 시작메뉴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다행히 댓글에 선우님께서 StartMenu.7z 파일을 올려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상머신에서는 잘 되는걸 확인했습니다

 

질문에서 가상머신보다는 실컴에서 안 되신다고 하셔서....가상머신은 스샷도 하지 않았네요.

실컴 작업만 스샷을 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559.png

2가지 파일이 있으면 됩니다.

 

iso 의 sources 폴더의 boot.wim 수정부터 하려고 합니다. StartMenu 수정하기 위하여..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706.png

 

7집이 설치된 상황입니다. iso 우클릭으로 압축파일 열기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746.png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842.png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2914.png

 

역시 wim을 복사하여 원본을 백업해놓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027.png

 

wim 수정은 다양한 툴들이 있습니다만...윈도 설치 때 항상 사용하는 RSImageX로 해봤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255.png

 

StartMenu 폴더 수정하는 것은 스샷에 전부 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554.png

 

이렇게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2017-09-04_163644.png

 

변경사항 저장 체크하고, 마운트 해제 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wim 파일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실컴이든 가상이든 2017-09-04_163918.png

 

바로 boot.wim 파일을 VHDman.exe 이용하여 부팅 등록합니다. wim 파일은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Y: 관련 파일들만 최상위 폴더 제한이 있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wim 파일 위치는 어디에 있어도 관계없습니다. 실컴이든 가상이든 2017-09-04_164247.png

 

부팅 등록을 그냥 확인해봤습니다. 안 해도 되는 과정입니다. 그냥 제 성격상...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Y드라이브로 연결된 파일들은 최상위 폴더에 있어야 됩니다-실컴 드라이브 문자는 Y가아니라도관계없습니다 PE로부팅하면서 Y으로 자동연결되는것입니다 2017-09-04_164438.png

 

Y: 관련 파일들은 역시 7집 우클릭으로....위 3가지만 실컴 파티션에 복사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까 pecmdext.ini 내용이 없어서 제외해도 상관이 없었습니다

 

* CdUsb.Y가 필수 파일입니다. PE 부팅을 하면 cdusb.y 파일을 찾아서 Y:으로 탑재하게 됩니다

 

* 여담으로 위에 E:은 오늘 새벽에 레드스톤3 인사이더 프리뷰 16281 빌드를 실컴에 설치하다가....드라이버 설치까지 하고 하니까..

  갑자기 나른해져서 그만둔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RTM 나오면 다시 설치해야겠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Y드라이브로 연결된 파일들은 최상위 폴더에 있어야 됩니다-실컴 드라이브 문자는 Y가아니라도관계없습니다 PE로부팅하면서 Y으로 자동연결되는것입니다 - 파일준비완료 2017-09-04_164721.png

위처럼 윈도가 있는 파티션이라도 관계가 없습니다. PE로 부팅 했을 때는 윈도도 단순한 파일들일 뿐입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211.png

 

이렇게 Y:이 잘 연결 되어서 실행 아이콘들이 잘 나옵니다. 부팅하자마자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427.png

 

시작 메뉴의 아이콘들도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2017-09-04_185542.png

 

레드스톤2 라서 스카이레이크도 인터넷 자동으로 잡힙니다.

 

chum4 - win10x64 PE - 실컴 부팅 테스트 - 성공 - cdusb.y 있는 파티션이 자동으로 Y드라이브로 잡힙니다 2017-09-04_185635.png

 

이렇게 실컴 윈도에서 E: 이었던 것이 PE로 부팅하여 자동으로 Y:으로 잡힙니다

Y:으로 잡혀야 프로그램들이 연결됩니다. 프로그램 경로가 Y: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E는 스크린샷에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67 기 타| 서기다님 wim 마운트 cmd 사용기입니다..고생하셨습니다.. [9] 왕초보 569 4 09-08
366 기 타| 카멜님 yPASC1.19t처럼 wim에서 프로그램 불러오기 [10] 서기다 538 4 09-08
365 기 타| 카멜님의 RSPASC1.23 업데이트 버전 사용기입니다.. [9] 왕초보 479 3 09-08
364 기 타| 해결! PE에서 사용자 개인 설정 (응답 없음) 의 원인을 찾... [8] 왕초보 3940 3 09-07
363 기 타| VHD에 있는 ini를 수정해서 배경화면을 다르게 보여주게 하... [7] 왕초보 573 3 09-07
362 기 타| 아이디어 정리중입니다 [5] 서기다 816 3 09-06
361 기 타| 입니다님 v3.8.7.1 간단 리뷰 [13] 서기다 1098 7 09-06
360 기 타| 서기다님이 튜닝하신 F3W8x86Vhd.ISO 간단한 사용기입니다... [21] 왕초보 857 8 09-05
359 기 타| PETools.VHD에 시작메뉴 백업기능을 추가하여 보았습니다.. [6] 왕초보 426 4 09-05
358 기 타| 짝퉁! VHD를 연결하는 PTSVHD.exe를 모방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683 5 09-04
357 기 타| Y: 에 프로그램이 있는 PE도 iso 부팅이 가능하군요 [9] suk 824 9 09-04
356 기 타| flower3님 pe처럼 cmd로 vhd 탑재 해제 [10] 서기다 565 4 09-04
» 기 타| Y: 으로 연결 되는 PE 부팅해봤습니다 [7] suk 643 6 09-04
354 기 타| 2탄) 네트워크 연결 차단과 해제 우클 만들기 [11] 서기다 779 5 09-04
353 기 타| 다른 컴에서 Y: 레지값으로 VHD가 Y:로 연결이 잘 되네요.. [9] 왕초보 660 5 09-03
352 기 타| flower3님 Win8PeSTD 저용량 vhd연결 사용기 [6] 서기다 734 4 09-03
351 기 타| 우연히! PE에서 레지수정으로 VHD가 Y:로 연결이 되네요 [5] 왕초보 789 5 09-02
350 기 타| 보[boram]람님이 소개하신 간단한 VHD 관리자 v1.3 사용기... [4] 왕초보 700 4 09-02
349 기 타| (추가) 서기다님이 수정하신 8x86 PE 간단한 사용기입니다 [13] 왕초보 788 5 09-02
348 기 타| Apps가 아닌 다른 폴더에서 PETools.VHD를 연결하여 보았습... [7] 왕초보 645 4 09-0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