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PE에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2017.08.27 20:29

suk 조회:1881 추천:11

질문에 올라와서 확인도 할겸 테스트 해봤습니다

https://windowsforum.kr/qna/9037990

 

PE의 버전 확인 방법 - 윈도 탐색기 explorer.exe 빌드 확인 2017-08-27_174648.png

 

먼저 댓글에 썼듯이 PE를 부팅하지 않아도 PE에 사용된 윈도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7집으로 iso 우클릭, 압축파일 열기->sources 폴더의 boot.wim[더블클릭]->windows->explorer.exe [윈도 탐색기]을 바깥으로 추출합니다

스샷에 경로가 있습니다. explorer.exe만 추출하면 됩니다. 7집 설치하면 놀랍더군요. iso 안의 wim 파일 내부까지 그냥 들어갑니다

 

PE의 버전 확인 방법 - 윈도 탐색기 explorer.exe 빌드 확인 2017-08-27_174834.png

 

추출했습니다. 우클릭 -> 속성 -> 자세히, 빌드 번호를 확인 가능합니다

 

PE의 버전 확인 방법 - 윈도 탐색기 explorer.exe 빌드 확인 - 10586 빌드는 윈도10 버전1511 입니다 2017-08-27_174904.png

 

10.0.10586.104

 

3번째 있는 것이 모든 윈도를 일렬종대로 세울 수 있는 빌드 번호입니다. 가장 중요합니다.

10586 빌드는 윈도10 버전1511 입니다

다른 윈도들은 굳이 빌드를 알지 않아도 윈도7 윈도8 윈도8.1 이 정도만 알면 됩니다

 

그런데 윈도10은 버전마다 빌드가 달라지고, 빌드 숫자만 아니라 실제로 달라집니다.

그 중에 랜드라이버가 새로운 컴퓨터에 대응하여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서 스카이레이크는 버전1511은 인터넷 잡히지 않고 버전1607 부터는 잡힙니다.

 

윈도10 버전 정리입니다. 버전이 곧 RTM 공개년월입니다 버전1703 은 20173월에 RTM 이 나왔습니다.

1번째 나온 윈도10은 버전1507 TH1으로 10240 빌드입니다. 

2번째 나온 윈도10은 버전1511 TH2으로 10586 빌드입니다

3번째 나온 윈도10은 버전1607 RS1으로 14393 빌드입니다

4번째 나온 윈도10은 버전1703 RS2으로 15063 빌드입니다

정식 버전은 이렇게 4개가 나왔습니다. 각 버전의 사이의 중간 빌드 숫자들은 인사이더 프리뷰 입니다.

 

라이젠은 2017년 3월에 출시 되었는데 어째서 버전1511로 인터넷이 잡히는가?

제가 찾아보니까 라이젠 내장 랜카드는 2012년에 나온 인텔 I211 이었습니다...

이 정도면 윈도10 모든 버전과 심지어 윈도8.1도 자동으로 인터넷이 잡힐 것입니다. 윈도8.1이 2013년 8월쯤에 출시 되었습니다.

 

* 한가지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도 계실 듯 합니다. 버전1511 이 2015년 11월에 나왔는데 왜 위에 추출된 explorer.exe 수정한 날짜는

  2016년 4월인가? 그것은 업데이트된 버전1511 이기 때문입니다. 리비전 104 입니다 [10586.104]

  하지만, 버전 변경 때만 드라이버는 추가됩니다. 그래서 2015년 11월에 출시된 버전1511 초기 파일과 드라이버는 동일합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단일wim으로 된 pe네요 2017-08-27_175139.png

 

태풍소x님 pe는 boot.wim 단일로 된 pe입니다.

그래서 boot.wim만 바깥으로 추출하여 부팅 등록만 하면 됩니다. 단일wim으로 된 pe가 이런 측면에서 참 편리합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단일wim으로 된 pe네요 2017-08-27_175316.png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단일wim으로 된 pe네요 - vhdman.exe로 부팅등록 - 3번 부팅항목 추가 2017-08-27_233628.png

 

wim 부팅 등록은 vhdman.exe가 편리하더군요.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거의 전부 자동 입력이 되기 때문입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단일wim으로 된 pe네요 - vhdman.exe로 부팅등록 2017-08-27_175714.png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단일wim으로 된 pe네요 - vhdman.exe로 부팅등록 - bootice.exe로 부팅 등록 확인 2017-08-27_175933.png

 

vhdman.exe에 내장된 bootice.exe로 bcd 부팅 등록을 확인해봤습니다.

그냥 제 성격상 확인해본 것이고, 안 하셔도 되는 것입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단일wim으로 된 pe네요 - vhdman.exe로 부팅등록 - bootice.exe로 부팅 등록 확인 - 실컴 부팅 성공 - 역시 랜 드라이버 안 잡히네요 2017-08-27_180710.png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단일wim으로 된 pe네요 - vhdman.exe로 부팅등록 - bootice.exe로 부팅 등록 확인 - 실컴 부팅 성공 - 역시 랜 드라이버 안 잡히네요 2017-08-27_181716.png

 

실컴으로 부팅해봤습니다. 역시 윈도10 버전1511 빌드10586 이고, 컴퓨터는 스카이레이크라서 인터넷이 잡히지 않습니다

 

이제 boot.wim에 랜드라이버를 통합할 생각인데요. 지금까지는 실컴의 사용중인 윈도에서 했습니다만

이번에는 그냥 PE에서 해보기로 했습니다. 바로 여기서...롸잇 나우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원본 백업 2017-08-27_182249.png

 

원본은 소중하기 때문에 일단 백업부터 했습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2017-08-27_182726.png

 

RSImageX로 마운트부터 했습니다. mount 폴더 만들어서 boot.wim을 마운트 했습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 빈칸 중요합니다 2017-08-27_183033.png

 

이전에 사용기에도 썼습니다만, 이 부분이 아주 중요합니다.

스샷에 있는대로 빈칸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 변경사항저장 체크하고 마운트해제 2017-08-27_183431.png

 

변경사항저장, 체크하고 마운트해제, 이걸로 랜드라이버 통합은 완료 되었습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 용량축소를 위하여 이미지내보내기 -안 하셔도 됩니다 2017-08-27_183709.png

 

이건 안 해도 되는 작업인데요. 그냥 wim 내보내기를 하여 wim 용량을 약간 줄인 것입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 용량축소를 위하여 이미지내보내기 -안 하셔도 됩니다-파일이름변경 2017-08-27_183901.png

 

용량 줄인 것을 boot.wim으로 하고, 내보내기 전의 boot.wim은 그냥 삭제했습니다

 

작성 중입니다. 이미지가 더 이상 안 올라가서 중간에 끊었습니다 [아..공지사항에 서버 점검 중이시네요]

 

2017.08.27 21:29

다시 이미지 보이네요. 작성 중입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 용량축소를 위하여 이미지내보내기 -안 하셔도 됩니다-파일이름변경 -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부팅때 인터넷 연결될 겁니다 2017-08-27_183943.png

 

이제 재부팅만 하면 랜드라이버만 통합된 boot.wim으로 부팅하게 됩니다. 인터넷이 자동으로 잡히겠지요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 용량축소를 위하여 이미지내보내기 -안 하셔도 됩니다-파일이름변경 -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부팅때 인터넷 연결될 겁니다 -성공 2017-08-27_184207.png

 

역시 예상대로 잡힙니다. 약간 이상한 측면은 있습니다. ip는 안 잡히더군요. 어쨌든 인터넷은 됩니다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 용량축소를 위하여 이미지내보내기 -안 하셔도 됩니다-파일이름변경 -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부팅때 인터넷 연결될 겁니다 -성공 2017-08-27_184342.png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 용량축소를 위하여 이미지내보내기 -안 하셔도 됩니다-파일이름변경 -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부팅때 인터넷 연결될 겁니다 -성공-우클릭에 많네요 2017-08-27_185005.png

 

우클릭이 알차게 구성 되어 있네요

 

태풍소x님 PE에 랜드라이버 추가하기 -  RSImageX로 랜드라이버 통합하기 - 용량축소를 위하여 이미지내보내기 -안 하셔도 됩니다-파일이름변경 -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부팅때 인터넷 연결될 겁니다 -성공-우클릭에 많네요-재부팅 2017-08-27_185119.png

 

재부팅도 우클릭으로 가능하군요. 스샷은 다 올렸습니다

 

윈도10PE_x64용-인텔-리얼텍-랜[인터넷]드라이버.zip

이것은 예전에도 올렸던 그 랜 드라이버 파일입니다. 받으셨던 분들은 다시 안 받으셔도 됩니다.

랜드라이버를 RSImageX로 통합할 때 압축해제 하셔서 폴더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상위 폴더 지정해주시면 하위 폴더는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일단은 다 작성한 것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67 기 타| 카멜님의 RSPASC1.23 업데이트 버전 사용기입니다.. [9] 왕초보 479 3 09-08
366 기 타| 카멜님 yPASC1.19t처럼 wim에서 프로그램 불러오기 [10] 서기다 538 4 09-08
365 기 타| 해결! PE에서 사용자 개인 설정 (응답 없음) 의 원인을 찾... [8] 왕초보 3940 3 09-07
364 기 타| VHD에 있는 ini를 수정해서 배경화면을 다르게 보여주게 하... [7] 왕초보 573 3 09-07
363 기 타| 아이디어 정리중입니다 [5] 서기다 816 3 09-06
362 기 타| 입니다님 v3.8.7.1 간단 리뷰 [13] 서기다 1098 7 09-06
361 기 타| 서기다님이 튜닝하신 F3W8x86Vhd.ISO 간단한 사용기입니다... [21] 왕초보 858 8 09-05
360 기 타| PETools.VHD에 시작메뉴 백업기능을 추가하여 보았습니다.. [6] 왕초보 426 4 09-05
359 기 타| 짝퉁! VHD를 연결하는 PTSVHD.exe를 모방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683 5 09-04
358 기 타| Y: 에 프로그램이 있는 PE도 iso 부팅이 가능하군요 [9] suk 824 9 09-04
357 기 타| flower3님 pe처럼 cmd로 vhd 탑재 해제 [10] 서기다 565 4 09-04
356 기 타| Y: 으로 연결 되는 PE 부팅해봤습니다 [7] suk 643 6 09-04
355 기 타| 2탄) 네트워크 연결 차단과 해제 우클 만들기 [11] 서기다 779 5 09-04
354 기 타| 다른 컴에서 Y: 레지값으로 VHD가 Y:로 연결이 잘 되네요.. [9] 왕초보 660 5 09-03
353 기 타| flower3님 Win8PeSTD 저용량 vhd연결 사용기 [6] 서기다 734 4 09-03
352 기 타| 우연히! PE에서 레지수정으로 VHD가 Y:로 연결이 되네요 [5] 왕초보 789 5 09-02
351 기 타| 보[boram]람님이 소개하신 간단한 VHD 관리자 v1.3 사용기... [4] 왕초보 700 4 09-02
350 기 타| (추가) 서기다님이 수정하신 8x86 PE 간단한 사용기입니다 [13] 왕초보 788 5 09-02
349 기 타| Apps가 아닌 다른 폴더에서 PETools.VHD를 연결하여 보았습... [7] 왕초보 645 4 09-02
348 기 타| PETools.VHD 마운트 관련해서..특이한 현상이 있네요. [6] 왕초보 592 4 09-0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