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PE를 C:으로 사용하는 방법 - 간단한데 뒷처리가 복잡합니다.

2015.04.28 11:14

suk 조회:3440 추천:3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1---2015-04-28_090957.jpg


일단 하드에 풀어서 설치하는걸 가정합니다.

윈도 대신 c:에 pe를 풀어서 사용하는건데요. - wim 파일로 부팅하는게 아닙니다 -


저는 pe를 실사용하지 않으므로 그냥 VHD가 간편하므로 사용했습니다

동적확장보다는 고정을 사용했습니다. 아무래도 동적으로 움직이는것보다는 낫겠죠


wim 크기에 비하여 3배수 이상으로 크기를 지정합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왼쪽에서우클릭으로디스크초기화.jpg


왼쪽에서 우클릭으로 디스크초기화 합니다


참고로 제가 uefi모드 사용중입니다만...mbr로 초기화해도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 mbr 디스크는 문제없지만

gpt 디스크는 bios모드 부팅은 안 될 겁니다. mbr 디스크가 호환성에서 좋습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오른쪽에서파티션만들고포맷하기..그냥엔터엔터.jpg


오른쪽에서 우클릭으로 파티션을 만들고 포맷합니다. 그냥 엔터 연타 하시면 됩니다.


*추가: y: 포함된 PE는 2개 파티션으로 나누시고, 2번째 파티션에 y:에 해당하는 파일들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1번째 파티션은 wim을 푸시면 됩니다. 또는 그냥 y:에 해당하는건 실컴에 두셔도 됩니다. 

VHD 없이 실컴에 모두하시려면 2개의 드라이브[파티션 또는 볼륨]이 필요하겠습니다. 음..Y: 포함된 PE는.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오른쪽에서파티션만들고포맷하기..그냥엔터엔터2.jpg


그래도 볼륨이름 정도는 잘 구분되라고 만들어줬습니다.

파티션활성, mbr 이런거는 필요없습니다. 이런거는 가상머신에서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지금 실컴으로 테스트하는건데요. 실컴에서는 vhd가 주인공이 아닙니다

부팅파일은 따로 있고..그것만 활성이 되면 그만입니다. vhd는 이 부팅파일에 의존하여 부팅하는 겁니다

가상머신에서는 vhd 자체가 주인공이고..그래서 활성이 필요합니다. 자체로 부팅해야 하므로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PE의wim을압축해제만하면됩니다.포맷은이미했으므로.jpg


wim을 압축해제 하는데요. 아무거나 됩니다. 

반디집이든 7집이든 이렇게 rsimagex도 되고 gimagex도 되고 imagex도 되고..dism 명령으로도 되겠죠. 

저는 자주 사용하는 rsimagex가 편해서 해봤습니다


그냥 바로 압축해제만 하면 됩니다. 다른거 다 필요없고...포맷도 이미 했으므로 생략..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bootice.exe-x로VHD를부팅등록합니다.jpg


이제 부팅등록만 하면 됩니다. bootice.exe가 가벼워서 좋더군요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bootice.exe-x로VHD를부팅등록합니다-일반vhd와다른점은winpe체크입니다.jpg


일반 vhd 등록하듯이 하면 되는데요. 단지 밑에 winpe 이 부분을 체크해줘야만 합니다. pe니까요

근데 저용량 pe라서 그런지 vhd로는 부팅실패했습니다 ;; wim으로는 부팅 잘 되던 겁니다.


그래서 제가 대충 만들었던 64pe로 다시 해봤습니다.


* 위 pe 실패했다는거는 아무 의미없습니다. 스샷을 64pe로 또 하기 귀찮아서 하지 않아서 이렇게 pe가 이중으로 나왔습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제가만든허접win8.1x64PE를efi부팅해봅니다.처음해보네요.jpg


이번에는 efi모드로 부팅해봤습니다. 64pe라서 그냥 한번...처음 시도하는겁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제가만든허접win8.1x64PE를efi부팅해봅니다.처음해보네요-부팅성공3.jpg


부팅 성공했습니다  


이제 X:이 아닌 C:으로 부팅하게 해봐야 할텐데요


마운트된 드라이브를 c:과 X:을 서로 바꾼다든지....부팅때 에러 품더군요.


winntsetup.exe로 역시 c:으로 할당하여 해보니까...부팅때 에러났습니다

근데 여기서 에러메시지에서 힌트를 주더군요. 이 메시지를 자세히 본 다음에 검색하여...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c와x를바꿔봅니다.reg는삽질이었네요.dism명령어로지원해주네요.jpg



Dism /image:L: /Set-TargetPath:C:\

wim을 압축해제 한 다음에 위 명령으로 x: 대신 c:으로 부팅하게 해봅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c와x를바꿔봅니다.reg는삽질이었네요.dism명령어로지원해주네요.C로부팅성공했습니다만...바로가기라든지모든경로를C로바꿔야겠네요.orz그냥X가편할 듯합니다.jpg
오~ 알고 보니까 쉽게 c:으로 부팅 가능하네요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c와x를바꿔봅니다.reg는삽질이었네요.dism명령어로지원해주네요.C로부팅성공.jpg

다만...x:으로 설정된 시작메뉴라든지 바탕화면의 바로가기들이 하나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c와x를바꿔봅니다.reg는삽질이었네요.dism명령어로지원해주네요.C로부팅성공했습니다만...바로가기라든지모든경로를C로바꿔야겠네요.orz.jpg

그래서 또 x:으로 설정된 것을 전부 c:으로 수정하려면...하아 orz
이건 위처럼 간단하게 명령어로도 안 되고...reg파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암튼 x:을 c: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위와 같고,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뒷처리가 좀 힘듭니다만
저는 그냥 x:으로 계속 사용해야겠습니다. 

* wim으로 부팅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wim을 마운트 하신 후에 위 명령으로 하신 다음 저장하시면 됩니다.
역시 reg 파일과 기타 설정파일들을 전부 c:으로 수정하는게...보통 일이 아닐 듯 하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42 기 타| Ro.n님 10pe 2차 수정본 [40] 갱스타 5162 11 08-04
141 기 타| 땡큐PE 버전2 수정요청합니다 [12] 그루터기 2302 2 07-31
140 기 타| 겨울나그네님 Thank you PE Ver.2 사용기 [15] 갱스타 3013 9 07-30
139 기 타| 땡큐PE V2.0 간단 사용기 [9] 철이. 2829 8 07-30
138 기 타| 어느분이 소개한 8PE 수정기 [19] -L- 3060 9 07-28
137 기 타| PE는 bootmgr 버전 가리지 않습니다 [6] suk 2750 7 07-25
136 기 타| Win10PE 만들었는데 에러가 많군요. [4] 가자™ 2628 3 07-22
135 기 타| 겨울나그네님pe....이제야 부팅해봤습니다... [8] casanova 2522 5 07-21
134 기 타| 아래 아낙네님의 다되는pe ......함돌려봤습니다... [4] casanova 2486 2 07-20
133 기 타| 어쩌다 손댄 PE (사용기) [4] acom 2365 4 07-19
132 기 타| 어쩌다 손댄 PE (사용기) _Appetizer,RocketDock [3] 구들목 2850 5 07-19
131 기 타| 피이들 ..., [3] 풍경소리 3051 2 07-07
130 기 타| 레지샷 사용기[추가 있음] [9] 땅콩 2756 2 07-02
129 기 타| 왕초보님의 AcronisBackupRecovery [3] 땅콩 2166 1 06-30
128 기 타| 1탄 - 구글드라이브 좋네요. [13] 박삿갓 3881 4 06-23
127 기 타| pe에서 은행업무[국민은행] 보기 [11] 땅콩 3015 8 06-15
126 기 타| pe용 인텔그래픽드라이버 [4] 땅콩 2672 3 06-11
125 기 타| 밴티지 마스터 택틱스 [2] 땅콩 2833 2 06-10
124 기 타| z80 수동트림 [20] 땅콩 3126 10 06-09
123 기 타| 윈도우 10, 빌드 10135 영문판 국민은행 실행가능 무정 2902 0 06-0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