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PE를 C:으로 사용하는 방법 - 간단한데 뒷처리가 복잡합니다.

2015.04.28 11:14

suk 조회:3467 추천:3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1---2015-04-28_090957.jpg


일단 하드에 풀어서 설치하는걸 가정합니다.

윈도 대신 c:에 pe를 풀어서 사용하는건데요. - wim 파일로 부팅하는게 아닙니다 -


저는 pe를 실사용하지 않으므로 그냥 VHD가 간편하므로 사용했습니다

동적확장보다는 고정을 사용했습니다. 아무래도 동적으로 움직이는것보다는 낫겠죠


wim 크기에 비하여 3배수 이상으로 크기를 지정합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왼쪽에서우클릭으로디스크초기화.jpg


왼쪽에서 우클릭으로 디스크초기화 합니다


참고로 제가 uefi모드 사용중입니다만...mbr로 초기화해도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 mbr 디스크는 문제없지만

gpt 디스크는 bios모드 부팅은 안 될 겁니다. mbr 디스크가 호환성에서 좋습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오른쪽에서파티션만들고포맷하기..그냥엔터엔터.jpg


오른쪽에서 우클릭으로 파티션을 만들고 포맷합니다. 그냥 엔터 연타 하시면 됩니다.


*추가: y: 포함된 PE는 2개 파티션으로 나누시고, 2번째 파티션에 y:에 해당하는 파일들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1번째 파티션은 wim을 푸시면 됩니다. 또는 그냥 y:에 해당하는건 실컴에 두셔도 됩니다. 

VHD 없이 실컴에 모두하시려면 2개의 드라이브[파티션 또는 볼륨]이 필요하겠습니다. 음..Y: 포함된 PE는.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오른쪽에서파티션만들고포맷하기..그냥엔터엔터2.jpg


그래도 볼륨이름 정도는 잘 구분되라고 만들어줬습니다.

파티션활성, mbr 이런거는 필요없습니다. 이런거는 가상머신에서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지금 실컴으로 테스트하는건데요. 실컴에서는 vhd가 주인공이 아닙니다

부팅파일은 따로 있고..그것만 활성이 되면 그만입니다. vhd는 이 부팅파일에 의존하여 부팅하는 겁니다

가상머신에서는 vhd 자체가 주인공이고..그래서 활성이 필요합니다. 자체로 부팅해야 하므로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PE의wim을압축해제만하면됩니다.포맷은이미했으므로.jpg


wim을 압축해제 하는데요. 아무거나 됩니다. 

반디집이든 7집이든 이렇게 rsimagex도 되고 gimagex도 되고 imagex도 되고..dism 명령으로도 되겠죠. 

저는 자주 사용하는 rsimagex가 편해서 해봤습니다


그냥 바로 압축해제만 하면 됩니다. 다른거 다 필요없고...포맷도 이미 했으므로 생략..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bootice.exe-x로VHD를부팅등록합니다.jpg


이제 부팅등록만 하면 됩니다. bootice.exe가 가벼워서 좋더군요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bootice.exe-x로VHD를부팅등록합니다-일반vhd와다른점은winpe체크입니다.jpg


일반 vhd 등록하듯이 하면 되는데요. 단지 밑에 winpe 이 부분을 체크해줘야만 합니다. pe니까요

근데 저용량 pe라서 그런지 vhd로는 부팅실패했습니다 ;; wim으로는 부팅 잘 되던 겁니다.


그래서 제가 대충 만들었던 64pe로 다시 해봤습니다.


* 위 pe 실패했다는거는 아무 의미없습니다. 스샷을 64pe로 또 하기 귀찮아서 하지 않아서 이렇게 pe가 이중으로 나왔습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제가만든허접win8.1x64PE를efi부팅해봅니다.처음해보네요.jpg


이번에는 efi모드로 부팅해봤습니다. 64pe라서 그냥 한번...처음 시도하는겁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제가만든허접win8.1x64PE를efi부팅해봅니다.처음해보네요-부팅성공3.jpg


부팅 성공했습니다  


이제 X:이 아닌 C:으로 부팅하게 해봐야 할텐데요


마운트된 드라이브를 c:과 X:을 서로 바꾼다든지....부팅때 에러 품더군요.


winntsetup.exe로 역시 c:으로 할당하여 해보니까...부팅때 에러났습니다

근데 여기서 에러메시지에서 힌트를 주더군요. 이 메시지를 자세히 본 다음에 검색하여...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c와x를바꿔봅니다.reg는삽질이었네요.dism명령어로지원해주네요.jpg



Dism /image:L: /Set-TargetPath:C:\

wim을 압축해제 한 다음에 위 명령으로 x: 대신 c:으로 부팅하게 해봅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c와x를바꿔봅니다.reg는삽질이었네요.dism명령어로지원해주네요.C로부팅성공했습니다만...바로가기라든지모든경로를C로바꿔야겠네요.orz그냥X가편할 듯합니다.jpg
오~ 알고 보니까 쉽게 c:으로 부팅 가능하네요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c와x를바꿔봅니다.reg는삽질이었네요.dism명령어로지원해주네요.C로부팅성공.jpg

다만...x:으로 설정된 시작메뉴라든지 바탕화면의 바로가기들이 하나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PE를VHD에풀어서부팅하기-c와x를바꿔봅니다.reg는삽질이었네요.dism명령어로지원해주네요.C로부팅성공했습니다만...바로가기라든지모든경로를C로바꿔야겠네요.orz.jpg

그래서 또 x:으로 설정된 것을 전부 c:으로 수정하려면...하아 orz
이건 위처럼 간단하게 명령어로도 안 되고...reg파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암튼 x:을 c: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위와 같고,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뒷처리가 좀 힘듭니다만
저는 그냥 x:으로 계속 사용해야겠습니다. 

* wim으로 부팅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wim을 마운트 하신 후에 위 명령으로 하신 다음 저장하시면 됩니다.
역시 reg 파일과 기타 설정파일들을 전부 c:으로 수정하는게...보통 일이 아닐 듯 하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044 기 타| USB 부팅 사용 [13] 구들목 4265 3 03-25
3043 기 타| Resource Hacker v3.6.0.92 FX v1.4.15 한글화.. [4] Lr라 3114 3 05-16
3042 기 타| PPP_EEE_8.1 [22] k-style™ 4161 3 04-21
3041 기 타| 잘 됩니다 - Windows 8.1 Ultimate PE v5.2 on VM [6] k-style™ 6416 3 04-25
3040 기 타| 추가기능을 실행하지 못했습니다... 에러창 없애기 무정 3429 3 07-02
3039 기 타| Vincent's Win7 Ghost 스크린샷 및 익스플로어 프리징 현상 [5] 사악천 4558 3 09-19
3038 기 타| UEFI 모드로 PE부팅하기 [bios와 uefi 듀얼부팅] [12] suk 6937 3 11-21
3037 기 타| 네이버 주소록 때문에 오늘 식겁했습니다. [8] asklee 5843 3 01-24
3036 기 타| sunshine님의 DR1.5_TEST 사용기 [11] John316 2922 3 06-05
3035 기 타| YouTube 동영상을 애니메이션 GIF로... [1] asklee 2439 3 03-20
» 기 타| PE를 C:으로 사용하는 방법 - 간단한데 뒷처리가 복잡합니다. [8] suk 3467 3 04-28
3033 기 타| pe용 인텔그래픽드라이버 [4] 땅콩 2695 3 06-11
3032 기 타| Win10PE 만들었는데 에러가 많군요. [4] 가자™ 2667 3 07-22
3031 기 타| 쓰기 방지된 install.wim 마운트 / 수정하기 [16] suk 4159 3 08-08
3030 기 타| Thank you PE Version 3.1 간단사용기 [30] 연두소리 3333 3 08-19
3029 기 타| 왕초보님의 Win.tag 옵션이 추가된 Partition Saving 2.1 V... [4] 후루꾸 1399 3 03-30
3028 기 타| TrueImage 2020 복원시 저의 경우 MFT 관련 에러메세지 해... [3] 왕초보 610 3 09-26
3027 기 타| 7PE-Cmd 2개(Partition Saving 3.198P)사용기 [5] 가지고싶은 1466 3 12-24
3026 기 타| r... pe [5] foros 3305 3 12-27
3025 기 타| 로*님 10x64PE.wim 사용기 [12] 늘상푸른 3793 3 01-1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