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BR Fast 에서 복원후 재부팅하는 보조프로그램 입니다

2024.05.22 19:11

왕초보 조회:759 추천:16

 

업데이트로 종료하였습니다

 

BR 버전들은 윈도우에서 복원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PE에서 복원 완료후 재부팅을 하지만..PE에서 백업,복원시에는 작업 완료후 다른 작업

을할수가 있어서 재부팅을 하지 않습니다

 

아주 오래전 VB6으로 만든것중에는 백업,복원 완료후 바로 재시작을 하는 버전도 있었던것 같습니다

이런 프로그램은 사용하시는 분들이 적으셔서...어느날부터인가는 백업,복원 완료후 재시작을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지인분 복구시스템을 구축을 해드릴때 취항이나 상황에 따라서 백업,복원 완료후 바로 재부팅을 하면 편한 경우도 있으실것입니다

수리수리님 사용기의 경우 WinClon를 활용하여 백업파일이 있는 파티션을 숨김으로 하고 핫키도 등록을 하시는것으로 복구시스템을

구축을 하셨습니다...완전 초보 지인분인 경우 이렇게 숨김파티션으로 구성을 하는것이 사고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이 경우 윈도우에서 BR 프로그램을 실행할수가 없어서 바로 윈도우에서 BR 프로그램으로 백업을 할수는 없습니다

(숨김파티션을 임시 해제후 백업이 가능하기는 합니다)

여기에 사고 방지를 위해서 PE 부팅시에 암호를 활용을 하셨네요

 

Recveory.ini에는 BR 프로그램을 PE 부팅시에 자동으로 실행을 할수 있는 예제가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자동 실행이 되어서 복원후에는 재부팅을 위해서는 재시작 바로가기를 클릭을 해주어야 합니다

수리수리님의 의견은 PE 부팅시에 복원 완료후 재부팅을 원하시는것 같습니다

 

기존 BR Fast 버전에서는 가능하지 않고 업데이트를 해야 합니다..실제 이 방식에 대해서 요청이 많으시면..당연히 저도업데이트를 하는것

이 맞을것입니다..취향에 따라서 실제 활용하시는 분이 많지는 않으실것 같아서 기본 BR Fast를 활용해서 복원후 재부팅을 하도록하는 보조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BRRecoveryReStart_v1.0 보조 프로그램의 기능입니다

1. Recvoery.ini에 BR Fast 프로그램 종류와 백업프로그램 exe를 등록을 해야 합니다

2. 프로그램 실행시에 BR Fast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복원 진행시에 백업 프로그램이 복원을 완료하면 재부팅을 하여 줍니다

3. IFW BR Fast, Snapshot BR Fast - PE, Ghost BR Fast, Partition Saving BR Fast 버전이 가능합니다

 

Wimlib와 R-DriveImage 는 cmd에서 완료가 될때까지 BR 프로그램이 종료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적용할수가 없습니다

BRRecoveryReStart_v1.0는 BR 프로그램에서 백업 프로그램 시작후 BR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경우에 활용할수 있습니다

 

정리하면..BR Fast 실행후 복원을 진행하면 복원 완료후 재부팅을 합니다

BR Fast 버전을 업데이트 하는것보다 간단해서 이 방식을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별도의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는것이 단점이기는 합니다

사용기를 보시면 기능이 이해가 되실것 같습니다

 
아래는 수리수리님 사용기입니다 
 
왕초보 님 IFW_BR_Fast_v3.0_Drag 복구파티션 따라해보기 ^^
 
수리수리님께서는 WinClon을 활용하여 복구파티션을 숨김으로 핫키를 등록을 하는 방법을 활용하였습니다
PE 부팅시에 BR 프로그램이 자동실행되고 (확인 메세지) 복원후 바로 재부팅을 하는것으로 되었으면 하시는 것 같습니다
사용기는 테스트용이어서 숨김파티션이 아닌 상태에서 진행을 하였슴니다..양해를 하여 주십시요
 
1. PE 부팅시에 암호를 통과해야 PE로 부팅할수 있는 구조입니다
1.jpg

 

2. Recovery.ini에는 PE 부팅시에 BR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명령어가 주석처리 되어 있습니다..주석을 제거하였습니다

2.jpg

 

3. PE로 부팅중입니다..암호를 물어보고 있습니다

3.jpg

 

4. 통과후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BR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이 되었습니다

4.jpg

 

5. 복원중입니다.. 확인 메세지에어 예를 클릭하면 백업 프로그램을 실행하고나서 바로 BR 프로그램은 더이상 필요가 없어서 종료가 됩니다

5.jpg

 

6. 복원이 완료되었습니다..다른 작업이 있는 경우가 있어서 재부팅은 하지 않습니다

6.jpg

 

7. 복원 완료후 재부팅을 해주는 BRRecoveryReStart_v1.0가 추가되었습니다..Recovery.ini에서도 실행 명령어가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작업완료할때가지 더이상 진행을 하지 못하도록 "=" 옵션을 주여야 합니다 

7.jpg

 

8. BRRecoveryReStart_v1.0 에서 실행한 BR 프로그램을 Recovery.ini에서 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BR 프로그램 실행후 복원을 하는 경우 복원 작업 완료를 체크하기 위해서 백업 프로그램을 감시를 합니다 감시할 exe도 등록해주셔야 

   합니다

8.jpg

 

9.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암호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9.jpg

 

10. Fast 버전은 백업 파일이 있는 경우 BR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복원 메세지가 나옵니다..다른 작업을 하시려고 하면 아니오를 클릭하시면...

10.jpg

 

11. PE 부팅이 계속 진행이 됩니다

11.jpg

 

12. 예를 클릭하시면 복원이 진행됩니다

12.jpg

 

13. 복원중입니다..BRRecoveryReStart_v1.0 에서 Recvoery.ini에 등록된 백업 파일 exe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1초마다 확인을 합니다

   복원이 완료되어서 백업 프로그램이 종료가 되면...BRRecoveryReStart_v1.0에서 재부팅을 합니다

13.jpg

 

14. 복원 완료가 백업 프로그램이 종료가 되어서 BRRecoveryReStart_v1.0에서 재부팅을 하였습니다

14.jpg

 

15. BRRecoveryReStart_v1.0를 다른 BR Fast에도 활용할수 있습니다..Snapshot BR Fast - PE 버전에 적용하여 보겠습니다

15.jpg

 

16. Recovery.ini에 BR Fast 와 백업 프로그램을 등록하였습니다

16.jpg

 

17.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17.jpg

 

18. Snapshot BR Fast 복원 메세지입니다

18.jpg

 

19. 복원중입니다.

19.jpg

 

20. Snapshot64.exe가 실행중입니다.. BRRecoveryReStart_v1.0에서 1초마다 실행중인지를 체크를 합니다

20.jpg

 

21. 복원 완료후 재부팅이 되어서 윈도우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21.jpg

 

22. 처음에는 간단하고 몇줄 되지 않아서 오토잇 64bit 로 만들었었습니다..요즘 바이러스 프로그램들이 강화가 되었나 봅니다

    오토잇으로 만든것을 9개가 검출이 되고 avast에서도 검출이 되어서 다시 PureBasic 64bit로 만들었습니다 소스는 길어졌지만 아래처럼

    2개만 검출이 됩니다...오토잇을 점점도 사용하기 어려워지고 있네요

22.jpg

 

23. 마무리

BR Fast 버전을 모두 업데이트 하는것을 시간도 걸리고 현재 오토잇으로 만들고 있어서 소스를 추가하면 검출이 얼마나 될지 몰라서..업데

이트는 어려울것 같습니다...나름 고민도 해보겠습니다

 

일단은..PureBasic을 만든 BRRecoveryReStart_v1.0으로 기본 BR Fast 버전으로도 복원 완료후 재부팅을 할수가 있습니다

파일 한개가 더 추가가 되지만..현재 이 방법이 제일 무난한것 같습니다..

BRRecoveryReStart_v1.0으로 4개 BR Fast 프로그램에 적용할수가 있는것도 장점이기는 합니다

 

PE 부팅시에 복원 메세지가 나오고 복원 완료후 바로 재부팅을 원하시는 분들을 BR Fast에 BRRecoveryReStart_v1.0를 활용하여 주십시요

원하시는 스타일로 복구시스템을 구성하실수 있으시길 바랍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을 하였습니다

편안하신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3177 기 타| WinXPE147L KJ_ Windows10 22H2 (빌드19045.4529) [38] new 격자 295 88 09:20
3176 기 타| 종료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1H2 (빌드 22000.3019) [67] update 격자 556 146 06-21
3175 기 타| 종료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3H2 (빌드 22635.3785) [69] 격자 649 163 06-19
3174 기 타| 종료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3H2 (빌드 22631.3737) [73] 격자 643 180 06-16
3173 기 타| 11-Adminboot 감사스샷 [18] 격자 469 41 06-15
3172 기 타| 종료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3H2 (빌드22635.3720) [81] 격자 859 184 06-13
3171 기 타| Ventoy 1.0.99 (핫키메뉴) 업데이트 [15] 딸랑쇠 2011 52 06-09
3170 기 타| 종료 QuantumPE FMT_F_USB 테더링 & MTP AdminF_SystemF [115] 격자 1132 239 06-09
3169 기 타| 종료 QuantumPE FMT_F_USB 테더링 & MTP AdminF [109] 격자 1542 250 06-06
3168 기 타| 종료 QuantumPE FMT_F_ USB 테더링 & MTP SystemF [129] 격자 1553 312 06-04
3167 기 타| System PE 7 / 감사합니다 잘 사용합니다. [30] UMIN.J 760 41 06-04
3166 기 타| 7 System PE ( C:할당 문제 수정 ) [327] 집앞의_큰 1967 467 06-03
3165 기 타| PE 수정사용기 자료준비중 [28] V무등산V 865 63 05-31
3164 기 타| PE 부팅 직후 적당한 DPI 적용해 보기 [49] 집앞의_큰 728 94 05-31
3163 기 타|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3H2 (빌드22635.3646) [87] update 격자 955 190 05-30
3162 기 타| Windows 11 SystemPE 6 감사스샷 [22] 격자 694 57 05-29
3161 기 타| Win11 wim통합 PE [24] 딸랑쇠 1710 77 05-29
3160 기 타| NoSleepHDD 1.7.3 [11] 빨강모자 1035 30 05-27
3159 기 타| Windows 11 SystemPE 5 감사스샷 [28] 격자 1306 63 05-26
3158 기 타| WinXPE147수정버전_20240322_23H2 (빌드22631.3668) [98] update 격자 1181 216 05-2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