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Win11 22H2 (22621.2506) x64 PE 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2023.11.07 13:14

왕초보 조회:882 추천:22

Win11 23H2 (22631.2506) 과 Win11 22H2 (22621.2506) 으로 업데이트 해주시는 누적 업데이프 파일이 KB5031455 로 이름이 같아서

인지 PE를 만들었을때 버전이 오락가락해서 저 같은 초보는 혼란스럽기만 하네요

 

Win11 23H2 (22631.2506)으로 만든 PE에서 작업표시줄과 시작메뉴에 바로가기 만드는것은 여러가지 테스트를 해보아도 초보이 한계가 있어

서 결국은 해결을 하지 못하고 포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Win11 22H2 (22621.2506) 버전으로 만든 PE의 경우 작업표시줄과 시작메뉴에 바로가기를 만들수가 있어서 이것을 복구시스템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조금 다듬어 보았습니다.

 

여러가지 테스트를 하게되면서 파일들을 삭제한것도 있어서 13세대에서는 어떨지를 모르겠습니다

세부적으로 우클릭 메뉴등을 정리가 되면 스크린샷에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Win11 23H2 (22631.2506) 버전이 지금은 바로가기를 만들지 못하지만..윈도우 업데이트가 될때 바로가기도 만들고 winre.wim도 업데이트가

되어서 버전도 정확히 표시가 될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해결하지 못한 아쉬움이 계속 남네요

 

 

1. PE 생성기로 만든 PE입니다.. 22631.2586 버전으로 표시가 됩니다 (레지값만 적용된것 같기도 합니다) 

   PE 생성기 무료 버전의 경우 SOFTWARE 파일을 install.wim것을 적용을 해서 파일 용량이 큽니다..다른 빌더에 있는 SOFTWARE를 가져와

   서 적용을 하였습니다... 

   작업표시줄에 바로가기를 등록을 할수가 없어서...더 이상 작업은 의미가 없기는 합니다 

1.jpg

 

2.  22631.2506 이 들어가 파일을 찾으려고 했지만 보이지 않고 22631.2506 파일만 있습니다...

2.jpg

 

3. Win11 22H2 (22621.2506)로 만든 x64 전용 PE입니다..시작메뉴에 작업표시줄에 등록을 할수가 있다는것이 이렇게 반갑네요   

3.jpg

 

4. 버전이 22621.2506으로 표시가 됩니다..

4.jpg

 

5. StartAllBack이 적용되었습니다

5.jpg

 

6. COMPONENTS가 10MB 짜리가 들어가 있네요..PE 생성기로 만든것에는 용량이 작은것이 있습니다..이것으로 교체를 해야겠네요

6.jpg

 

7. 드라이버 파일을 PE 생성기에 있는 PE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7.jpg

 

8. 복구시스템용이어서 백업프로그램만 잘되면 되기는 합니다...

8.jpg

 

9. 백업 메세지입니다

9.jpg

 

10. 백업중입니다..

10.jpg

 

11. 마무리

실력의 차이라는것이 있죠...역시 초보여서 한계가 있습니다..다양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해보았지만...Win11 23H2 (22631.2506) 버전으로 만

든 PE에서는 작업표시줄에 바로가기를 등록을 하지 못하여서 결국 Win11 22H2 (22621.2506) 버전으로 PE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우클릭 메뉴등 다듬어야 할 부분들이 아직 있기는 합니다.. 완료가 되면 스크린샷에 소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작업표시줄과 시작메뉴에는 취향에 따라서 원하시는 프로그램이 달라서 추가,삭제 가능해야죠..

Win11 23H2 (22631.2506) 업데이트 날짜가 기다려 집니다.. 업데이트때 다시 도전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이 많이 불고 기온차가 심한 날씨입니다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2828 기 타| 숙원 해결 [112] 집앞의_큰 2110 16 08-29
2827 기 타| flower님 저사양용 PE [21] 옛날에 1431 6 08-30
2826 기 타| 저도 flower님 저사양용 PE 사용기입니다.. [11] 왕초보 758 7 08-30
2825 기 타| (수정) 저는..저용량 8PE(100M)에서 문제가 3가지 있네요 [4] 왕초보 781 5 08-30
2824 기 타| PE에서 프로그램 관리하는 6가지 방법 사용기입니다 [25] 왕초보 1410 18 08-31
2823 기 타| 넷북때문에 기존 8PE를 101MB로 모방을 하여 보았습니다 [17] 왕초보 837 7 08-31
2822 기 타| 마우스 우클릭에 PECMD로 INI 로드 메뉴를 추가하여 보았습... [11] 왕초보 781 6 08-31
2821 기 타| PETools.VHD 마운트 관련해서..특이한 현상이 있네요. [6] 왕초보 541 4 09-01
2820 기 타| Apps가 아닌 다른 폴더에서 PETools.VHD를 연결하여 보았습... [7] 왕초보 609 4 09-02
2819 기 타| (추가) 서기다님이 수정하신 8x86 PE 간단한 사용기입니다 [13] 왕초보 762 5 09-02
2818 기 타| 보[boram]람님이 소개하신 간단한 VHD 관리자 v1.3 사용기... [4] 왕초보 664 4 09-02
2817 기 타| 우연히! PE에서 레지수정으로 VHD가 Y:로 연결이 되네요 [5] 왕초보 763 5 09-02
2816 기 타| flower3님 Win8PeSTD 저용량 vhd연결 사용기 [6] 서기다 698 4 09-03
2815 기 타| 다른 컴에서 Y: 레지값으로 VHD가 Y:로 연결이 잘 되네요.. [9] 왕초보 617 5 09-03
2814 기 타| 2탄) 네트워크 연결 차단과 해제 우클 만들기 [11] 서기다 746 5 09-04
2813 기 타| Y: 으로 연결 되는 PE 부팅해봤습니다 [7] suk 604 6 09-04
2812 기 타| flower3님 pe처럼 cmd로 vhd 탑재 해제 [10] 서기다 529 4 09-04
2811 기 타| Y: 에 프로그램이 있는 PE도 iso 부팅이 가능하군요 [9] suk 800 9 09-04
2810 기 타| 짝퉁! VHD를 연결하는 PTSVHD.exe를 모방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639 5 09-04
2809 기 타| PETools.VHD에 시작메뉴 백업기능을 추가하여 보았습니다.. [6] 왕초보 393 4 09-05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