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간단하게(?) WinXShell 작업표시줄 등록을 하여보았습니다

2023.04.20 16:36

왕초보 조회:771 추천:17

qnd님 작품에서 작업표시줄 등록을 WinXShell으로 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PinUtil.exe를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PinUtil.exe의 경우 WinXShell처럼 개별 등록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WinXShell는 실행시 트레이에 아이콘이 보이지 않지만 PinUtil.exe의 개별 등록시 아이콘이 여러개가 보이도 합니다 이점이 조금 보기가

않좋기는 합니다

 

WinXShell로 여러개를 등록시 lua 파일을 만들어 하는 방법과 아래처럼 WinXShell로 하나씩 등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EXEC =%ProgramFiles%\WinXShell\WinXShell.exe -code "Taskbar:Pin([[%SystemRoot%\System32\cmd.exe]])"

 

오토잇으로 만들어 활용하는것은 등록파일들을 lua로 만들어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래 오토잇으로 만들기전에 pecmd.exe 명령어를 활용해 볼까 했었습니다..pecmd.exe 명령어를 활용하면 따로 파일이 추가되지 않아도

되어서 좋은점이 있습니다

 

pecmd.exe 활용하는 방식은 변수에 설정을 하고 등록변수 값이 없으면 등록하지 않고 등록값이 있는 경우에만 등록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변수값이 설정되지 않을 경우를 체크하는것을 해결하지 못해서 오토잇을 활용을 했습니다

오늘 이것저것을 계속 대입해서 체크하던중 다행히 원하는것을 얻게 되어서 사용기에 정리를 하게 되었습니다

 

PinTool.exe나 PinUtil.exe 과 같지는 않지만 비슷하게 모양을 흉내내어 본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하면 좀더 편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해본것이어서 실제..별 효과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뭔가 다른 방식으로 테스트를 해 보았구나 하는 정도로 보아 주십시요

 

 

1. 지후빠님 cmd를 보면..반복되는것들을 간단하게 구현하시는것을 볼수 있습니다...항상 이런 부분이 부러웠습니다

   위에것을 복사후 파일경로만 수정하면 되어서 어떻게 보면 복잡할것도 없습니다.. 그래도 명령어가 길어 보여서...pecmd.exe 명령어를

   활용하여 본것입니다

1.jpg

 

2. 수정한 loadtool.wcs 파일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시작메뉴에도 X: 드라이브에 있는 기본 프로그램들을 등록을 하였습니다

2.jpg

 

3. 바로가기를 등록한 파일 경로는 아래처럼 변수를 선언해서 저장을 합니다..

   Pintool나 PinUtil 처럼 [PinUtil] 처럼 활용하는것을 좀더 공부를 해야할것 같습니다..

3.jpg

 

4. 변수값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시작메뉴와 작업표시줄 등록을 합니다.. 변수값이 존재하는것을 체크하는데 해결을 못했다가 여러가지를

  테스트 하던중 우연히 해결이 되었습니다..사람이 운이라는것도 있기는 합니다

   

   시작메뉴는 16개 작업표시줄은 30개까지 등록이됩니다  숫자를 마음대로 수정을 할수 있는것이 오토잇보다 편한 부분입니다

4.jpg

 

5. 시작메뉴는 14, 작업표시줄은 30으로 중간에 빈변수가 많습니다..저는 이 빈변수를 체크하는데 시간이 아까워서 오토잇에서 Exit 값을

  주는 방식을 활용을 했었습니다..그런데..실제 테스트 해보니까..눈깜박할사이에 지나가버리네요 그래서 귀찮게 변수값에 Exit를 설정하

  는 대신에 숫자끝까지 체크하도록 하였습니다 5.jpg

 

6. 중간에 빈변수값이 있어도 등록이 잘되었습니다..

6.jpg

 

7. 마무리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렇게 해보았으면 하는 생각에 시작한것이 운이 따라서 원하는 경과를 얻게 된것 같습니다

WinXShell 명령어를 그대로 써도 되지만..조금 편해보려고 한것입니다..실제 편한지는 사용하시는 분들이 편하다고 하셔야 하는것인데요

재미삼아서 테스트 해보시길 바랍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편안하신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2347 기 타| qnd님 PE용 _Launch (Pin,우클릭,폴더 바로가기)를 업데이... [8] 왕초보 691 9 04-24
2346 기 타| qnd님 PE와 지후빠님 _Launch 1.6 버전 사용기 입니다 [12] 왕초보 818 16 04-23
2345 기 타| 왕초보님 사용기 따라하기 ◀ ▶ Win10 Wangs런처 ㉫ⓐⓢⓨ PE [24] qnd 2187 44 04-23
2344 기 타| 간단한! WimLib BR Message v3.0 - BCD,폴더 아이콘 적용 ... [83] 왕초보 998 131 04-22
2343 기 타| (초보분용) qnd님 로켓런처 PE 7-Zip으로 업데이트하기 입니다 [20] 왕초보 799 25 04-22
2342 기 타| qnd님 PE + _Launch(바로가기 만들기 기능추가)로 구성하... [11] 왕초보 942 14 04-21
2341 기 타| WinXShell 바로가기 지후빠님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796 14 04-21
2340 기 타| qnd님 PE + 지후빠님 _Launch 1.5 버전 사용기입니다 [10] 왕초보 817 16 04-21
2339 기 타| qnd님 로켓런처 _Launch에 순차정렬을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12] 왕초보 767 15 04-20
2338 기 타| 더 간단(?) WinXShell 작업표시줄 등록을 하여보았습니다 [14] 왕초보 819 15 04-20
» 기 타| 간단하게(?) WinXShell 작업표시줄 등록을 하여보았습니다 [7] 왕초보 771 17 04-20
2336 기 타| qnd님 로켓런처 _Launch 수정해서 활용하기 입니다 [8] 왕초보 759 16 04-20
2335 기 타| _Launch.exe에 오름차순 정렬을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846 13 04-19
2334 기 타| qnd님 로켓런처 버전을 취향대로 꾸며보았습니다 [12] 왕초보 828 19 04-19
2333 기 타| qnd님 로켓런처 적용 버전 간단한 부팅기입니다 [12] 왕초보 815 17 04-18
2332 기 타| 로켓런처 v1.5 적용 → Win10 시작메뉴 PE [33] qnd 1279 43 04-18
2331 기 타| 간단한! IFW BR Message v5.0 - 부분적으로 업데이트 하였... [64] 왕초보 892 117 04-17
2330 기 타| Backup, PETools 폴더의 ini 자동 로드 - FORX 를 재활용 ... [11] 왕초보 749 20 04-17
2329 기 타| Backup, PETools 폴더의 ini 자동 로드 - DISK ,,,3,U 를 ... [8] 왕초보 727 17 04-17
2328 기 타| Backup, PETools 폴더의 ini 자동 로드 - LetterSwap를 활... [7] 왕초보 721 17 04-1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