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Backup, PETools 폴더의 ini 로드를 자동으로 하여 보았습니다..

2023.04.16 22:06

왕초보 조회:939 추천:20

요즘은 황사가 점점 더 심해지는것 같습니다...

황사 때문에 화창한 봄날을 느낄수가 없는 휴일이었던것 같습니다..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PE를 활용하시는 분의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활용을 하시고 있으실것입니다

저의 경우 PE 사용목적이 하드에 심어서 복구시스템으로 활용을 하는것이어서 PE 설정관련한 ini가 하드에 있는 Backup폴더에 있습니다

복구시스템에 활용하는 PE의 경우 USB에 활용을 하는 경우 Backup폴더로 하지 않고 다른 폴더를 사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PETools 폴더를 활용하게 되는 경우 하드의 Backup 폴더와 달라서 USB용 PE의 경우 wim 안에 있는 pecmd.ini에서 Backup

폴더 대신에 PETools 폴더로 수정을 해서 활용을 해야 합니다

이런 부분이 그동안 불편하였지만..wim 파일에서 pecmd.ini를 수정하면 되어서 신경을 쓰지 않고 미루다가 더 이상 미루기가 좀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ini를 자동으로 로드하도록 하여 보았습니다

 

처음에는 pecmd.exe의 명령어와 LetterSwap.exe로 활용을 해볼까 했습니다..

 

EXEC @=%WinDir%\System32\LetterSwap.exe /bootdrive U:\PETools /auto /log %WinDir%\LetterSwap.log

 

DISK ,,,3,U

 

위의 명령어들은 드라이브 문자를 U: 로 수정을 하는 과정이 필요해서 이것 때문에 오토잇으로 한번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DISK ,,,3,U 명령어의 경우 조건이 따로 필요가 없을것 같은데요 LetterSwap.exe와 오토잇으로 제가 만든것은 PETools 폴더가 1개만 있는

경우만 가능하네요

좀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Backup 폴더와 PETools 폴더의 ini를 상황에 따라서 자동 로드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조건이 되어야 합니다

하드에서 wim으로된 PE가 부팅하는 경우 PE가 있는 드라이브 문자를 활용해서 사용을 하기 때문에 아래처럼 작동을 하게 됩니다

 

1. 하드에서 wim PE가 부팅하는 경우에 wim 파일과 같은 파티션에 Backup\Recovery.ini가 있는 경우 무조건 ini를 바로 로드합니다

 

2. 하드에서 wim PE가 부팅하는 경우 같은 파티션에 Backup 폴더가 없다면 다른 파티션에 Backup 폴더가 있는지 검색을 합니다

   없다면 로드하지 않습니다

 

3. 하드에서 wim PE가 부팅하는 경우 같은 파티션에 Backup 폴더가 없고 PETools 폴더만 있다면..PETools 폴더의 ini를 로드합니다

   이 경우는 외장하드 때문에 이런 방식이 적용이 되었습니다..

   외장하드의 경우 USB나 CD롬하고 다르게 하드에서 부팅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어서 구분을 할수가 없습니다

 

4. USB나 CD롬으로 부팅을 하는 경우에는 부팅 파티션을 알아낼수가 없어서 무조건 PETools 폴더를 모든 파티션에 검색해서 찾습니다

   이런 경우를 위해서 어쩔수 없이 모든 파티션에서 PETools 폴더를 검색하기 때문에 PETools 폴더가 USB나 CD롬에 한개만 있어야

   정상적으로 ini를 로드하게  됩니다

 

제가 쓰고도 설명이 복잡하네요...외장하드로 부팅하는 경우 하드에서 부팅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체크가 되어서..이렇게 경우의 수에
따라서 복잡하게 되어 버렸습니다

 

그냥 복구시스템용 PE를 USB에 활용하는 경우 wim 파일의 pecmd.ini에서 폴더 이름을 수정하는것이 더 빠르것 같기도 합니다

 

 

1. 복구시스템용 파일들은 하드에 있는 Backup 폴더에 있습니다..pe 설정은 Recoveyr.ini에 있어서 이 ini를 로드해 주어야 합니다

   윈도우에서 백업을 위해서 백업 파일을 백업 프로그램 exe 파일이 있는 폴더에 백업을 합니다.. 그래서 이 백업 프로그램을 USB에서는

   사용을 할수가 없습니다..  1.jpg

 

2. 복구시스템용 PE에서 ini로드 방식을 아래처럼 바꾸었습니다

 

  아래는 기존 방식입니다...모든 드라이브에서 Backup\Recoveyr.ini를 검색합니다.

  USB에 PE를 활용하는 경우 PETools 폴더에 ini가 있다면 여기를 수정해서 활용을 합니다

 

FORX !\Backup\Recovery.ini,iniFile,1, LOAD %iniFile%

 

 PE가 하드에서 부팅시에는 기본 설정된 Backup\Recovery.ini 를 로드하고 USB나 CD로 부팅시에는 아래처럼 설정된 PETools\PETools.ini

 를 찾아서 로드하여 줍니다  wim의 pecmd.ini를 하드나 USB에 따라서 수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Backup\Recovery.ini 와 wim PE가 같은 파티션에 있다면..모든 파티션을 검색하지 않고 wim PE가 부팅한 파티션에서 바로 로드합니다

 이 방식은 아주 오래전 이화우님께 백업프로그램 관련해서 비공개로 배웠던 방식입니다.. 이자리를 빌어 이화우님께 감사드립니다

 "PETools\PETools.ini" 옵션은 Backup 폴더외에 로드할 ini 설정입니다  

 

EXEC =%WinDir%\System32\IniLoad.exe "PETools\PETools.ini"

 

2.jpg

 

3. wim PE가 Backup 폴더안에 있습니다..PE와 Backup 폴더가 같은 파티션에 있어서 모든 파티션에서 Backup 폴더를 검색하지 않고

   바로 Backup\Recovery.ini를 로드합니다.. 

   아래처럼 wim PE가 하드에서 부팅하는 경우 Backup폴더가 있는 경우 먼저 적용이 되기 때문에 PETools 폴더가 같은 파티션에 있어도

   상관이 없습니다

3.jpg

 

4. 기본 복구시스템처럼 Backup 폴더안에 있는 wim PE로 부팅을 해서 검색없이 바로 Backup\Recovery.ini를 로드하였습니다

    하드에서 부팅한 wim PE가 있는 드라이브 문자값을 알아내서 활용하기 때문에 검색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4.jpg

 

5. wim PE가 Backup 폴더가 있는 파티션과 다른 파티션에 있는것으로 부팅을 하는 경우입니다

  이경우 wim PE가 있는 위치에 Backup 폴더가 없는 경우여서 이 경우 모든 파티션에서 Backup\Recovery.ini를 찾아서 로드하여 줍니다

5.jpg

 

6. wim PE는 H: 있지만 하드에서 부팅한 경우여서 E:\Backup\Recovery.ini를 찾아서 로드하여 주었습니다

6.jpg

 

7. Backup 폴더가 없는 H:  파티션에 wim PE가 있고 PETools 폴더가 있는 경우 입니다.. 이 경우가 외장하드에 pe가 있는 경우가 같은 경우

 가 됩니다...외장하드의 경우 USB나 CD롬하고 다르게 하드에서 pe를 부팅한 것과 같아서 이 경우는 Backup 폴더와 PETools 폴더 유무에

 따러서 ini를 로그하게 됩니다

 외장하드라면 아래처럼 PETools 폴더는 있고 Backup 폴더가 없는 경우여서 이경우 wim PE와 같이 있는 PETools 폴더의 ini를 로드합니다

7.jpg

 

8. 외장하드의 wim PE로 부팅한것처럼 Backup 폴더가 없고 PETools 폴더만 있어서 이 파티션에 있는 PETools의 ini가 로드되었습니다 

8.jpg

 

9. CD롬의 PE를 부팅한 경우 입니다..USB와 CD롬의 경우 무조건 모든 파티션에서 PETools 폴더를 검색합니다

   아래처럼 PETools 여러개가 있다면 알파벳으로 먼저 있는것이 적용됩니다 그래서 USB나 CD롬의 경우 PETools 폴더가 모든 파티션에서

  한개만 있어야 정상 작동합니다   아래의 경우 PETools 폴더가 여러개여서 E:\PETools폴더가 적용이 됩니다

9.jpg

 

10. 알파벳으로 먼저 있는 E:\PETools폴더의 ini가 로드되었습니다

10.jpg

 

11. USB나 CD롬의 경우 검색하는 폴더가 1개가 있어야 합니다..다른 PETools 폴더 이름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11.jpg

 

12. CD롬으로 부팅하였습니다..CD롬에 있는 PEToopls 폴더의 ini가 로드되었습니다..Backup 폴더에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할수가 없기

  때문에 USB와 CD롬에서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12.jpg

 

13. 실컴에서 외장하드에 있는 wim  PE로 부팅하였습니다...PETools 폴더가 wim PE가 있는 파티션에 있습니다

   외장하드의 경우 하드에서 부팅하는것과 같아서...Backup 폴더가 없으면 모든 파티션을 검색하지 않고 같은 파티션에 PETools폴도가

   있다면 모든 파티션에서 검색하지 않고 바로 PETools\PETools.ini를 로드하여 줍니다 

13.jpg

 

14. 실컴에서 USB에 있는 wim PE로 부팅을 한 경우 입니다 USB여서 모든 파티션에서 PETools\PETools.ini를 검색을 한후 로드합니다

  어쩔수 없이 PETools 폴더가  USB에 1개만 있어야 합니다..

14.jpg

 

15. 마무리

복구시스템시에 활용하는 하드에 있는 Backup\Recovery.ini와 USB나 CD롬에서 활용하는 PETools\PETools.ini를 상황에 따라서 wim

파일 수정없이 자동으로 ini를 로드하는것을 예전에 이화우님께 배운것을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wim PE를 복구시스템용이나 USB용으로 활용시 수정하지 않아되되는 장점이 있지만 PETools 폴더의 경우 한개만 있어야 하는 조건이 필요

하네요..하드에서는 Backup폴더를 활용하고 있어서 USB에서는 PETools 폴더를 활용한다면 PETools가 한개만이 있기는 합니다..

 

복구시스템용으로 wim PE를 BCD에 등록을 해서 활용할때부터 있었던 불편함이었는데 이제서야 이렇게 구성을 보게 되었습니다

오토잇으로 직접 만든것이 복잡해 보입니다.. LetterSwap.exe 나 pecmd.exe의 DISK ,,,3,U 명령어를 활용하는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

없어서 간단해서 좋을것 같기도 합니다..이것도 한번 적용을 해봐야겠습니다

 

편안하신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2356 기 타| 왕초보님~ 이 PE 수정 좀 해주세요 [15] qnd 1312 18 04-27
2355 기 타| _Launch - WinXShell, PinUtil, PinTool, PECMD 겸용 버전... [10] 왕초보 857 19 04-27
2354 기 타| [종료] Windows10XPE_19045_2913 PE [312] 우인 2028 468 04-26
2353 기 타| 지후빠님 소개 최신 PECMD 버전 사용기 입니다 [11] 왕초보 927 19 04-26
2352 기 타| _Launch.cmd를 _Launch.exe에 넣었습니다 [11] 왕초보 752 16 04-26
2351 기 타| _Launch.cmd 를 pecmd 명령어로 변환을 하여 보았습니다 [10] 왕초보 726 12 04-25
2350 기 타| 간단한! Ghost BR Message v2.0 - BCD,폴더 아이콘 적용 버... [56] 왕초보 879 110 04-25
2349 기 타| WinXShell로 옵션주고 작업표시줄 등록하기 입니다 [18] 왕초보 822 16 04-25
2348 기 타| qnd님 PE용 _Launch (자동으로 우클릭,폴더 바로가기 설정)... [11] 왕초보 957 18 04-24
2347 기 타| qnd님 PE용 _Launch (Pin,우클릭,폴더 바로가기)를 업데이... [8] 왕초보 690 9 04-24
2346 기 타| qnd님 PE와 지후빠님 _Launch 1.6 버전 사용기 입니다 [12] 왕초보 818 16 04-23
2345 기 타| 왕초보님 사용기 따라하기 ◀ ▶ Win10 Wangs런처 ㉫ⓐⓢⓨ PE [24] qnd 2186 44 04-23
2344 기 타| 간단한! WimLib BR Message v3.0 - BCD,폴더 아이콘 적용 ... [83] 왕초보 997 131 04-22
2343 기 타| (초보분용) qnd님 로켓런처 PE 7-Zip으로 업데이트하기 입니다 [20] 왕초보 798 25 04-22
2342 기 타| qnd님 PE + _Launch(바로가기 만들기 기능추가)로 구성하... [11] 왕초보 941 14 04-21
2341 기 타| WinXShell 바로가기 지후빠님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9] 왕초보 796 14 04-21
2340 기 타| qnd님 PE + 지후빠님 _Launch 1.5 버전 사용기입니다 [10] 왕초보 815 16 04-21
2339 기 타| qnd님 로켓런처 _Launch에 순차정렬을 적용하여 보았습니다 [12] 왕초보 766 15 04-20
2338 기 타| 더 간단(?) WinXShell 작업표시줄 등록을 하여보았습니다 [14] 왕초보 818 15 04-20
2337 기 타| 간단하게(?) WinXShell 작업표시줄 등록을 하여보았습니다 [7] 왕초보 770 17 04-2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