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뚱뚱한PE2_MTP 버전 간단한 피드백 입니다

2023.01.01 23:49

왕초보 조회:1354 추천:21

새해 첫날이어서 인사를 다니신다고 바쁘신분들이 많으실것 같습니다

새해 인사는 작년에 드렸지만....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고생하시면서 완성하여 주신 작품을 베풀어 주시는 우인님께 감사드립니다

새해에 좋은일만 있으시길 기원드립니다

 

저도 새해 첫 사용기가 우인님 작품 피드백일줄은 생각을 못했습니다

소개해야 주신 스크린샷에 메가 링크를 댓글에 추가를 해서 배포가 종료가 되었난 확인을 하려 갔었습니다

소개 사진에 백업 관련한 사진에서 갑자기 눈에 들어오는 부분이 있어서 확인을 해보고 피드백을 하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포함이 되어 있지만 윈도우 백업 복원에 관심이 많아서..이 부분만 간단히 피드백을 하게 되었습니다

부족한 부분들이 보이시더라도 양해를 하여 주십시요

 

우님의 작품을 스크린샷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배포]뚱뚱한PE2_MTP

https://windowsforum.kr/gallery/18839938

 

우인님의 작품에 포함된 백업 프로그램 목적이 저처럼 윈도우를 백업하는 목적인지 파티션 자체를 백업하려고 하는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히 판단을 하지 못하여서 저 나름대로의 생각을 적어 보았습니다..

 

 

1. 스크린샷 소개글에 있는 사진을 가져온것입니다.. C: 드라이브 우클릭 메뉴에서 백업 메뉴가 있습니다

1.jpg

 

2. 이사진도 소개들에서 가져온 사진입니다..C: 가 Y:에 백업이 되고 있습니다..당연한 모습일것입니다

2.jpg

 

3. 이 사진도 가져온 사진입니다..우클릭 메뉴에서 Snapshot으로 백업을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시면 드라이브가 Y: 입니다

  윈도우 파티션이 아닌 백업 파일이 저장되는 파티션입니다

3.jpg

 

4. 이 사진도 가져온 사진입니다..Y: 드라이브를 Y:에 백업하고 있습니다. 이 사진때문에 PE를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드라이브 우클릭 메뉴에서 백업을 하는 이유가 윈도우 백업인지 파티션 저장용 백업인지를 정확히 알지는 못합니다..최소한 윈도우 백업

  일것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4.jpg

 

5. 공간이 널널한 파티션을 Y:로 하였습니다

5.jpg

 

6. Y:를 Y:에 wim 백업이 가능하네요...저도 처음 해보는것이어서..복원는 포멧후 복원하기 때문에..의미가 없을것 같습니다

6.jpg

 

7. Snapshot으로 Y:를 Y:에 백업 중입니다.

7.jpg

 

8. Y:의 아래 폴더에 백업이 잘되었습니다..드라이브 문자를 백업 파일에 두어서 어떤 파티션이 백업이 되었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드라이브 문자는..IFW 홈페이지에도 비슷한 글이 있기는 합니다만 항상 같은 값이 아닐수 있기 때문에..100% 신뢰를

  할수가 없는 부분이 있는것 같습니다

8.jpg

 

9. 원도우 복원하듯이 흔적을 남겼습니다

9.jpg

 

10. Snapshot의 경우에도 백업 파일이 같은 파티션에 있는 경우 복원이 되지 않네요...Y: 파티션을 Y:에 백업하는것을 의미가 없는것 같기도

  합니다

10.jpg

 

11. 명령어가 궁금해서 우클릭 레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백업에 대한 간단한 명령어가 있습니다

  윈도우 파티션용 백업 프로그램이라면 드라이브 우클릭 메뉴에서 백업시 최소한 이 드라이브가 윈도우 파티션인지를 확인을 하는 과정

  이 필요할것 같습니다...우클릭 메뉴에서 백업시 백업 파티션인 Y: 인지 확인하는 과정도 있으면 좋은것 같습니다

11.jpg

 

12. 복원 명령어에서 여러개 백업 파일이 있는 경우 백업 파일 선택은 드라이브 문자로 하고 있네요

12.jpg

 

13. 우클릭 메뉴 백업 관련 메뉴중 cmd 파일로 된 것도 있습니다

13.jpg

 

14. 이 드라이브에 백업 생성 메뉴입니다...어떤 분의 작품인지는 다들 알고 계실것 같습니다

14.jpg

 

15. 안내 메세지입니다

15.jpg

 

16. cmd 실행시에 WinNtSetup.exe 파일이 필요한가 봅니다..없다고 에러가 발생을 하였습니다

16.jpg

 

17. WinNtSetup 폴더가 프로그램 폴더에 없네요...프로그램 폴더에 WimBackup 폴더가 보입니다

17.jpg

 

18. 바탕화면 우클릭에서 C를 IFW로 백업하는 메뉴가 있네요

18.jpg

 

19. pe에서는 파워셀이없어서 에러가 발생을 합니다.윈도우나 pe에 따라서 관리자 권한 설정을 하도록 해야 할것 같습니다

  명령어가 간단합니다. c:를 선택한 폴더에 백업하는 것이네요

  저도 오토잇에서 바이러스 검출을 줄인다고 Windows\System32 테그 폴더 만드는것을 기존 방식에서 폴더 선택 방식으로 바꾸어서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19.jpg

 

20. cmd에는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되어 있는 IFW에서 백업이 진행되지 않고 그냥 실행만 되네요..뭔가 이상하네요

20.jpg

 

21. cmd 명령어에는 %dnt% 변수값이 없지만 문제가 없는것 같은데요

21.jpg

 

22. Backup 폴더를 정확히 선택하였습니다. 그래도 안되네요  echo로 선택한 폴더를 보여주도록 해도 안보여 줍니다..

22.jpg

 

23. cmd를 수정해도 변화가 없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었습니다..같은 폴더가 2개 입니다

  프로그램 폴더에는 경로에 빈공백이 었어서 Windows 폴더에 한개더 만든것 같습니다 프로그램 폴더것을 삭제를 하지 않으셨네요

  레지를 확인하지 않으시는 분들은 프로그램 폴더것만 수정하시고 안된다고 생각을 하실것 같습니다

23.jpg

 

24. 선택한 폴더를 보여주도록 cmd에서 echo 주석처리를 삭제하였습니다...선택한 폴더를 정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몇가지 테스트를 해보아도 폴더 문제는 아니네요 원인은 전혀 엉뚱한곳에 있었습니다

24.jpg

 

25. IFW BR Simpe 를 배포할때 항상 들어가는 설명이 있습니다..단일 파일을 다운 받으시면 압축을 해제하신후 파일을 추가하시라는 설명

  입니다..  프로그램 폴더나 Windows\WimBackup 폴더에 있는 exe 파일이 단일파일이네요..이상하게 언어 dll 파일이 없는데 한글로 나오

  네 하였습니다.. cmd로 백업을 진행하는 경우 원본 파일을 넣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예전에 Snapshot 단일 파일을 넣어서 cmd로 백업

  복원이 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25.jpg

 

26. 압축 헤제한 파일을 넣고 진행을 하여 보았습니다..폴더는 정확히 설정이 되었습니다

26.jpg

 

27. 백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백업이 안되는 원인을 찾았으니 Windows\WimBackup 폴더는 삭제를 하고 우클릭 레지를 수정해서 프로

   그램 폴더에 있는것을 사용을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exe 파일을 당연히 단일파일이 아닌 원본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27.jpg

 

28. 폴더가 아닌 드라이브를 선택한경우 입니다...파일 경로에 \\가 2개 있지만 백업은 진행이 되네요

28.jpg

 

29. 폴더는 선택하는 대화상자에서 취소를 하는경우도 있을것입니다..cmd에는 여기에 대한 조치가 없네요

29.jpg

 

30. 취소를해서 선택한 경로가 없지만...

30.jpg

 

31. 엉뚱한 곳에 백업이 진행됩니다..아마..첫번째 하드 첫번째 파티션인것 같습니다

31.jpg

 

32. 백업이 진행이 되었지만 용량이 부족하다고 나오네요

32.jpg

 

33. 마무리

우인님 작품에는 많은 프로그램들이 포함이되어 있어서 모두 확인을 하실수가 없으셨을것 같습니다

우클릭 메뉴중에서 백업 프로그램은 잘못 복원하는 경우 대형 사고가 될수가 있어서..관련 되는 부분들을 체크하는 부분들이 있으면 

엉뚱한 일이 발생하는것을 줄일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백업 파일의 경우 수동 실행이 아닌 cmd등으로 실행을 한다면...단일파일 보다는 원본 파일을 활용하시는것이 문제가 발생하는것을 줄일

수있을것 같습니다

 

많은 프로그램들이 있어서 관심있는 부분만 실행하여 보았습니다..양해를 하여 주십시요

 

마음과 몸이 즐거운 새해 첫날이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2206 기 타| Easylight PE에 PinWinXShell 프로그램을 만들어 활용하여 ... [15] 왕초보 907 22 01-12
2205 기 타| Easylight PE - 파일과 프로그램 연결을 하여 보았습니다 [14] 왕초보 988 19 01-12
2204 기 타| (모자님)My storages readonly ctrl tools_실행기 [11] dd123 334 12 01-11
2203 기 타| Easylight+ 왕초보님 PE 사용기 [24] qnd 869 15 01-11
2202 기 타| Aomei one key - 갑자기 안되는 경험 - 해결책 1 [4] 코코당 530 8 01-11
2201 기 타| qnd님 Easylight TV 버전을 취향대로 하여 보았습니다 [113] 왕초보 1644 162 01-11
2200 기 타| 모자님-My storages readonly ctrl tools [15] 첨임다 533 18 01-11
2199 기 타| 중국 19043.1237 PE 한글화..어렵네요 [15] 왕초보 1143 18 01-10
2198 기 타| 해상도 설정 64bit QuickChangeResolution 잘(?) 활용하기 ... [8] 왕초보 1014 16 01-08
2197 기 타| qnd님 222mb PE - 우클릭 메뉴,TV 목록을 추가하여 보았습니다 [26] 왕초보 1155 22 01-08
2196 기 타| WimLib BR Lite 버전 사용기 입니다 [104] 왕초보 1312 176 01-07
2195 기 타| qnd님 222mb PE MountStorPE(X) Show 명령어로 성공했네요.. [17] 왕초보 821 18 01-06
2194 기 타| 질답란에 [VMWare] 추가 가상드라이브 질문 좀 드립니다. [8] 첨임다 478 15 01-06
2193 기 타| qnd님 222mb PE 피드백 및 바로가기를 취향대로 하여 보았... [13] 왕초보 899 19 01-06
2192 기 타| qnd님 222mb PE 우클릭 메뉴추가와 테마 피드백 입니다 [19] 왕초보 896 18 01-05
2191 기 타| qnd님 222mb PE에 Pintool로 시작메뉴 50개까지 등록하기 ... [12] 왕초보 986 17 01-05
2190 기 타| 청락은복님 의 SS 실컴 테스트 백업 오류 화면입니다. [11] huny 434 6 01-04
2189 기 타| (수정) qnd님 222mb PE에 시작메뉴 등록하기 입니다 [20] 왕초보 908 22 01-04
2188 기 타| PE를 끌어다 붙여서 부팅해 보기 [51] 집앞의_큰 1357 64 01-04
2187 기 타| IFW BR Lite + PE 둘다 사각 아이콘 적용을 해보았습니다 [99] 왕초보 1111 163 01-0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