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PE 부팅 때, 폴더를 Y:으로 탑재하기

2022.03.14 18:04

suk 조회:929 추천:24

강좌 그리고 사용기에 폴더를 Y:으로 탑재하는 방법이 올라와서 저도 해봤습니다

먼저 저도 의문이 들더군요. 기존처럼 드라이브를 Y:으로 탑재하면 되는데? 폴더를 Y:으로 탑재하는 이유는?

 

제 생각입니다만, 기존에 드라이브를 Y:으로 탑재하는 이유는 프로그램 폴더가 wim 외부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런 PE가 한 두개가 아닙니다. 그래서 이런 방식의 PE를 많이 가지고 계신 분들은...? 외부 프로그램 폴더들이 많으실 겁니다

그러면 폴더가 많아서 보기만 해도 좀 부담스러우실 겁니다. 이 때 특정 폴더를 Y:으로 탑재하면? 훨씬 간단하게 될 겁니다

그 특정 폴더에 전부 몰아 넣으시면 되기 때문입니다 ^^

PE 부팅 때, 폴더를 Y 드라이브로 탑재하기 - 테스트 성공 - 2022-03-14_170139.jpg

Ventoy에 wim 부팅할 때 진행하는 막대가 보이지 않아서 (진행하는게 안 보이면 좀 답답하더군요)

iso 안에 wim 넣어서 부팅 또는 지금처럼 테스트 자주 할 때는 윈도우 bcd에 boot.wim만 연결하여 바로 부팅합니다

- 위 이야기는 본문 내용과는 전혀 관계없어서 이해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냥 지나가는 이야기입니다 -

PE 부팅 때, 폴더를 Y 드라이브로 탑재하기 - 테스트 성공 - 2022-03-14_170232.jpg

이렇게 진행하는 과정을 보려는 노력? 입니다

PE 부팅 때, 폴더를 Y 드라이브로 탑재하기 - 테스트 성공 - 2022-03-14_170239.jpg

구슬도 보고요

PE 부팅 때, 폴더를 Y 드라이브로 탑재하기 - 테스트 성공 - 2022-03-14_170335.jpg

중간에 시행 착오들은 생략하고 성공한 장면만 올립니다

설치된 윈도우는 C:으로 잡히게 했습니다

PE 부팅 때, 폴더를 Y 드라이브로 탑재하기 - 테스트 성공 - 2022-03-14_170617.jpg

Y:은 특정 폴더입니다. 여기서는 Y_drive 폴더입니다

 

* 아? cdusb.y는 필요없습니다. 이것 저것 많이 시도하여 헷갈렸네요

PE 부팅 때, 폴더를 Y 드라이브로 탑재하기 - 테스트 성공 - 2022-03-14_170730.jpg

Y:은 D:\Y_drive 폴더가 탑재된 것입니다

단일 wim 이라서 여기서는 별 의미가 없습니다만...이제 여기에 Y:으로 연결된 외부 프로그램 폴더들을 막 넣으면 될 겁니다

그러면 D:의 루트가 깨끗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단...Y: 으로 연결되는 PE들을 전부 수정해야 하는 일이 남아 있군요. 흠..

 

PE 부팅 때, 폴더를 Y 드라이브로 탑재하기 - 테스트 성공 - 2022-03-14_171102.jpg

QuantumPE의 pecmd.ini 초반에 2줄을 다음과 같이 수정했습니다.

PE 부팅 때, 폴더를 Y 드라이브로 탑재하기 - 테스트 성공 - 2022-03-14_171152.jpg

//EXEC !%WinDir%\ReMount.exe

EXEC !Y_drive.bat

IFEX Y_drive.bat,!EXEC !AU3381.exe LetterSwap.au3 /bootdrive Y:\CDUsb.y /log LetterSwap.log /IgnoreLetter XY /auto

 

EXEC !%WinDir%\ReMount.exe 실행하니까 폴더가 Y:으로 탑재되지 않아서 생략했습니다 (무효 처리)

그리고 (위 명령어에 있는) 제가 만든 Y_drive.bat 파일도 wim 파일의 Windows\System32 폴더에 넣어주셔야 합니다

Y_drive.bat

-----------------

본문 중간에 있습니다만, 위에 PE는 단일 wim이라서 저는 연습삼아 해본 것입니다 [폴더를 Y:으로 탑재하는 테스트]

위 PE는 프로그램을 외부로 빼도 wim 크기가 큰 차이 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Tools나 프로그램 폴더를 외부로 뺄 생각이 없습니다

실제로 한다면 원래 Y:으로 wim 외부에 프로그램 폴더가 연결되는 PE를 할 겁니다. 물론 단일 wim으로 된 PE가 편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911 기 타| QuantumPE AdminF.wim 2.16GB [68] V무등산V 2715 76 04-21
1910 기 타| 유튜브 시청하면서 댓글 보기 [5] do98 930 15 04-21
1909 기 타| undelete-360 사용기 [10] 첨임다 769 12 04-21
1908 기 타| WIN10 MTP지원 BLACK SNOW PE 사용기 입니다. [42] 더불어~~~ 1482 27 04-20
1907 기 타| 블*스*우님의 PE 테스트 후기 [33] 더불어~~~ 945 23 04-17
1906 기 타| 집*의 큰*무님의 포켓-19044.1679 업데이트 후기 [9] 더불어~~~ 615 13 04-17
1905 기 타| QuantumPE AdminF_x64_PE_wimboot_무등산 펀집 (2022.4.17... [125] V무등산V 1814 85 04-16
1904 기 타| [종료]Prince_KJ - Prince_KJ_11th PE [531] DengJang 3220 138 04-16
1903 기 타| PE 용양커서 vhd 새로설치 테스트중 [49] V무등산V 652 35 04-15
1902 기 타| Light_Net - Light_Net_11th PE 업데이트 사용기 [46] 더불어~~~ 785 32 04-15
1901 기 타| [종료]Light_Net - Light_Net_11th PE 업데이트 [437] DengJang 1458 146 04-15
1900 기 타| [A/S 추가]Quantum_SystemT 테스트 후기 [35] 더불어~~~ 1137 43 04-11
1899 기 타| [종료]Quantum_SystemT [515] DengJang 2465 161 04-11
1898 기 타| QuantumPE AdminF 카님3월 31자 VHD에새로설치 테스트중 [77] V무등산V 1295 56 04-08
1897 기 타| USB_VHD_PE_설치 테스트 [45] V무등산V 1273 41 04-06
1896 기 타| [종료]Light_Net - Light_Net_11th PE [414] DengJang 1828 140 04-06
1895 기 타| QuantumPE AdminF_무등x 편집 [실컴에 VHD 부팅 성공] [26] suk 2165 33 04-05
1894 기 타| ObjectDock 수정 저장하기 동영상 참조 [15] V무등산V 605 21 04-05
1893 기 타| QuantumPE AdminF_x64_wimboot_무등산 펀집 (2022.4.5일) [553] V무등산V 3038 175 04-04
1892 기 타| 수정중 받지마세요 [242] V무등산V 2892 125 04-0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