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복구시스템용 PE - 설정이 간단한 맞춤형으로 구성하여 보았습니다

2022.03.13 13:45

왕초보 조회:1222 추천:26

PE는 사용하는 목적이나..활용을 하시는 분의 취향에 또는 능력에 따라서..다향한 모습으로 변신을 해서 이런 PE를 접할때마다 재미가 있습니다

 

PE를 잘 다루시는 분들은 다양한 설정을 편하게 할수가 있다면..취향에 맞게 설정하는 재미가 있겠지만...PE를 단순히 윈도우 백업,복원용으로 활용

을 하시거나..PE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시는 분들은 이런 설정들이 모두 필요하시지는 않습니다..

저야....초보분들도 최소한 원하는 사진으로 배경을 지정할수 있도록 이 부분만은 꼭 챙기고 있습니다.. 하지만 초보분들의 경우 다른 부분들을 실제

거의 활용하시지 않은 기능들도 있기도 합니다

 

다양한 설정 기능이 오히려 복잡해서 정신이 없다고 하시는 분이 있으셔서..원하시는 대로 설정 부분을 대폭 줄인 복구시스템용 PE로 구성을 새로

하여 보았습니다

다양한 기능이 있는 전자제품 대신에..고령화 사회에 맞추어서...설정 버튼이 간단한 전자제품들 있는것처럼 많은 설정이 오히려 불편할수도 있기는 

합니다....

 

불편하시다고 하시는 부분들도 있어서 이부분도 개선을 해보기는 하였습니다..

 

최신 컴퓨터가 아니라면..백업,복구용으로는 역시 왕자님의 초저량 PE가 최고여서 왕자님의 작품을 활용하였습니다

좋은 작품을 베풀어 주신 덕분에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1. 작년에 IFW BR 공개용 버전이 경우..설정 ini를 활용하는 런처를 사용을 해서 상황에 따라서 다른 런처를 사용하기 위해 아래처럼 런처 종류가 3개나

  있습니다. .복잡하죠

  App 폴더에도 cmd로 진행을 하게 되면서..파일들이 많습니다...

1.jpg

 

2. 파일들이 많으면 복잡해 보이고 신경이 쓰여서..아래처럼..파일에 런처 대신에 겉모양은 같지만 새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모두 넣어 버렸습니다

  App 폴더에 있는 cmd도 모두 넣어서..IFW 파일과 PE 부팅파일만 있습니다..원래 X64 버전만 원하셔서..IFW도 x64 버전만 있습니다..사용기을 위해

  서 x86 버전도 있게 되었습니다

 

  1번 사진처럼 복잡한것보다는 이렇게 깔끔한것이 좋죠..단점은 Cmd가 없어서..마음대로 수정해서 사용할수가 없다는 것도 있습니다

  초보분들이 cmd를 수정해서 사용할일은 없어서.초보분용으로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2.jpg

 

3. TBWinPE.exe 를 횔용해서 PE 부팅을 하는 경우 BCD에 1번 2번처럼 등록이 되고 wim 파일 있는곳에는 3번처럼 그 흔적이 남습니다

   이왕이면 이런 흔적 없이 깔끔한것이 좋죠..이 부분도 개선을 하였습니다...이제 이런 흔적은 볼일이 없습니다..

3.jpg

 

4. pecmd.ini 도..괜히 복잡해 보이는것은..PESettingLite.exe 에서 처리하도록 하였습니다..덕분에 간단해졌습니다

  ChkDskGUI.exe도 예전에 사용기를 쓴 우클릭 메뉴에 자동등록을 해주는 버전을 활용하였습니다

4.jpg

 

5. Util 폴더에 있는 프로그램 바로가기는 PESettingLite.exe에서 만들어 줍니다..

5.jpg

 

6. PE 설정은 최소로 하였습니다

6.jpg

 

7. 모양은 기존 런처와 같은 모양입니다...현재 백업파일이 없어서 복원 버튼은 비활성입니다..윈도우에서는..PE 부팅을 위한 버튼이 있습니다

7.jpg

 

8. IFW는 윈도우에서 백업이 가능해서 이것을 활용하였습니다 백업 메세지입니다...

8.jpg

 

9. 백업중입니다

9.jpg

 

10. 백업이 완료가 되면 복원 버튼은 활성화가 됩니다

10.jpg

 

11. 복원은 PE로 부팅을 해서 진행을 합니다

11.jpg

 

12. 부팅 진행 과정을 알수 있는 아래 기능은 살아 남았습니다.

12.jpg

 

13. 복원을 위한 PE 부팅이어서 바로 복원 메세지를 보여줍니다. 사고가 나면 대형사고죠 사고 방지를 위해서 볼륨명으로 확인을 하는것이 좋습니다13.jpg

 

14. 복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4.jpg

 

15. PE에서는 PE 부팅 메뉴는 없습니다

15.jpg

 

16. PE에서 백업 메세지입니다..윈도우 일때와 같은 메세지입니다

16.jpg

 

17. 복원을 위한 PE부팅, 단순히 PE 부팅 둘다 TBWinPE.exe를 활용을 합니다.. 현재 BCD나 Wim 파일이 있는 폴더가 깨끗합니다 

17.jpg

 

18. PE 부팅 메세지입니다

18.jpg

 

19. PE로 부팅이 되었습니다..BCD와 wim 파일이 있는 폴더에 TBWinPE.exe 흔적이 없습니다...이제는 눈에 거슬리는것 없이 깔금해졌습니다..

20.jpg

 

20. 윈도우에서 확인한 인증샷입니다..

21.jpg

 

21. 복구용 PE에서 중요한것이 윈도우 파티션이죠..X: 드라이브는 의미가 없어서.. 표시하지 않고 윈도우 파티션과 USB만 표시를 합니다

   윈도우 파티션은 갯수에 상관없이 모두 표시합니다  맞춤형이어서..아이콘들도 바꾸었습니다

22.jpg

 

22. 초보분용 복구시스템용이어서 윈도우가 1개가 있는 것이 기준입니다...2개인 경우 안내 메세지입니다

23.jpg

 

23. 포맷등을 해서 윈도우 파티션이 검색되지 않으면..아래처럼 테그를 만드는 창이 나옵니다.

    윈도우 파티션 테그는 Windows\System32 폴더입니다

24.jpg

 

24. 윈도우 파티션 테그를 만들고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었습니다..당연히 백업은 비활성입니다

25.jpg

 

25. 복원중입니다

26.jpg

 

26. pecmd.ini에서 체크디스크 우클릭 메뉴를 자동등록한 것입니다...ChkDskGUI.exe 실행하지 않고 바로 검사를 할수가 있습니다

27.jpg

 

27. 모든 드라이브를 검사하였습니다

28.jpg

 

28. Util 폴더 프로그램의 바로가기를 확인하였습니다

29.jpg

 

29. ChkDskGUI.exe를 실행하는것보다는...우클릭 메뉴가 편할때도 있죠..

30.jpg

 

30. 드라이브 우클릭 메뉴에서 검사할수 있습니다

31.jpg

 

31. PE 설정 항목 자체가 팍 줄었습니다...ini reg cmd 수정은 초보분보다는..복구시스템 구성시 추가 기능이 필요한 경우 편하려고 남겨 놓았습니다

  바탕화면 +원클릭 바로가기는..재미삼아서..

32.jpg

 

32. 토글 아이콘이 바뀌도록 하여 보았습니다.. 아니 이런 실수를...너무 정신없이 수정을 했나 봅니다.Util 바로가기에 exe가 붙어 있네요..

33.jpg

 

33. +원클릭 클릭전 입니다

34.jpg

 

34. +원클릭 아이콘이 변경되었습니다..바로가기의 exe도 수정을 하였습니다

35.jpg

 

35. 마무리

사람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설정을 할수 있는것이 좋으신분도 있으시고..반대로..그런 설정이 복잡해 보이시는 분도 있으시네요

필요없다면 아무리 좋은기능이라도 배제를 하는것이 좋죠..원하시는 대로 구성을 하여 보았습니다

 

덕분에..PE 설정이 간단해졌네요 

초보분들께는..설정이 적을수록 설명하기도 편해서 저도 편하기는 합니다..

IFW용 cmd의 경우..수정할수 있는 분들에게는 활용도가 높지만 실수를 하면 대형 사고요..

초보분들에서는 어쩌면 이렇게 설정이 간단한것이 사고를 줄일수 있는 방편이 될수 있을것 같기도 합니다..

 

일요일입니다

몸과 마음에 편안하신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908 기 타| undelete-360 사용기 [10] 첨임다 743 12 04-21
1907 기 타| WIN10 MTP지원 BLACK SNOW PE 사용기 입니다. [42] 더불어~~~ 1458 27 04-20
1906 기 타| 블*스*우님의 PE 테스트 후기 [33] 더불어~~~ 930 23 04-17
1905 기 타| 집*의 큰*무님의 포켓-19044.1679 업데이트 후기 [9] 더불어~~~ 586 13 04-17
1904 기 타| QuantumPE AdminF_x64_PE_wimboot_무등산 펀집 (2022.4.17... [125] V무등산V 1757 85 04-16
1903 기 타| [종료]Prince_KJ - Prince_KJ_11th PE [531] DengJang 3054 138 04-16
1902 기 타| PE 용양커서 vhd 새로설치 테스트중 [49] V무등산V 622 35 04-15
1901 기 타| Light_Net - Light_Net_11th PE 업데이트 사용기 [46] 더불어~~~ 765 32 04-15
1900 기 타| [종료]Light_Net - Light_Net_11th PE 업데이트 [437] DengJang 1313 146 04-15
1899 기 타| [A/S 추가]Quantum_SystemT 테스트 후기 [35] 더불어~~~ 1111 43 04-11
1898 기 타| [종료]Quantum_SystemT [515] DengJang 2350 161 04-11
1897 기 타| QuantumPE AdminF 카님3월 31자 VHD에새로설치 테스트중 [77] V무등산V 1270 56 04-08
1896 기 타| USB_VHD_PE_설치 테스트 [45] V무등산V 1259 41 04-06
1895 기 타| [종료]Light_Net - Light_Net_11th PE [414] DengJang 1761 140 04-06
1894 기 타| QuantumPE AdminF_무등x 편집 [실컴에 VHD 부팅 성공] [26] suk 2114 33 04-05
1893 기 타| ObjectDock 수정 저장하기 동영상 참조 [15] V무등산V 575 21 04-05
1892 기 타| QuantumPE AdminF_x64_wimboot_무등산 펀집 (2022.4.5일) [553] V무등산V 2944 175 04-04
1891 기 타| 수정중 받지마세요 [242] V무등산V 2808 125 04-03
1890 기 타| 겨*나*네님의 퀀텀pe 배경화면 감사 스샷~~ [28] 더불어~~~ 957 29 03-31
1889 기 타| PE VHD 설치작업중 듀얼 모니터용 [49] V무등산V 676 39 03-3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