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내용추가] wim 외부 프로그램 PE도 Ventoy로 ISO 부팅됩니다

2022.03.06 12:40

suk 조회:1424 추천:29

언제부터인지는 저도 확인하지 않았습니다만, Ventoy 버전을 계속 업데이트하신 분들은 아실 겁니다

 

오래 전부터 PE는 iso로 부팅하면 wim 바깥에 별도로 있는 프로그램들은 인식하지 못 합니다

이유는 iso 내부의 wim 파일만 부팅 때 로딩하기 때문입니다. wim 로딩 후에 iso 파일은 관계가 없게 됩니다

 

그런데 요즘 여러가지 PE 테스트를 하다가 pecmd.log를 보다가 ventoy.log 파일도 있더군요. 그래서 확인하게 됐습니다

 

좀 더 부연하면, iso로 된 PE 중에서 단일 wim으로 구성된 PE는 문제가 없고, wim 외에도 프로그램이 별도로 있는 iso 이야기 입니다

이런 PE도 iso로 부팅하지 않고, iso를 풀거나 iso 굽기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하나의 iso 파일로 부팅할 때 문제입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0636.jpg

요즘 PE 전쟁중이시라고 하셔서, PE 전쟁과는 별로 관계없는 PE를 골라서 부팅해봤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0707.jpg

원본에서 배경화면만 교체하여 부팅했습니다

 

오른쪽 아래 보시면 엣지가 설치 중이라고 나옵니다. 아직 부팅 과정입니다.

이것도 이미 iso에 wim 외부 파일을 인식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0848.jpg

제가 부팅 후에 탑재한 것이 아니라 부팅 과정에서 Ventoy가 자동 탑재합니다

ISO 드라이브 문자는 순서대로 탑재됩니다. Y: 등으로 특정 드라이브로 탑재하려면 별도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0950.jpg

바탕 화면의 바로가기들도 이미 ISO 드라이브 G: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wim 내부 프로그램이라면 X:으로 연결됩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1142.jpg

앞서 말한 ventoy.log 파일을 열어봤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1242.jpg

G:으로 탑재되어 있다는 것까지 다 나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2022-03-06_121533.jpg

바탕 화면에 바로가기 (iso드라이브에 연결)가 잘 실행되는지도 확인해봤습니다

 

* 주의사항: wim 외부 프로그램이 있는 ISO도 Ventoy로 사용 가능합니다만

ISO가 탑재된 DVD 드라이브는 쓰기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PE의 프로그램들 중에 쓰기가 필요한 일부 프로그램은 오류가 생깁니다

 

그냥 참고사항으로 올린 글입니다. Ventoy = 벤토이는 현재 제가 사용한 1.0.70 버전이 최신입니다

https://github.com/ventoy/Ventoy/releases

Ventoy는 현재 1.0.70 버전이 최신입니다 2022-03-06_123551.jpg

-------------------------------------------------------------------------

추가: 2022.03.06 일요일 오후 01:43

좀 전에 Ventoy 버전을 하나씩 확인해보니까, Ventoy 1.0.49 버전부터

위와 같이 iso 안에 wim 외부에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도, iso로 부팅해도 wim 외부 프로그램이 인식됩니다

1.0.49 버전은 2021.08.03에 출시되었습니다. 꽤 오래 되었네요. 저도 단일 wim으로 구성된 iso 부팅만 해서 모르고 있었습니다

 

ISO를 DVD 드라이브로 자동 탑재하지 않으면 어떻게 부팅하는지? 1.0.48 버전이고, 위와 같은 PE 입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어떤 버전인지 찾기 1.0.48 버전은 X 2022-03-06_132826.jpg

이렇게 휑하니 부팅합니다

 

이왕 올리는 김에 1.0.48 다음에 1.0.49도 비교 차원에서 올립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어떤 버전인지 찾기 1.0.49 버전부터였군요 [최초기록] 2022-03-06_132911.jpg

1.0.48 에서 1.0.49 로 업데이트 하는 과정입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어떤 버전인지 찾기 1.0.49 버전부터였군요 [최초기록] 2022-03-06_132921.jpg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어떤 버전인지 찾기 1.0.49 버전부터였군요 [최초기록] 2022-03-06_133009.jpg

10번 이상 버전을 확인한 것 같습니다. 이것도 일이군요

-------------------------------------------------------------------------

추가:2 2022.03.06 일요일 오후 04:42

결론은 같습니다만, 참고 사항으로 추가합니다

1.0.48 버전도 부팅 후 확인해보니까 iso가 탑재되어 있더군요. 그러면 무슨 일이...?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48 버전도 iso를 탑재하는데 pecmd.ini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문제였군요 2022-03-06_163341.jpg

테스트 iso는 계속 같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48 버전도 iso를 탑재하는데 pecmd.ini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문제였군요 2022-03-06_163512.jpg

iso 탑재는 되었는데 wim 외부 프로그램들은 연결되어 있지 않더군요.

처음에는 그냥 iso 특성인가 했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48 버전도 iso를 탑재하는데 pecmd.ini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문제였군요 2022-03-06_163825.jpg

ventoy.log의 마지막 부분을 보니까 의문이 풀리더군요

pecmd.ini를 실행하지 않고 다른 걸 실행하더군요. 요즘 PE는 대부분 pecmd.ini로 작동합니다

 

그리고 1.0.29 버전도 부팅하여 확인해봤습니다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29 버전은 iso 탑재 되지 않고, ventoy.log도 없습니다 2022-03-06_165503.jpg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29 버전은 iso 탑재 되지 않고, ventoy.log도 없습니다 2022-03-06_165615.jpg

1.0.29는 iso 탑재도 하지 않더군요

Ventoy가 어떤 버전부터인지 ISO로 된 PE를 부팅 과정에서 DVD 드라이브로 탑재해주기 때문에 ISO 안에 wim 외부에 있는 프로그램들도 사용 가능해졌습니다 - 1.0.29 버전은 iso 탑재 되지 않고, ventoy.log도 없습니다 2022-03-06_165644.jpg

ventoy.log 파일도 없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점차 Ventoy가 iso로 된 PE 지원이 확장되었네요.

 

Ventoy의 짧은 변천사를 봤습니다

-------------------------------------------------------------------------

추가:3 2022.03.06 일요일 오후 07:15

참고로, Ventoy에서 초창기부터 지원했던 윈도우 ISO를 부팅하는 경우는 윈도우 ISO를 탑재해야만 윈도우 설치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 ISO는 자동 탑재되었습니다. PE와 윈도우 ISO는 이렇게 다른 취급을 받습니다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422.jpg

위와 같은 1.0.29 버전으로 윈도우 통합본 ISO로 부팅을 해봤습니다.

PE도 마찬가지입니다만, ISO 전체를 로딩하지는 않고 boot.wim만 로딩합니다. 그래서 금방 부팅합니다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446.jpg

여기서 shift + f10 눌러서 명령창 열었습니다. 그리고 notepad를 탐색기 대용으로 사용했습니다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516.jpg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554.jpg

이렇게 부팅한 윈도우 iso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설치해야 하는 윈도우 =  install.wim이 iso 안에 있기 때문이죠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645.jpg

ventoy.log는 기대하지 않았는데 있더군요 ^^

Ventoy 초창기부터 윈도우 ISO는 탑재합니다. ISO가 탑재되어야 윈도우 [ISO 안에 sources 폴더에 install.wim] 설치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22-03-06_190712.jpg

ISO가 마운트 성공했다고 나오더군요. log는 짧아서 좋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2231 기 타| Easylight PE용 WimLib BR Lite v2.0 버전 사용기입니다 [90] 왕초보 1097 168 01-25
2230 기 타| qnd님 Win11 PE - 우클릭 전원 메뉴 위치를 바꾸어 보았습니다 [9] 왕초보 984 19 01-24
2229 기 타| Easylight PE - Util폴더에 단일파일 넣어 사용하기 입니다 [13] 왕초보 1425 26 01-24
2228 기 타| 초보의 설치기 복구모드에 대해 (기가메인보드 물바이오스) [1] 코코당 675 3 01-22
2227 기 타| Dism 방식을 선호 합니다. [5] 코코당 1268 8 01-21
2226 기 타| lg 복구 와 비교해 본 기가바이트 스마트복구 [2] 코코당 936 4 01-21
2225 기 타| qnd님 Win11 Wifi Lightn ChangeWall PE 부팅기 입니다 [11] 왕초보 1000 20 01-20
2224 기 타| Easylight PE용 IFW BR Lite v5.0 버전 사용기입니다 [75] 왕초보 973 120 01-20
2223 기 타| knm님 DISM_OKR 일곱번째 엔진 구동기 [12] parannara 857 18 01-19
2222 기 타| Ghost BR Lite v1.0 버전 사용기 입니다 [70] 왕초보 1090 124 01-19
2221 기 타| Easylight PE Chrome 즐겨찾기 자동저장하기 입니다 [9] 왕초보 891 20 01-19
2220 기 타| (수정) Easylight PE용 Snapshot BR Lite v2.0 버전 사용기... [88] 왕초보 1103 162 01-18
2219 기 타| Snapshot BR Lite v1.0 버전 사용기입니다 [98] 왕초보 1104 174 01-18
2218 기 타| (수정) Easylight PE - 파일연결로 sna파일 마운트 하기 ... [15] 왕초보 864 25 01-17
2217 기 타| Easylight PE - UltraISO 열기+탑재 같이 사용하기 입니다. [15] 왕초보 1013 21 01-17
2216 기 타| 11_PE 테스트 용 10분 받아가면 종료 원본추가 (용양 줄임... [103] V무등산V 2296 116 01-16
2215 기 타| RSImageX2.91_x64 PE에서 테스트 [18] V무등산V 1033 27 01-16
2214 기 타| Easylight PE - 폴더/폴더/Load.ini 로드하기 입니다 [7] 왕초보 891 19 01-16
2213 기 타| Easylight TV PE v2.0 버전 사용기 입니다 [114] 왕초보 1305 210 01-16
2212 기 타| imagew.exe + tbiview.exe 단일파일 - 좋은데요 [16] 왕초보 1298 29 01-14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