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MBR에서 Gub2 + IFW LInux 복구시스템 구성을 하여보았습니다

2021.02.03 13:59

왕초보 조회:509 추천:11

MBR 사용을 하고 있어서 UEFI 보다 복구시스템 구성을 하는것이 이미 구성이 되어 있어서 복구시스템 구성이 개인적으로는 편합니다

IFW LInux 버전을 UEFI에서 셋팅된 파일을 ESP 파티션에 복사후 바이오스에서 부팅 설정만 해주면 되어서 생각보다 간단했었습니다..

그런데...편할줄 알았던 MBR에서..FW LInux 버전을 설치가 엄청 복잡해졌습니다

 

UEFI에서 ESP 파티션이 하드 맨 앞단에 있어서 pe를 같이 넣은경우 pe 부팅을 위한 BCD 설정이 고정이었습니다..MBR에서는 예약 파티션이 없는

경우 IFW LInux 설치를 위해서 별로의 FAT32 파티션이 필요합니다..IFW LInux 에서 cmd와 같은 메뉴가 자동 실행이 되려면..FAT32 파티션이어야

합니다..Linux를 활용하려구 하니까 이런 불편이 있네요

 

Grub2 관련해서는..하드에 gr2dr을 두고 사용하는 방법과 grub2 자체를 설치해서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gr2dr 파일을 활용하는 경우 처음에는 잘 작동을 했는데..이것저것 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MBR 부분이 꼬였는지..어느순간부터 파일을 찾지 못하는

에러가 생겨서 포기를 하고 grub2를 설치하는 경우 부팅시에 grub2 환영 메세지가 나와서..이것도 보기가 좀 그렇죠.

결국은..부팅시 잘되고 grub2 환영메세가 나오지 않은 Isoo Backup 에서 추출한 erldr을 활용을 하였습니다

 

 

자동화를 위해서 Isoo Backup 프로그램 자체에서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Isoo Backup 프로그램에 있는 grubmbr 파일로 MBR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하였습니다

재미있는것은..grubmbr로 MBR을 복원을 하면 파일 이름처럼 Bootice에서 설치 정보를 보면 erldr이 아닌 grldr로 되어 있습니다..

실제는 erldr을 찾아서 gurb2를 실행하는 순서로 진행이 됩니다..따지고 보면..부팅 메뉴는 grub2지만 MBR에는 grub가 등록이 되어 있는것입니다

 

MBR에  IFW LInux을 복구시스템으로 활용을 해보려고 하다가 설치 과정이 복잡해서 결국 설치과정도 자동으로 하도록 하였보았습니다

FAT32 파티션을 파티션 프로그램으로 수정으로 만들어야해서..전자동은 아니기는 합니다

 

 

UEFI에서 부팅 메뉴로 활용했던 XorBoot를 MBR에서 활용을 해보려고 했지만..UEFI에서는 설정 과정이 다르네요..

bin 파일에 설정을 저장할수가 있는데 이상하게 저는 가상에서 되지를 않고..배경화면 bmp파일을 로드하는데 시간이 결려서 포기를 하고 Grub2를

활용하게 되었습니다..아쉬운 부분입니다

 

IFW LInux를 MBR에서도 복구시스템으로 활용을 하였구나 하는 정도로 보아 주십시요

 

 

1. Backup 폴더안에 설정 프로그램 같이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TDos.tag는 IFW Dos 버전에서 Backup 폴더를 찾을때 활용하는 테그파일입니다

  Dos에서는 폴더를 검색하는것을 몰라서 테스파일을 활용을 했었습니다

1.jpg

 

2.  IFW LInux에서 FAT32 파티션이 필요해서 pe등 관련파일을 별도의 파티션에 두어야 합니다..RecoveryPE 볼륨명이 기준이 되어서 이 볼륨명이

   필수입니다. 맨 앞단에 예약 파티션이 있으면 늘려서 활용하면 되는데...맨 뒤에 새로 만드는것이 간단하죠..

2.jpg

 

3. RecoveryPE 볼륨명이 있으면 자동으로 선택하여 줍니다..

3.jpg

 

4. 복구시스템을 설치를 시작하였습니다..파일을 복사하고 있습니다

5.jpg

 

5. 현재처럼 RecveryPE 파티션이 숨김이 아닌경우 숨김처리까지 하여 줍니다...

6.jpg

 

6. 설정이 완료 되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재시작을 합니다..새로 파티션을 검색을 하였습니다...Z: 문자옆에 * 이 있습니다..숨김파티션 표시입니다

7.jpg

 

7. 설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Z: 로 마운트를 해주어서 현재는 드라이브 문자가 있습니다..파티션을 FAT32 입니다

8.jpg

 

8. 설치 프로그램이 종료가 되면 임시 마운트한 파티션을 숨김으로 돌아 갑니다...임시 마운트에 mountvol.exe를 활용하고 있어서..숨김은 단순히 드라

   이브 문자를 삭제하는것으로 하였습니다...

9.jpg

 

9. grubmbr 파일로 MBR에 설치를 한 경우 아래처럼 grldr로 표시가 됩니다. 

10.jpg

 

10. 실제 부팅은 erldr로 진행이 됩니다

11.jpg

 

11. 설치 프로그렘에서 복구시스템을 삭제를 진행하여 보겠습니다..삭제 메세지입니다

12.jpg

 

12. 파일들이 삭제가 되고 MBR로 설치시에 백업해둔 파일로 복원이 됩니다..그리고 드라이브 삭제로 숨김파티션이 된것도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을

  하여 줍니다..삭제 완료후 프로그램이 자동 재실행 된 모습입니다..Z:에 숨김표시 * 이 없습니다..파티션 프로그램으로 파티션을 삭제를 하면 마무리

  가 됩니다

13.jpg

 

13. UEFI의 ESP 피티션에 설치를 할때에는 위치가 고정이어서 신경쓰지 않아던 부분이 MBR에 오면서..문제가 되었던것입니다

   복구용 PE 부팅에 사용되는 BRP bcd 파일이 pe가 등록된 모습습니다..설치되는 파티션에 따라서 자동구성이 됩니다

14.jpg

 

14. 도스버전은 이제..물러날때가 되어서...실제에는 도스버전을 빠져있어서 필요시 메뉴에 추가를 해주어야 합니다.

15.jpg

 

15. Win.tag와 TDos.tag 파일을 검색해서 볼륨명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16.jpg

 

16. 3.42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기는 하였습니다..

17.jpg

 

17. 바탕화면에서 런처를 활용할수도 있고 간단히 우클릭 메뉴를 활용할수도 있습니다

18.jpg

 

18. 백업 메세지입니다

19.jpg

 

19. grub.cfg에서 설정을 할수가 있어서.. XorBoot 보다는 설정하는것이 편하기는 합니다.

20.jpg

 

20. initrmfs.gz 파일을 로드하는 중입니다..gui는 84MB cui는 69MB입니다..UEFI에서는 로드하는데 시간이 별로 걸리지 않았느데..MBR에서는 UEFI

   에서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되네요.. .

21.jpg

 

21. 백업중입니다

22.jpg

 

22. 백업 완료후 재부팅이 되었습니다...원래 메뉴로 설정이 되었습니다 grub2의 경우 BCD에 등록을 하지 않아도 되어서..좀더 설정을 자유롭게 할수가

  있습니다

23.jpg

 

23. 윈도우에서 복원을 진행을 하였습니다.재부팅후 메뉴입니다

24.jpg

 

23. 복원이 진행중입니다  윈도우 버전과 다르게 도스를 사용하는 기분이나서 IFW LInux 버전을 자꾸 활용을 하게 됩니다

25.jpg

 

24. 윈도우에서 PE로 부팅시 메뉴입니다

26.jpg

 

25. pe로 부팅이 잘 되었습니다

27.jpg

 

26. 리눅스 메뉴 버전으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28.jpg

 

27. 마무리

백업,복구에 사용하는 프로그램도 사용하기 편해야 하지만...복구시스템을 구성하는것도 간단해서..실제 활용할때 편하죠..

 

UEFI에서 IFW LInux 버전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 과정은 간단해서 수동을 파일 복사를 해도 되지만...MBR에서 파티션을 새로 만들고 pe 부팅에 사용

되는 bcd로 항상 새로 설정을 해주고 드라이브 문자까지 삭제를 해야 하는등 복잡한 과정이 필요해서 결국은 파티션 만드는것 외에는 자동설치 삭제가

되도록 하여 보았습니다

 

PE 하나만 있으면 백업,복원에 문제가 없는데..어쩌다 IFW LInux 버전의 매력에 빠져셔..이렇게 복잡한 과정으로 복구시스템까지 구성을 하여 보게

되었습니다

 

오늘 하루도 즐거운 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71 기 타| [19] Macrium Reflect 꼬마 PE(또)에서 중복실행 문제입니다 [5] 왕초보 530 7 02-19
170 기 타| 카멜님 yPASC1.19t처럼 wim에서 프로그램 불러오기 [10] 서기다 529 4 09-08
169 기 타| [Sergei Admin W11PE 230705K] 작업 표시줄 투명도 4가지 ... [7] 세이퍼컴 529 9 08-11
168 기 타| 카멜님 RSPASC1.37 버전 사용기입니다. [11] 왕초보 528 5 10-01
167 기 타| K*m님 런처-질문란 오토핫키 소스 활용시 참고하여 주십시요 [2] 왕초보 528 5 09-09
166 기 타| WinXPE147수정버전_20240313_ 23H2(빌드22631.3296) 사용기 [51] 격자 528 64 03-17
165 기 타| COLi**님 PE 단일 wim에서 바로가기만 꺼내서 관리하는 방... [5] 왕초보 526 8 03-20
164 기 타| (업데이트해주셨습니다) 원키PE에서 글꼴크기 변경 원인입니다 [11] 왕초보 525 9 02-27
163 기 타| extd.exe를 이용한 간단 Cmd 백업,복구 프로그램을 구현하... [3] 왕초보 523 2 04-26
162 기 타| 선*님 작품을 Admin으로 활용을 하여 보았습니다. [8] 왕초보 523 6 04-29
161 기 타| 19045.2364 COMET PE 부팅 후기 [12] 더불어~~~ 521 16 12-17
160 기 타| [14] Macrium Reflect 입니다님 Y 고정 스크립트 사용기입니다 [7] 왕초보 519 8 02-14
159 기 타| [Sergei Admin W11PE 230705K] 파일 및 폴더 강제삭제권한 ... [10] 세이퍼컴 519 24 08-06
158 기 타| 런처에 대한 미련으로..Mini 버전을 런처처럼 수정하여 보... [6] 왕초보 518 7 07-03
157 기 타| [큰나*님]파티션 사용기외 [4] 간장종지646 515 6 10-03
156 기 타| PE에서 웹브라우저 이모지 잘 표현되지 않을 때... [3] DengJang 515 9 06-15
155 기 타| 알람... 그리고... [15] 빨강모자 515 34 02-09
154 기 타| PECMD HELP EN PDF [7] 지후빠 515 34 03-31
153 기 타| 선우님 Admin 10PE + imdisk + RSPASC1.23 사용기입니다.. [11] 왕초보 514 6 09-26
152 기 타| PETools.ISO 바로가기를 보이게, 안보이게를 하여 보았습니다 [5] 왕초보 513 3 07-01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