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선*님 Win10XPE x86 에서 ReMount 관련입니다..

2018.08.08 17:17

왕초보 조회:517 추천:12

ReMount 관련해서..특이한 현상이 있어서..따로 사용기를 쓰게 되었습니다....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지난 사용기에서...ISO 파일에  CDUsb.y 파일이 있지만..ReMount.exe가 있어서...CDUsb.y 파일은 작동하지않은 파일인줄 알았습니다

그런데..CDUsb.y 파일이 작동하는 파일이네요

 

아래 사용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CDUsb.y 파일을 검색해서 Y: 드라이브로 만들고...다시 ReMount.cmd가 작동을 하면서 Y:로 만든것을

다시 U: 드라이브로 만들고 있습니다..

ReMount.cmd 파일에 바로가기 파일을 만드는 내용이 있어서..ReMount.cmd 파일을 사용하기는 해야 할것 같습니다

 

XPE 빌더에서 Y:로 만드는 옵션이 체크가 되어 있어서..명령어가 pecmd.ini에 추가가 된것 같습니다..

U: 드라이브를 사용하신다면..여러번..바꿀필요없어..LetterSwap.exe에서 한번에 바로 U: 드라이브로 바꾸어 주는것이..부팅시간도 줄일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PE가 부팅이 될때 이런 현상이 있구나 하고 참고만 하여 주십시요

 

 

 

1. 여기에 CDUsb.y 파일이 있습니다..이 파일이 있으면..실제..Y: 드라이브로 변경을 하여 줍니다.

a1.png

 

2. 여기에 ReMount.exe가 있어서..CDUsb.y는 작동하지 않은 파일인줄 알았습니다..

a2.png

 

3. PE로 부팅을 하였습니다..

1.png

 

4. U: 드라이브와 Y: 드라이브로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저의 경우 테스트를 위해서...CDUsb.y 파일을 다른 파티션에 둔것입니다..

  이렇게 둘다 작동을 합니다..

2.png

 

5. Y: 드라이브에 CDUsb.y 파일이 있습니다..

3.png

 

6. U: 드라이브에는 ReMount.exe 파일이 있습니다..둘다..서로 다른 파티션에 있어서 이렇게 U: Y: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ReMount.cmd파일을 없애는것은 문제가 되네요..바로가기를 만든는 cmd를 실행하게 되어 있습니다..

4.png

 

7. 드라이브 문자를 윈도우일때와 같은 순서로 정리해주는 LetterSwap.exe에 옵션에..Y: 드라이브로 지정하는것이 있습니다...CDUsb.y 파일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아래에 보시면..ReMoun.cmd파일이 다시 작동을 합니다

 

ISO안에 있는 모든 파일을 USB에 복사하신 경우  CDUsb.y와 ReMount.exe 파일이 같이 있죠...

USB가 Y:로 바뀌고 다시 U:로 바뀌었습니다...

5.png

 

8. U:와 Y:로 둘다 변경하지 못하도록 작동을 중지시켜 보았습니다..

6.png

 

9. 원래는 pe로 부팅했을때 아래와 같은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이 되었네요..

7.png

 

10. 당연해 되는것이죠..이번에는 LetterSwap.exe에 아래처럼..CDUsb.u 파일을 검색하도록 하여 보았습니다..

8.png

 

11. CDUsb.y를 CDUsb.U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9.png

 

12. ReMount.exe가 없어도 될것 같습니다...LetterSwap.exe에 어느날인가부터 이 옵션이 생겼네요..프로그램을 만드신분이..필요해서 추가를 하셨나 봅니다

10.png

 

13. CDUsb.u 등이 USB 루트에 있는것이 싫으신분도 있으시죠..다른 pe에서 CDUsb.y를 필요로 하면...이런파일들이 여러개가 생기게 되면서 USB루트가 점점 더 복잡해 질것입니다

 

그래서..z7관련파일중에 ud라는 테그(?) 파일인지..특이한 파일이 있어서..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보았습니다..PETools 폴더안에 있는 파일이죠..

11.png

 

14. U: 드라이브로 잘 변경이 되었습니다..

12.png

 

15. 마무리

어느분의 사용기에서 보고..한번 확인을 하여 보았습니다...

U: 드라이브로 만드시는 이유는 있으실것입니다. 그리고 ReMount.cmd에서 바로가기 파일을 만든는 작업을 하기는 합니다..

이런 부분들을 감안해서 조정을 하면..부팅시간을 조금이라고 줄일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선*님 작품에 특이한 현상이 있어서 따로 사용기에 정리를 하여 보았습니다 이런일도 있구나 하여 주십시요

같은 작품에 대해서 사용기를 2개를 쓰게 되었습니다..내용이 특이해서..이렇게 따로 사용기를 쓰게 된것입니다..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오늘 하루도 마무리 할 시간이 다가오네요..

고생 많으셨습니다..편안하신 저녁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98 기 타| (수정) PureBasic - Launch 버튼을 테마에 따라 다른색으로... [4] 왕초보 749 13 04-18
1097 기 타| Win11 PE를 rufus로 USB 부팅을 하여 보았습니다 [5] 왕초보 989 13 04-24
1096 기 타| 지후빠님 요청 QEMU [19] 서기다 1025 12 08-01
1095 기 타| 멋진 작품이네요..저도 특이한 PE를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16] 왕초보 2283 12 06-28
1094 기 타| 초보 windows ADK 설치 사용기 [41] 서기다 2475 12 03-25
1093 기 타| 외장하드 멀티 부팅하기-멀티 윈도 설치와 PE부팅 [28] suk 9417 12 02-11
1092 기 타| "철이"님 PE, Y_고정 [23] 옛날에 1901 12 06-11
» 기 타| 선*님 Win10XPE x86 에서 ReMount 관련입니다.. [10] 왕초보 517 12 08-08
1090 기 타| 외계인 추방 방법 [16] 집앞의_큰 2522 12 11-25
1089 기 타| [정리] Win10XPE 2018-06-02 테스트 [한글 입력 해결 방법] [7] suk 2048 12 06-02
1088 기 타| 생성기PE 우클릭 중국어 관련 [16] 집앞의_큰 732 12 02-25
1087 기 타| RS4 원키빌드후 추가한 파일 [8] 집앞의_큰 938 12 04-01
1086 기 타| 선우님 pe 부팅기 [26] skrua 677 12 08-07
1085 기 타| 토런트 파일 다운시 트래커 추가.... [10] 왕초보 2260 12 01-25
1084 기 타| 레인미터 수정방법 [13] 첨임다 1478 12 05-20
1083 기 타| 복사한 레지키로 바로가기 [12] 집앞의_큰 711 12 08-12
1082 기 타| 퐁*2Kg 화면 보호기 사용기 스샷입니다 [31] SHIELD 796 12 09-13
1081 기 타| 입니*님 WinPE mid v4.0.5 부팅기입니다. 좋은 선물 감사... [18] 왕초보 2672 12 01-09
1080 기 타| UltimateUs님의 [PE_COVID-19] 사용 후기 [13] 안정 956 12 12-27
1079 기 타| BCD-bcdedit 백업/bootice 복원 - 메뉴가 보이네요 [5] 왕초보 1103 12 12-02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