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초보용) 선*우님 PE + WinXShell(Power) 활용기입니다..

2018.04.30 11:38

왕초보 조회:611 추천:7

이미 고수님들은..수정을 하여서 사용을 하고 계실것 같습니다..

혹시..아직..수정을 하지시 못하신 초보분들만 보아 주십시요

 

 

선우님께서 바쁘신 와중에도..뜸뜸히 시간의 내어..완성하여 선물로 주신 RS4에는..좋은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습니다

많이 애용하시는 우클릭 메뉴의 해상도 변경프로그램은 WinXShell로 되어진 프로그램입니다...우클릭 메뉴에 있어서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편합니다...

WinXShell로 된것중에 무선연결 프로그램도...있지만 아직 무선연결이 되지 않아서..사용하시지 못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디자인이 아주 멋있어서..무선연결이 가능해지면..아마..인기가 많을것 같은 프로그램입니다

 

WinXShell 으로 된 마지막 녀셕이..종료,재시작 버튼입니다...해상도 변경처럼..단순하면서.이쁜 프로그램입니다만...이 프로그램이 위치한곳이

폴더 2단계를 거치고나서야 클릭할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눈에 잘 보이지도 않죠..그리고..최대의 단점이..종료, 재시작을 클릭을 하면

cmd창이 나오고나서..작동을 합니다...

프로그램 디자인은 깔끔하면서도 수려한데...cmd창이 갑자기 뛰어나와서..보기가 좀 그렇죠..그래서...이쁜데도 인기가 없는것 같습니다

 

시작 메뉴에도 종료버튼이 있고 재시작은 한단계 더 클릭을 해야 버튼이 보이죠.

그래서..작업표시줄에...WinXShell로 만들어진 Power 프로그램을 등록을 하여 보았습니다....

cmd창으로 시작되는 것도 VBS로 숨김처리를 하였습니다..또 문제가 있기는 하죠..한글화 하면서 폰트문제로.."컴퓨터 끄기"에서..

이 글자가 잘려보입니다..이것도 간격을 넓히고..위치를 조정을 했습니다..

 

방법이 간단하여서..숫자 몇개만 고치시면 되십니다..VBS도 메모장에 붙여넣기 하셔서..VBS저장만 하시면 되십니다

pe에 포함된 프로그램이 있으면..잘 활용하는것이 좋죠...안쓸것이면..과감히..삭제하는것이 더 좋고요..

 

혹시..WinXShell로 만든 종료,재시작 메뉴가 마음에 드시는분이 있으시면 활용을 하여 보시길 바랍니다

 

 

 

1. 선*우님 작품에 포함된 Power 프로그램을 실행한 모습입니다..한글화는 W&W님이 해주셨죠...감사합니다

   영어일때와 한글일때 글자 크기가 좀 달라서..끄기에서 글이 잘려 보입니다. 아마 이부분 때문에 사용을 하시지 않는것 같기도 합니다.

1.png

 

2. 수정에 필요한 위치입니다..main-modi.xml 이렇게 modi가 붙은것이 작동을 하는것입니다..

  "CloseComputer" 위치에서 width="128" 로 넓이가 좁아서 글자가 잘리는 것입니다. 그리고..이간격을 넓히면..글자나 종려버튼 위치가 조금 변경이 됩니다.. 버튼이미지 40  글자 위치 18은 수정을 해야될 위치 입니다..이 숫자를 0로 수정하셔서 테스트 해보시면 위치가 파악이 될것입니다..

2.png

 

3. 이부분이 종료 재시작 실행 부분입니다..Wpeutil.exe 가 pe에서 여러가지 일들을 합니다..이중에서..종료, 재시작 옵션도 있습니다..지난 사용기에서조금 말씀을 드렸었죠.. Wpeutil.exe가 cmd로 실행이 되는것입니다.

3.png

 

4. WinXShell 위치가 저렇게 깊숙히 있어서..사용하기가 불편합니다..시작메뉴등에 등록을 해 놓고 사용해도 되죠..저는 작업표시줄에 종료 재시작을 등록을 하고 사용하여서..작업표시줄에 등록을 할까 합니다.

4.png

 

5. 재시작.종료 버튼은 클릭하면 나오는 cmd창입니다.가상에서 켑쳐를 하였습니다...이 모습은 영 아니죠..

5.png

 

6. 폭과 위치를 수정한 모습입니다. 그리고 작업 표시줄에 등록을 하였습니다.. 자주 사용안하는 cmd랑 메모장을 뺀다는것이 cmd만 빠졌네요..

6.png

 

7. main-modi.xml에서 수정한 부분입니다..3곳에서 숫자만 바뀌시면 되십니다...간단하죠..

7.png

 

8. 실행시 cmd창이 안보이게 하기 위애서..VBS를 활용하였습니다.."parameters" 값이 없어도 항목은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 로 표시를 하였습니다. 

8.png

 

9. VBS 파일 위치는..system32 폴더여야 합니다. 여기에 있어야 인식을 하고 실행이 되네요..경로를 지장하는것은 저도 해보지를 않아서 모르겠습니다..혹시 경로 지정도 가능한가요..

9.png

 

10. 종료를 하면..cmd창이 안보입니다..이것을 켭쳐를 할수가 없네요..

10.png

 

11. 마무리

아마..고수님들은 다 아시는 내용이셨죠...

 

선*님 작품에..이런 프로그램도 포함이 되어 있고..조금 부족한 부분은..간단히 수정만 하면..활용할수가 있어서 혹시...시작 메뉴에 버튼을 클릭하시는

것이 불편(?) 하신분들을 활용을 하여 보시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아주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입니다..이제까지 보지 못했던 종료,재시작 버튼이어서 더 눈이 가는것 같습니다

 

4월의 마지막 날입니다...한달 동안 고생하셨습니다..마무리 잘되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위에서 사용된 VBS파일 내용입니다..메모장에서 다른이름으르 저장하기를 하셔서..VBS로 저장하여 주시면 되십니다

괜히 파일을 올렸다가 바이러스 검출이 되면 신고가 되어서..이렇게 소개를 합니다..양해를 부탁드립니다

 

Reboot.vbs

 

Set WshShell = CreateObject("WScript.Shell")
 WshShell.Run  "Wpeutil.exe Reboot", 0 , 0
 Set WshShell = Nothing

 

Shutdown.vbs

 

Set WshShell = CreateObject("WScript.Shell")
 WshShell.Run "Wpeutil.exe Shutdown", 0
 Set WshShell = Nothing

 

 

위의 방식으로 만든 VBS 파일 2개를 검사하여 본것입니다...바이러스 검츨이 제로입니다. 다행입니다..

 

a1.png

 

a2.pn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615 기 타| OKR9.0 를 USB로 부팅을 하여 보았습니다. [4] 왕초보 858 4 06-09
614 기 타| 중국 OKR9.0 PE 에서 한글 메뉴로 보이게 하기 입니다.. To... [7] 왕초보 989 6 06-09
613 기 타| OKR9.0 (ko-KR.xml적용) + 철*님 10PE x64에서 사용기입니다 [12] 왕초보 1068 10 06-07
612 기 타| (추가) OKR9.0 (MBR) 에서 ESP 파티션없이 백업을 하여 보... [6] 왕초보 1055 5 06-06
611 기 타| Lenovo OneKey Recovery 9.0 (MBR) 백업,복원을 하여 보았... [7] 왕초보 2415 10 06-06
610 기 타| [정리] Win10XPE 2018-06-02 테스트 [한글 입력 해결 방법] [7] suk 2046 12 06-02
609 기 타| 8pe x86 으로 인터넷 잡기 테스트 [16] suk 1305 15 05-30
608 기 타| Windows PE 뼈대 테스트 [49] suk 4442 46 05-28
607 기 타| Win10XPE_2018-05-17 원본으로 PE 만들어봤습니다 [26] suk 2651 21 05-25
606 기 타| 시스템 오류 수정 관련 [29] 집앞의_큰 1147 26 05-22
605 기 타| 요즘 인기 많은 Win10XPE 만들기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25] suk 2109 21 05-19
604 기 타| RS3 기반 iso 에 RS4 PE 부팅 테스트 해봤습니다 [15] suk 994 16 05-13
603 기 타| 러시아 RS4 x64 에 flower3님 큰파일 삭제하기를 적용하여 ... [7] 왕초보 659 7 05-12
602 기 타| 옛날에님 소개 - 러시아 RS4 x64 활용기입니다.. [18] 왕초보 985 9 05-11
601 기 타| Cmd 컬러메시지 프로그램에 Win.Tag 검색을 추가하여 보았... [7] 왕초보 605 6 05-10
600 기 타| 옛날에님 소개 - IFW 부팅용 cmdpe x64 를 활용하여 보았습... [13] 왕초보 635 6 05-10
599 기 타| (추가) CMDPE에 원격제어(AnyDesk)를 활용하여 보았습니다... [12] 왕초보 839 8 05-09
598 기 타| 이제서야 cmdpe에서 진짜 레인미터가 작동을 하네요.. [12] 왕초보 910 9 05-08
597 기 타| (추가) 옛날에님 소개 IFW 3.18 부팅 이미지 (원격이 되네... [11] 왕초보 1116 8 05-08
596 기 타| 짝퉁 레인미터에 폰트를 변경하여 보았습니다.. [17] 왕초보 688 11 05-0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