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기 타 DreamPE_x64_AIO_Lite 가상머신에 부팅하기

2018.06.30 01:03

suk 조회:2047 추천:16

질문 보고 씁니다. https://windowsforum.kr/qna/10323755

이전에 사용기에 올렸는데요. 그건 실컴의 VHD 내에 wim 풀어서 부팅하는 것입니다

 

종종 씁니다만, 가상머신의 VHD는 VHD가 아니라 vmdk 나 vdi 파일과 같이 디스크 역할을 합니다. 

실컴에서는 그냥 파티션에 wim 압축해제하는 것과 같습니다

<가상머신에서 vhd가 되려면, vhd 안에 또 vhd 만들어야 합니다. 예전에 실제로 해봤습니다. 처음 vhd는 실컴 디스크 역할을 하게 됩니다.>

 

VHD 만드는 것은 다 아시리라고 보고, 또 여기서는 중요한 것도 아니라서 넘어갑니다

VHD가 마운트된 상태로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이 방법은 윈도와 비슷하게 부팅하는 방식인데요

DreamPE_x64_AIO_Lite 만 된다고 하신 방법입니다. 다른 PE로 하시면 부팅은 되어도 사용 중에 에러가 나올 가능성이 많습니다.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2018-06-29_235744.png

 

X: 으로 사전 할당하는 것은 이 PE 역시 PE의 한계를 완전히 극복한 것은 아니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PE는 X: 을 기본 사용하게 됩니다. 윈도는 아시다시피 C: 을 사용합니다. 이거 외에도 윈도와 완전히 같지 않은 점들을 발견하게 되실 겁니다

 

<댓글에 이미 썼습니다만, 부트 드라이브 지정이 안 되시면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WinNTSetup 으로 VHD 를 부트 드라이브 지정하려고 하면....간섭이 많습니다 2018-06-30_031620.png

스샷은 기본 상태이고, 클릭하시면 체크해제가 됩니다. 그러면 간섭을 하지 않습니다

3.9.0 버전은 그냥 넘어가고, 아래 스샷처럼 설치할 때 경고만 하더군요. 설치 진행은 됩니다. 이전 버전은 아예 사용도 못 하게 합니다..

>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2018-06-30_000125.png

 

이런 에러는 가상머신용 VHD 일 때는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실컴에 연결하는 VHD를 가정하여 제작자께서 경고 메시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가상머신용 VHD는 위에서 쓴대로 일반 디스크 역할입니다. XP 부팅하는데도 문제가 전혀 없습니다.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2018-06-30_000154.png

 

부팅 파일은 만들지 않습니다. PE라서 bcdboot 명령으로는 부팅 파일을 만들 수도 없습니다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2018-06-30_000251.png

결국 X: 사전 할당 때문에 WinNTSetup 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 기본 부팅 파일은 bcdboot 로 현재 윈도를 이용하여 만듭니다 2018-06-30_000626.png

 

bcdboot 를 현재 윈도 C:을 이용하여 VHD가 마운트된 A: 에 만듭니다.

VHD가 마운트된 드라이브는 상황에 맞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C: 은 고정입니다.

 

C: VHD 드라이브라는건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VHDman 이라서 VHD로 나온 것이고...

bcdboot c:\windows /s a: /l ko-kr 중에 c:\windows 에 해당합니다. 현재 윈도에 대한 부팅 파일을 a:에 만드는 것입니다

c: 부팅 할일은 없지만, 부팅 파일을 쉽게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c: 부팅하는 것은 곧 삭제할 겁니다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 PE 부트 추가 2018-06-30_000856.png

 

PE 부팅은 VHDman 부팅 항목에서 추가했습니다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 bootice 로 편집 2018-06-30_001125.png

 

a:\boot\bcd를 열어보면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가끔 "서명 체크" 때문에 부팅 안 되는 컴퓨터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서명 체크 안함"을 해줘야 안전한데요. bootice.exe로 추가하려면 좀 귀찮습니다.

그래서 VHDman.exe 으로 부팅 추가하면 자동으로 "서명 체크 안함"으로 등록되어서 사용했습니다.

bcd 편집 방법은 위 방법 말고도 다양합니다>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 bootice 로 기본 등록된 현재 윈도 삭제 2018-06-30_001204.png

 

위에서 쓴대로 C: 윈도로 부팅하는 것은 필요없기 때문에 삭제했습니다

그외에는 딱히 수정할 것이 없습니다.

 

전문가 모드에서 a: 으로 된 것을 전부 boot 로 수정합니다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 bootice 전문가모드에서 전부 [boot]로 수정 2018-06-30_001311.png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 가상머신에 부팅 성공 2018-06-30_001722.png

 

가상머신에 VHD 연결은 버추얼박스가 편해서 이용하고 있습니다.

2번째 부팅부터는 부팅 속도가 굉장히 빠르더군요. 종료는 더 빠릅니다. 그냥 갑자기 종료 됩니다 ^^

---------------------------

2018.06.30 토요일 오전 02:17

위에 잠시 지나갔습니다만, 이 방식은 실컴 파티션에 wim 압축해제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실컴 파티션에 해봤습니다 ^^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  실컴 파티션에도 됩니다 MBR 방식 [ PE나 다른 윈도에서 작업하셔야 됩니다] 2018-06-30_014221.png

 

K: 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위에서 A: 과 같은 역할입니다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  실컴 파티션에도 됩니다 MBR 방식 [ PE나 다른 윈도에서 작업하셔야 됩니다] - 첨부된 부팅 파일을 압축해제 2018-06-30_014546.png

이제 저도 귀찮게 이런 저런 수정하지 않고, 첨부 파일 덕을 봅니다 ^^

 

PE를 윈도처럼 풀어서 부팅하기 - WinNTSetup 으로 X드라이브 사전 할당 방식 -  실컴 파티션에도 됩니다 MBR 방식 - 실컴 부팅 성공 2018-06-30_015304.jpg

가상머신에 VHD 만들어서 부팅하는 것과 차이가 없었습니다.

 

윈도8.1 기반 PE라서 스카이레이크 cpu 이기 때문에 랜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더군요. 

장치관리자에서 랜 드라이버 설치해주니까 재부팅 후에도 계속 랜 드라이버는 설치된 상태로 인터넷 사용 가능했습니다

PE라면 부팅 때 마다 연결해줘야됩니다; 아니면 랜 드라이버를 wim 에 통합하든지해야합니다. 

이런 점이 윈도 방식으로 PE를 부팅하는 장점입니다. 변경사항이 유지가 됩니다 [위 스샷 후에 랜 드라이버는 설치했습니다]

---------------------------

원문

위에 부팅 파일 만들고 수정하는 과정이 힘드신 분들은 첨부파일 사용해보세요

PE부팅-X드라이브사전할당방식-가상머신용[MBR].7z

VHD 만들기와 WinNTSetup까지는 작업하시고. 그 후에 VHD 내부에 첨부파일 압축해제 하시면 됩니다.

---------------------------

위에 추가한대로 실컴파티션을 대상으로 압축해제 하셔도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71 기 타| 어쩌다 노가다로 GRUB2 부트로더를 구성해 해봤습니다. [25] 냄현하사랑 2443 23 11-03
70 기 타| SHIELD AUTO USB 2제작/BRPE1.7사용기 [179] SHIELD 3209 64 10-30
69 기 타| 사평님 작품을 SD님 자동USB넣어 사용하기(추가) [13] skrua 1823 11 10-27
68 기 타| LINK PE를 UEFI 모드로 부팅하기 [21] suk 2069 19 10-23
67 기 타| SHI*LD 작품에 WIM및 ISO PE 설치기 [26] skrua 1286 6 10-22
66 기 타| [테스트] 실컴에 wim [PE] 부팅할 때, 디지털 서명 문제 [11] suk 1321 8 08-21
65 기 타| 솔O님 Win10PE_RS4_x64_SH_Admin_0820 구경하기 [11] suk 873 9 08-20
64 기 타| JJA-Win10_X64_PE-Ⅶ.wim 부팅 테스트 [8] suk 1227 14 08-18
63 기 타| [한글화 시도] 세르게이 PE [2018.08.02] 구경하기 [28] suk 2489 20 08-02
62 기 타| 질문게시판의 Pe_Boot.iso 테스트 [20] suk 1287 13 07-31
» 기 타| DreamPE_x64_AIO_Lite 가상머신에 부팅하기 [20] suk 2047 16 06-30
60 기 타| [정리] Win10XPE 2018-06-02 테스트 [한글 입력 해결 방법] [7] suk 2027 12 06-02
59 기 타| Win10XPE_2018-05-17 원본으로 PE 만들어봤습니다 [26] suk 2631 21 05-25
58 기 타| 요즘 인기 많은 Win10XPE 만들기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25] suk 2090 21 05-19
57 기 타| (추가) 옛날에님 소개 IFW 3.18 부팅 이미지 (원격이 되네... [11] 왕초보 1091 8 05-08
56 기 타| 사평님 8.1PE 추억 부팅.. [18] suk 1481 16 04-25
55 기 타| [PE뼈대 첨부] ju컴님의 rs4 pe 실컴에 멀티 부팅 테스트 [56] suk 4422 43 04-22
54 기 타| (추가) 대박! PE원키제작에서 PETools.wim을 마운트 해주네요 [19] 왕초보 1725 20 02-17
53 기 타| 카멜님의 RSPASC1.45, RSImageX2.54, VHDman1.84 업데이트 ... [18] 왕초보 1242 8 10-18
52 기 타| Win10PE_Chum11_peutill 에 RSPASC1.40 를 적용하여 보았습... [12] 왕초보 629 6 10-08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