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 팁

윈 도 우 윈도우7 을 재설치 없이 메인보드 교체하기 [1부]

2017.05.14 20:56

gooddew 조회:9127 추천:10

일반적으로 PC 의 주요부품 즉, 메인보드를 교체하면 윈도를 재설치 해주어야 하는 것을 권장 합니다.

 

윈도우 7을 재 설치 없이 새로운 메인 보드만 교체하면 기존 윈도우 7 은 부팅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메인 보드를 교체하기 전에 윈도우 7 로 부팅을 해서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services\msahci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services\pciide

 

start 값을 0 으로 변경한 후에 메인보드를 교체하면 간단하게 보드 교체할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존 메인 보드가 불량으로 윈도우 7 로 부팅이 안될 경우가 있습니다.

 

부팅이 안되는 상태에서 새로운 메인 보드에 기존의 윈도우 7 을 이식하는 방법을 배워 보겠습니다. 

 

 

* 준비사항

 

① 자신이 사용하는 WINPE ( PE 버전인 7, 8, 8.1, 10 가능 ) 

 

 

기본 하드 디스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WINPE 로 부팅을 합니다.

 

명령창을 열어서 REGEDIT 실행합니다.

 

01.PNG

 

 

HKEY_LOCAL_MACHINE 클릭합니다.

 

02.PNG

 

 

 

HKEY_LOCAL_MACHINE 선택된 상태에서 메뉴 ☞ 파일 ☞ 하이브로드 선택합니다. 여기서 파일을 선택하는 창이 나옵니다.

 

03.PNG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에서 C:\Windows\System32\config 경로로 이동후 SYSTEM 이라는 파일을 선택 하고 열기 버튼을 누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경로가 PE 드라이브(X:\~, Y:\~)가 아니고 부팅이 안되는 디스크의 드라이브명(C:\~)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04.PNG

 

 

임의로 키 이름을 널습니다. 여기서는 TEMP 라고 했습니다(정해진 이름은 없습니다.)

 

확인을 누릅니다.

 

05.PNG

 

 

HKEY_LOCAL_MACHINE\TEMP\ControlSet001\services\msahci 찾아가서 우측의 Start 클릭해서 값을 0 으로 변경후 확인합니다.

 

61.png

 

 

 

HKEY_LOCAL_MACHINE\TEMP\ControlSet001\services\pciide 찾아가서 우측의 Start 클릭해서 값을 0 으로 변경후 확인합니다.

 

71.png

 

만약 하드 디스크를 RAID 형식으로 사용 중이라면

 

HKEY_LOCAL_MACHINE\TEMP\ControlSet001\services\iaStorV 찾아가서 우측의 Start 클릭해서 값을 0 으로 변경후 확인합니다.

 

( RAID 가 아니면 이 단계 생략 )

 

 

레지스트리 좌측 창에서 생성한 TEMP 키를 선택을 한 상태에서 메뉴로 가서 파일 ☞ 하이브 언로드 를 선택합니다.

 

08.PNG

 

 

예 버튼을 누릅니다. 

09.PNG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이제 부팅이 안되던 윈도우 7로 부팅을 시도를 하면 정상 부팅이 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강좌 작성간 참고해주세요 gooddew - - -
429 윈 도 우| 로그인후 시작 프로그램 실행 속도 옵션 [13] 서비스 7355 10 09-06
428 윈 도 우| OS MIGRATION - Mini Tool PartitionWizard [10] gooddew 5262 10 12-26
427 윈 도 우| Windows10 th2 누적 업데이트 파일 다운로드 하기 [9] suk 6881 10 01-14
426 윈 도 우| PE 드라이버& 적용방법 [14] 집앞의큰나 6767 10 10-12
» 윈 도 우| 윈도우7 을 재설치 없이 메인보드 교체하기 [1부] [16] gooddew 9127 10 05-14
424 윈 도 우| 안지워지는 DLL 파일 삭제하기 [6] 블뤠버 4712 10 02-13
423 윈 도 우| 크기가 4GB 넘는 install.wim 파일... [8] 디폴트 7370 10 10-08
422 윈 도 우| 레드스톤 4 설치 후 Net Framework 3.5 설치 오류 해결 방법 [7] 삿갓구름 3742 10 04-03
421 윈 도 우| 윈도우 10 정식 버전에 누적 업데이트 통합 [22] 삽질구단 7057 10 05-11
420 윈 도 우| Windows cmd용 sudo 와 su [11] Neutrino 4650 10 01-20
419 윈 도 우| 갖고 있는 PE 들에 좀 까다로운 부팅미디어SW 들 추가하는 법. [4] 디폴트 2603 10 06-05
418 윈 도 우| 윈도우 11 작업표시줄 초단위 시계 표시하기 [3] KS22 3485 10 01-15
417 윈 도 우| 윈도우 10 디스크에서 바로 설치 하기 (WinToHDD) [11] gooddew 4179 10 10-28
416 윈 도 우| 파일명 변경(+확장자제거) - 수정완료 [17] 레마클로 1752 10 02-08
415 윈 도 우| 카조님 PE에 파일 넣는 방법입니다. [12] 하늘은높고 2037 10 03-04
414 윈 도 우| Windows 10 제품 키를 찾는 방법 [11] VenusGirl 11186 10 03-12
413 윈 도 우| 윈도우PE 단축키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8] PC_Clinic 950 10 01-09
412 윈 도 우| [수정] MoveOT_My설정_onoff_v6.1 [fscapture용 추가] [6] 레마클로 1479 10 05-03
411 윈 도 우| SRS8 --- install.wim [5] 밤이슬216 3279 10 05-18
410 윈 도 우| Ventoy 설정법 (예제 포함) [1] 녹색조각 2715 10 07-2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