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정보

하드웨어 '5MB에서 60TB까지' HDD 기술 로드맵 - CIO

2014.04.15 14:24

CraXicS 조회:6440 추천:1


하드디스크 용량이 12~18개월 마다 두 배로 증가하고 있다. 무어의 법칙보다도 빠른 속도다. HDD 제조사 씨게이트에 따르면 앞으로 6년 내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용량은 60TB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여기 이를 구현할 기술들을 정리한다. ciokr@idg.co.kr




01.jpg

1 5MB에서 680g 6TB

지금까지의 스토리지 기술 향상을 사실 믿기 어려운 수준으로 이뤄져 왔다. 1956 IBM은 최초의 하드디스크인 RAMAC 350을 선보였다. RAMAC 350(Random Access Method of Accounting and Control) 50개의 24인치 디스크 플래터를 보유했으며 무게는 약 1톤에 달했다. 용량은 5MB였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술이 2002년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까지 이용됐다. 단지 더 작아졌을 뿐이다.




 02.jpg

수직(perpendicular) 기록 방식의 대두

2002년 하드디스크 제조사들은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수평 기록 방식에서 수직 기록 방식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데이터를 보유하는 자기 기록 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데이터 밀집성을 높일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용량 증가를 꾀할 수 있었다.






03.jpg

SMR 기술

씨게이트는 2013 SMR(Singled Magnetic Recording) 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 기술의 원리는 지붕 위의 기와처럼 데이터 트랙을 중첩시키는 것이다. 그 결과 제곱인치당 밀집도를 1.3테라비트에서 1.4테라비트로 늘릴 수 있었다. 씨게이트는 연내 밀집도를 25%까지 올림으로써 플래터당 1.25TB를 구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04.jpg

헬륨 가스로 상승

2013년 웨스턴 디지털 자회사 HGST는 헬륨 가스를 내장한 밀폐형 드라이브 '울트라스타 He6'를 업계 최초로 출시했다. 이를 통해 내장 플래터를 5개에서 7개까지 늘리는 한편 플래터당 용량 향상도 도모할 수 있었다.

 

헬륨을 이용하면 몇몇 장점이 있다. 밀집도가 공기의 1/7에 불과하기에 내부 마찰을 줄임으로써 전력을 23% 적게 사용한다. 30% 더 조용하며 4~5도 정도 온도가 내려간다. 아울러 습도와 여타 오염 물질로부터 플래터를 보호해준다. 3.5인치 하드디스크의 경우 헬륨 가스를 이용함으로써 용량을 50%가지 늘어날 수 있었다.





05.jpg

나노 리쏘그래피와 자가 조립형 분자

HGST 랩은 지난 해 2가지 혁신적 나노기술을 결합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자가 조립형(self-assembling) 분자와 나노각인(nanoimprinting) 기술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10나노미터(100억 분의 1미터) 폭에 불과한 자기 섬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50개의 원자 크기이자 머리카락 굵기의 1/10만에 불과한 크기다. 

결과적으로 제곱인치당 1,2조 개의 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는 오늘날 디스크 드라이브 밀집도의 두 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HGST는 이러한 비트-패턴드 미디어가 10년 내에 비용 효율적인 수단으로 등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06.jpg

HAMR 시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게 제곱인치당 5테라비트(Tb)를 구현할 기술로는 HAMR(heat-assisted magnetic recording)이 있다. 씨게이트가 2006년 특허를 획득한 이 기술은 드라이브가 자성을 변화하는데, 작은 레이저를 이용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HAMR은 또한 나노튜브 기반의 윤활 기술을 이용해 읽기/쓰기 헤드가 회전하는 플래터에 더 가깝게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밀집도를 높이고 있다.

 

HAMR 기술의 주요 성과로는 또 코발트 백금 합금 대신 아이언 백금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다. 강도가 더 높기에 데이터 안정성과 밀집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 씨게이트는 HAMR 드라이브를 2015~2016년 경 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ource: https://www.ciokorea.com/t/557/%EC%8B%A0%EA%B8%B0%EC%88%A0%7C%EB%AF%B8%EB%9E%98/20599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등록일
[공지] 최신정보 이용 안내 gooddew - -
472 하드웨어| 日 수출 규제에 환율 상승 겹쳐 '조립 PC 시장' 경색 우려 [32] 루돌프가슴 5716 08-06
471 하드웨어| 삼성 메모리 반값···PC 부품 가격↓ 시장은 눈치보기 중? asklee 2324 06-27
470 하드웨어| USB-C 단자, 안전 인증 기능 기본 내장한다 [9] asklee 3596 01-12
469 하드웨어| 구멍뚫린 SSD 보안 "하드웨어 자동 암호화 취약" [4] 번개 5457 11-08
468 하드웨어| '7nm'로 64코어(128스레드) 구현한 AMD [3] 번개 4810 11-07
467 하드웨어| 용량만 큰 건 아니다. 씨게이트 14TB HDD 3종 [2] asklee 3933 09-16
466 하드웨어| AMD APU 저전력 신제품 애슬론(Athlon) 200GE 출시 [4] 번개 2717 09-07
465 하드웨어| BeForTheGame 엔비디아 카운트다운 [2] 에드힐스 1744 08-18
464 하드웨어| 인텔이 새로 출시한 SSD - D5-P4326 [6] asklee 4338 08-15
463 하드웨어| 엔비디아 지포스 RTX 티저 영상 [1] 에드힐스 1666 08-14
462 하드웨어| Intel 8세대 Coffee Lake에서 windows 7 사용가능...... [9] 유유자적 4613 08-09
461 하드웨어| [펌웨어] ipTIME 인터넷 공유기/확장기 펌웨어 10.06.4 / 1... [5] DeathWing 3103 07-18
460 하드웨어| 삼성전자, 세계 최초 ‘8Gb LPDDR5 D램’ 개발 [2] asklee 1905 07-17
459 하드웨어| 삼성, 세계 최고층 90단 돌파 '5세대 V낸드' 양산 돌입 [4] asklee 4198 07-11
458 하드웨어| 인텔 퓨전? [2] 야만 3317 07-06
457 하드웨어| [펌웨어] ipTIME NAS 펌웨어 1.3.20 - SMB2 지원 [2] asklee 3383 06-21
456 하드웨어| 인텔 CPU 취약점 발생... [14] 야만 5983 06-15
455 하드웨어| ASUS 보드 새 펌웨어 출시 [4] asklee 6133 05-28
454 하드웨어| [펌웨어] ipTIME NAS 펌웨어 V1.3.18 - KISA 보안 패치 적용 [1] asklee 2793 05-14
453 하드웨어| [펌웨어] ipTIME 유무선 공유기 79종 펌웨어 10.05.4 배포 [7] asklee 3410 04-1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