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SnapshotBR 11번째와 OnekeyBR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 04:59

suk 조회:931 추천:27

이것 저것 하느라고 파일은 2일 전에 받았는데 이제 테스트해봅니다 ^^;

 

본래 SnapshotBR 11번째 파일로 복원 테스트에 주안점이 있습니다만

기존의 OnekeyBR 20번째와 합쳐서 사용할 때 방법도 궁금해서 확인했습니다. 중복되는 파일이 현재 3개가 있습니다

 

중복 되는 파일 중에 대표적인 것은 PE가 있습니다. 나머지 2개는 최신이든 아니든 별로 중요하지는 않은 듯 합니다

별로 한 일이 없는 것 같은데요. 사진을 일괄로 올리는데 54장이나 올라가네요.

 

테스트 환경은 vmware 에 UEFI 모드로 설치된 윈도우 10 버전 2004 (OS 빌드 19041.685) 최신 업데이트 적용된 상황입니다

1개의 디스크에 C:과 E:으로 2개의 파티션으로 되어 있습니다 (ESP 파티션 포함하면 3개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24530.jpg

현재 OnekeyBR 20번째 파일이 더 오래 되었습니다.

여기에 최신 파일인 SnapshotBR 11번째를 복사했습니다. 복사 순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24617.jpg

중복되는 파일이 3개가 있습니다. 나중에 복사하는 파일이 최신인 경우는 덮어쓰기

오래된 파일인 경우는 건너뛰기를 선택하면 되겠군요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740.jpg

SnapshotBR 11번째로 백업부터 했습니다

이제 대/소문자 입력이 가능합니다. 물론 대문자는 입력이 불편해서 소문자로 많이 입력하시겠습니다만...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833.jpg

그냥 확인하는 화면입니다. 엔터!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907.jpg

SnapshotBR = 드라이브 스냅샷 백업/복원입니다

드라이브 스냅샷은 윈도우 사용중에 백업이 가능합니다.

 

물론 PE로 부팅하여 백업하는 것이 더 안정성은 좋습니다만

개인적으로 윈도우 사용중에 백업했다고 문제가 된 적은 10년이상 한번도 없었습니다.

 

윈도우 부팅 상태에서 뭔가 복잡하고 대단한 작업을 하는 경우라면 오류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저는 인터넷 서핑, 음악 듣기 등...간단한 작업만 합니다

 

작업 관리자와 윈도우 탐색기는 닫은 상태에서 백업해야 하더군요. 어떤 윈도우 백업 프로그램이더라도...

열어두고 백업하면 복원했을 때 작업 관리자 페이지 설정이 초기화됩니다. 윈도우 설치 직후 상태로 돌아갑니다

큰 문제는 아닙니다만, 다시 작업 관리자 화면들을 설정해야 하는 귀찮음이 있습니다

윈도우 탐색기도 마찬가지입니다. 보기 설정이 윈도우 설치 직후로 초기화 됩니다. 

그래서 항상 작업관리자와 윈도우 탐색기가 열려있는지 확인하고 윈도우 백업합니다. PE에서 윈도우 백업할 때는 관계없는 일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936.jpg

UEFI는 ESP 파티션도 별도로 백업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1941.jpg

녹색 화면은 항상 작업 시간 등 결과를 알려주는 화면입니다. 

달랑 1분 1초 걸렸네요 ^^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006.jpg

드라이브 스냅샷은 위와 같이 백업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032.jpg

드디어! 드라이브 스냅샷 복원을 해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02.jpg

복원 때는 공통적으로 붉은 색 화면이 나타납니다. 확인하고 엔터!

이후는 문제가 없으면 다시 윈도우로 복귀할 때까지 전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11.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16.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21.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26.jpg

재부팅도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145.jpg

PE 부팅도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201.jpg

PE 부팅 후에는 잠시 아무 것도 뜨지 않습니다. 좀 기다려야 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245.jpg

자동으로 복원 화면이 뜹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317.jpg

윈도우부터 복원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321.jpg

UEFI 인 경우는 ESP 파티션도 자동으로 복원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326.jpg

녹색은 결과 창입니다. 1분 10초로 백업보다는 조금 길군요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351.jpg

다시 윈도우로 부팅하는 것도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444.jpg

이제 파일들을 통합한 OnekeyBR 20번째도 다시 테스트해봤습니다.

PE가 달라졌기 때문에 다른 결과가 발생할 지? 백업부터 했습니다. 아직 20번째 파일은 소문자만 입력해야 합니다

또한 기존 wim 백업 파일이 있어도 삭제된다는 안내 메시지는 아직 없습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455.jpg

확인하고 엔터!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02.jpg

이후는 역시 다시 윈도우로 부팅할 때까지 전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06.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14.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19.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532.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604.jpg

자동으로 진행되는 화면들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2857.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143.jpg

OnekeyBR 20번째는 아직 ESP 파티션 백업 할 지?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립니다

이 부분 때문에 UEFI의 경우는 아직 전 자동은 아니군요.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150.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156.jpg

5분 55초 걸렸네요

원래 드라이브 스냅샷보다는 더 오래 걸립니다만(2배 정도) ESP 파티션 선택을 기다리는줄 모르고 다른 일을 해서 시간은 더 걸린 듯 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10.jpg

이제 OnekeyBR 20번째로 복원을 해봤습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17.jpg

복원할 때는 공통적으로 붉은색 창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25.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29.jpg

마찬가지로 다시 윈도우로 부팅할 때까지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39.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43.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354.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411.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424.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604.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658.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707.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712.jpg

OnekeyBR 20번째도 복원은 ESP 파티션까지 자동입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3716.jpg

2분 50초 걸렸네요. 역시 전 자동으로 진행해도 스냅샷보다는 2배 이상 느립니다

속도는 컴퓨터마다 다를 수도 있을 겁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4348.jpg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4454.jpg

백업 파일 크기는 wim 파일이 조금 더 적습니다

SnapshotBR 11번째 (더 최신)와 OnekeyBR (DISM.exe) 20번째 통합 테스트 2020-12-12_034536.jpg

윈도우 사용량은 13.1GB 입니다

큰나무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대소문자 관계없이 적용하는 것은 사소한 팁이었습니다

cmd 파일을 보면 제가 해석할 수 있는 수준을 넘으셨기 때문에 저는 조언 드릴 것이 없습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2062 소프트웨어| WORLD`S BEST Enterprise PE 4.0 - (A)(N)WIM [32] 사랑과평화 9342 27 08-20
2061 소프트웨어| 실컴에 VHD와 VHDX 부팅 등록하기 - 우클릭 레지스트리 [23] suk 1964 27 08-07
2060 소프트웨어| [추가] ABT 4.5.1 부팅 디스크 한글화 [19] suk 2189 27 08-25
2059 소프트웨어| 중국 win10pe 한글화 연습2(종료) [40] sunshine 1523 27 01-16
2058 소프트웨어| uTorrent 2.2.1 지원 파일 [8] &카리스 1451 27 01-07
2057 소프트웨어| 실컴에서 Ventoy로 윈도우를 기본 부팅으로 하기 [23] suk 2054 27 09-24
2056 소프트웨어| Ventoy 외주로 돌리기 (외부 파일에 설정하기) [26] suk 1649 27 09-25
2055 소프트웨어| 8086 OS 주문이 들어와서 여기 올립니다. [30] 메인보드 2083 27 10-28
» 소프트웨어| SnapshotBR 11번째와 OnekeyBR 20번째 통합 테스트 [32] suk 931 27 12-12
2053 소프트웨어| [cmd추가] CMPa_Decryptor24 - 보내기 메뉴와 CMD [8] 지후빠 440 27 06-13
2052 소프트웨어| Ventoy & Grub4dos 다음버전 예고편 [37] 메인보드 1000 27 05-19
2051 소프트웨어| Ventoy & Grub4dos 에서... 년월일시간표시 [22] 메인보드 839 27 05-27
2050 소프트웨어| WinNTSetup 5.2.1 단일포터블 [14] 내꼬 964 27 03-02
2049 소프트웨어| 한글 파일명 자소 분리 수정 프로그램[링크추가] [30] 내꼬 1230 27 04-13
2048 소프트웨어| RSImageX2.85 (RSImageX2.84) 나왔네요 [12] suk 2434 27 05-10
2047 소프트웨어| ISO,WIM,ESD to WIM Export (feat. Explore, ImDisk, Mount... [24] 지후빠 1261 27 12-21
2046 소프트웨어| [종료]PE용 팟플 + FRC 업데이트 [15] DengJang 1020 27 08-15
2045 소프트웨어| R-DriveImage 복구 및 OS 마이그레이션용 단일포터블 [27] 내꼬 941 27 10-11
2044 소프트웨어| [종료]노트패드2 단일파일(0828) [11] DengJang 465 27 08-28
2043 소프트웨어| 【폭파】 bat 2 exe converter 재수정 [11] 세이퍼컴 522 27 08-30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