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wim <-> esd 변환 (RSImageX 테스트)

2020.09.20 21:48

suk 조회:2112 추천:17

질문에 올라와서 간단하게 글로만 답변을 달았는데요.

 

윈도우 10 에서는 내장 dism.exe에서 wim -> esd 변환을 기본 지원해줍니다. 

그리고 dism.exe를 사용하는 RSImageX도 변환을 지원해줍니다. 압축에 Recovery 옵션이 esd 형식입니다

 

스샷 포함하여 wim -> esd 변환한 것을 다시 wim으로 변환하여 부팅 테스트도 해봤습니다

보통 윈도우 wim으로 사용하십니다만, 시간 관계상 용량이 적은 boot.wim으로 했습니다. 

 

wim보다 esd가 고압축입니다. 그래서 wim -> esd 변환 때 시간이 상당히 소비됩니다.

boot.wim을 boot.esd로 변환하는데도 좀 오래 걸렸습니다; 반대로 esd -> wim은 비교적 빠른 편입니다.

 

참고로 boot.esd는 부팅 안 됩니다. wim 파일만 부팅 됩니다. 여기서는 단순히 압축 테스트입니다.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1409.jpg

윈도 ISO의 sources 폴더에 있는 윈도우 설치할 때 부팅하는 boot.wim의 2번 이미지를 esd로 내보내기를 했습니다

압축에서 Recovery가 esd 형식입니다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1624.jpg

500MB도 안 되는 파일인데도 생각보다 오래 걸리더군요;;

게다가 압축할 때는 cpu 사용률도 100% 찍어서 컴퓨터가 좀 버벅거립니다.

오랫동안 작업하실 분들은 작업관리자에서 우선 순위를 낮춰주시면 버벅거림이 사라질 겁니다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1704.jpg

7-Zip으로 파일을 열어보면 압축 형식을 알 수 있습니다.

LZMS가 esd 압축형식이고, LZX가 wim 압축 형식입니다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2108.jpg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2508.jpg

esd로 변환했던 것을 다시 wim으로 변환했습니다. 덩개 훈련같습니다 ㅎㅎ

Maximum과 Fast는 wim 형식입니다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2605.jpg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2702.jpg

LZX로 다시 wim 형식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boot.wim -> boot.esd -> boot.wim으로 갈굼 당한 파일을 부팅 테스트해봤습니다.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2846.jpg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2855.jpg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2907.jpg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3028.jpg

 

wim과 esd 변환은 dism.exe을 사용하는 RSImageX 사용하시면 편합니다 2020-09-20_213118.jpg

sources 폴더에 install.wim이 있어서 이미지 선택 화면까지 나오네요.

9월 통합본으로 아직 갈지 않았네요. 때 마다 파일 교체하는 것도 일이군요;

 

cmd 명령 (dism.exe) 입니다.

cmd 명령의 장점은 위에서 말한 wim -> esd 압축 때 장시간 cpu 100%로 버벅이는 현상을 start /low /b /wait 으로 예방하기 쉽습니다

 

wim -> esd 변환

start /low /b /wait DISM.exe /Export-Image /SourceImageFile:install.wim /SourceIndex:1 /DestinationImageFile:install.esd /Compress:recovery

 

esd -> wim 변환

start /low /b /wait DISM.exe /Export-Image /SourceImageFile:install.esd /SourceIndex:1 /DestinationImageFile:install.wim /Compress:max

 

wim과 esd 파일 경로, 이미지 번호는 수정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7에 내장된 dism.exe은 기능이 적어서 안 됩니다. 자료실에 윈도우 10 dism.exe을 다운로드 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

다음은 배치 파일(cmd)의 힘입니다.

install.wim이나 instsll.esd의 모든 이미지를 차례로 전부 내보내기 합니다. wim 이나 esd 파일 경로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앞에 2개 파일 경로는 같아야 합니다. 2줄처럼 보이는데 1줄 명령입니다

 

wim -> esd

@for /f "tokens=3" %a in ('"DISM /English /Get-WimInfo /WimFile:M:\sources\install.wim | find /i "Index : ""') do start /low /b /wait dism /export-image /sourceimagefile:M:\sources\install.wim /Sourceindex:%a /destinationimagefile:q:\install.esd /compress:recovery

 

esd -> wim

@for /f "tokens=3" %a in ('"DISM /English /Get-WimInfo /WimFile:H:\sources\install.esd | find /i "Index : ""') do start /low /b /wait Dism /Export-Image /SourceImageFile:H:\sources\install.esd /SourceIndex:%a /DestinationImageFile:Q:\install.wim /Compress:max

 

역시 시간 관계상 install.wim이 아닌 boot.wim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wim -> esd 전부 내보내기 시범 cmd 명령 창입니다. bat 파일은 아닙니다.

wim과 esd 변환을 배치 파일 구문으로 전부 내보내기 가능합니다 2020-09-21_075407.jpg

위에 boot.wim은 2번 이미지까지 있어서 2번 실행되었습니다만, 이미지 번호만큼 끝까지 반복 실행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423 소프트웨어| 유튜브 음원추출 그 외 유튜브 동영상 다운도 가능 [17] 디부 2112 9 04-09
» 소프트웨어| wim <-> esd 변환 (RSImageX 테스트) [14] suk 2112 17 09-20
1421 소프트웨어| 포토삽6는 최고의 명작입니다. [17] 내꼬 2113 21 10-22
1420 소프트웨어| Ventoy 1.0.29 부터 한글과 띄어쓰기도 지원하네요 [17] suk 2118 22 11-20
1419 소프트웨어| OnekeyBR (원키 백업/복원) 맛보기 [40] suk 2120 36 12-08
1418 소프트웨어| 백업복구프로그램 주의사항 macrium reflect [7] [벗님] 2121 2 05-09
1417 소프트웨어| 익스플로러 11에서 10으로 다운그레이드 하는 이유(본인의 ... [6] 루나헌터 2121 0 03-21
1416 소프트웨어| [히이이잌님]의 OneClick 사용기(내용 추가) [121] 집앞의_큰 2121 86 01-12
1415 소프트웨어| jucom님_PE_무등산_편집_10x64_(2017.2.5일) 설치 후기입니다 [56] 이어도 2122 3 02-05
1414 소프트웨어| 스냅샷 v2 수정판입니다.^^ [33] 오늘을사는 2124 21 03-11
1413 소프트웨어| 초보자도 Grub4dos 쉽게 설치하기 [23] sunshine 2124 14 12-27
1412 소프트웨어| 윈클론 [14] 디폴트 2127 9 06-27
1411 소프트웨어| M_R 4711 (한) 테스트 [68] 집앞의_큰 2137 68 02-13
1410 소프트웨어| Videoproc 사용기 [14] 나노오백 2141 9 06-18
1409 소프트웨어| VHDman.exe 으로 UEFI 윈도 설치하기 [22] suk 2142 18 12-17
1408 소프트웨어| Acronis True Image.2019 v23.5.1.17750-PE [9] elios 2144 9 04-20
1407 소프트웨어| 시피유 기능에 대해 [2] 은나무천공 2149 1 01-19
1406 소프트웨어| DREAM WTG End Game Patch 1.0 [30] %카리스마 2150 17 03-02
1405 소프트웨어| ventoy 1.0.22 업뎃버전 cfg 한글적용 [18] 메인보드 2151 28 09-28
1404 소프트웨어| 수동 iso 만들기 - uefi모드 동영상입니다 [20] suk 2152 11 04-1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