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 사용기

소프트웨어 WinNTSetup.exe 설치 방식에 따른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 12:09

suk 조회:1785 추천:18

WinNTSetup.exe 의 다양한 설치 방식에 따른 설치 용량이 궁금해서 방금 테스트 설치해봤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OS : Windows 10 버전 1709 엔터프라이즈 32비트 MSDN

테스트에 사용된 디스크 : 고정 VHD

 

빠른 테스트를 위하여 32비트 순정 MSDN을 선택했습니다. 버전은 그냥 걸리는대로 선택된 것입니다

동적 VHD는 용량이 정확하게 나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고정 VHD를 사용했습니다. WinNTSetup.exe는 고정 VHD도 즉시 만드는 옵션이 있습니다

 

1. 일반 설치 입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0620.png

 

wimboot는 원래 기본값이라서 저렇게 되어 있습니다. 왼쪽에 체크 되어야만 해당 옵션이 활성됩니다.

그래서 지금은 일반 설치 방식입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0649.png

 

설치 완료했습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0711.png

 

1. 일반 설치 결과는 5.40 GB이네요. 윈도 부팅 하기 전에 순수한 윈도 용량입니다.

 

윈도 설치 과정을 거치면 가상메모리와 최대절전 파일이 생기고, 이것은 컴퓨터에 램 용량에 따라서 크기가 달라집니다

윈도 설치 사용량도 컴퓨터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그래서 위에 순수 윈도 용량만 체크하는 것이 변수를 제외해서 더 정확할 겁니다.

 

2. Compact: LZX 를 해봤습니다. 제가 알기로 LZX는 wim 압축 형식으로 알고 있는데요. 덜덜 합니다. 처음 해봅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0733.png

포맷부터 잊지 않고 해야 합니다 ^^ 

 

WinNTSetup.exe 에 자체적으로 포맷하는 F 작은 문자가 있는데요. 가끔 보면 다른 툴 사용하셔서 포맷하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F문자가 작아서 저도 옛날에는 몰랐습니다. 그외에도 WinNTSetup.exe 은 찾기 힘든 숨은 옵션들이 조금 있습니다.

F문자는 스샷에 보시면 부팅 드라이브 오른쪽에도 있고, 설치 드라이브 오른쪽에도 있습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056.png

 

설치 중입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205.png

 

설치 완료.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222.png

 

2. Compact: LZX 결과는 2.89GB 이네요. 꽤 많이 줄어드네요. 사실 compact 중에서는 가장 적은 사용량입니다

위에 설치완료 스샷에 C: 사용량은 설치 중간 사용량입니다. C: 속성을 새로 고침해야만 C: 사용량이 갱신됩니다.

 

3. Compact: XPRESS16K 테스트입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327.png

포맷을 했을텐데요. 스샷은 하지 않았군요. 위 스샷은 설치중 입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415.png

설치완료입니다. C: 사용량은 아직 갱신이 안 됐습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431.png

 

3. Compact: XPRESS16K 테스트 결과는 3.25GB 입니다. 조금씩 늘어나네요

 

4. Compact: XPRESS8K 테스트 입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456.png

이번에는 포맷 스샷을 잊지 않았네요 ^^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530.png

설치 중입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646.png

4. Compact: XPRESS8K 테스트 결과는 3.34GB 입니다. 약간 늘어났네요

8K부터는 설치 완료 되면 C: 속성을 클릭하여 C: 사용량이 바로 갱신되도록 하여 스샷했습니다. 진작할 걸 그랬네요 ^^;

 

5. Compact: XPRESS4K 테스트 입니다. 압축 방식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듯 합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811.png

5. Compact: XPRESS4K 테스트 결과입니다. 3.43GB 입니다. 또 조금 늘어났네요

이제 그냥 결과만 알려드립니다;

 

6. Compact: NONE 테스트입니다. 압축하지 않으면 그냥 일반 설치랑 같은데요. 뭔가 싶어서 해봤습니다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1933.png

6. Compact: NONE 테스트 결과는 5.40GB로 역시 일반 설치와 같습니다.

왜 있는지 모르겠네요; 혹시 다른 점이 있을까요?

 

7. Wimboot 테스트입니다.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WinNTSetup.exe 의 설치 방식에 따른 윈도 설치 용량 차이 2018-09-04_112029.png

 

7. Wimboot 테스트 결과는 234MB 입니다 ^^ 비교 불가입니다.

 

물론 윈도 설치 후에 드라이버 설치하고 프로그램들 설치하면 많이 늘어납니다.

이때는 다시 wimboot 옵션으로 wim으로 캡처하여 C: 파티션 삭제후에 [포맷만으로는 안 됩니다]

다시 wimboot로 설치하게 되면 용량이 대폭 줄어듭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처음 윈도 설치 때는 일반 설치로 사용하다가 모든 윈도 셋팅을 완료한 후에 wimboot 옵션으로 캡처하여 wimboot로 설치합니다

처음 설치할 때는 파티션 삭제하지 않아도 됩니다. wimboot 로 사용중이던 것을 다시 wimboot 하려면 파티션 삭제해야 기존에 연결된 wim 파일과의

연결 고리를 끊기 위하여 파티션 삭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저는 현재 2달 이상 wimboot로 윈도10 64비트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가상메모리 제외하면 6GB 사용량입니다.

현재 WimBoot로 2달 이상 사용중인데 사용량이 6GB 미만입니다 2018-09-04_121038.png

현재 WimBoot로 2달 이상 사용중인데 사용량이 6GB 미만입니다 2018-09-04_121154.png

 

* wimboot 는 윈도8.1 중에서도 with update 타이틀을 가진 MSDN 파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윈도10 포함하여..

* 위에 테스트한 compact 는 윈도10 만 가능합니다. 윈도7은 둘다 지원되지 않습니다. 편법은 있는지 모릅니다만..저는 편법은 잘 모릅니다

 

* wimboot는 초점에 따라서는 실망하실 수도 있습니다. wimboot는 C:만으로는 작동하지 않고, wim 파일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래서 wim 파일 용량까지 포함하면 사용량이 그렇게 적다고 할 수 없습니다만 저는 wim 파일 용량은 관계없습니다.

  오로지 C: 사용량이 적어서 백업/복구를 빨리 할 수 있다는데 의미를 둡니다.

-------------------------

2018.09.05 수요일 오후 02:24

테스트 결과를 알기 쉽게 간단히 요약해봅니다

1. 일반 설치 결과는 5.40 GB

2. Compact: LZX 결과는 2.89GB

3. Compact: XPRESS16K 결과는 3.25GB

4. Compact: XPRESS8K 결과는 3.34GB

5. Compact: XPRESS4K 결과는 3.43GB

6. Compact: NONE 결과는 5.40GB

7. Wimboot 결과는 234MB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등록일
[공지] 사용기/설치기 이용안내 gooddew - - -
1028 소프트웨어| 실컴에 VHD와 VHDX 부팅 등록하기 - 우클릭 레지스트리 [23] suk 1910 27 08-07
1027 소프트웨어| 윈도우10 + Grub2 테스트 [13] 집앞의_큰 1155 18 08-16
1026 소프트웨어| 도광양회님_Tweaker 정식버전 [18] 첨임다 1596 15 08-16
1025 소프트웨어| (수정3.1버전업)도광양회님_DWS 3.0 배포 중... [29] 첨임다 2219 23 08-16
1024 소프트웨어| Bob.Ombs.Win10PEx64.v3.9 boot.wim 한글화 시도 [11] suk 1727 14 08-18
1023 소프트웨어| Bob.Ombs.Win10PEx64.v3.9 한글화사용기 [17] 복태취업했 1151 9 08-18
1022 소프트웨어| REFIND 실패 사용기 [6] 집앞의_큰 538 8 08-22
1021 소프트웨어| Acronis True Image for PE 2019 백업 복구 테스트 [16] suk 2261 13 08-23
1020 소프트웨어| ABT plus 응급 부팅 Disc 만들기 테스트 ... v4.5.1 [9] 김영자 832 7 08-25
1019 소프트웨어| [추가] ABT 4.5.1 부팅 디스크 한글화 [19] suk 2174 27 08-25
1018 소프트웨어| AMPE 32 비트용 사용해 보기 [22] sunshine 1089 14 08-27
1017 소프트웨어| AMPE 32 비트에 런처 추가하기 [최종 수정] [52] sunshine 2061 40 08-30
1016 소프트웨어| OKR-닫기 [14] 집앞의_큰 1126 10 08-31
1015 소프트웨어| (수정) Launcher로 핫키 등록이 저는 잘 안되네요... [25] 왕초보 769 6 08-31
1014 소프트웨어| (감사합니다)sun*님의 - BRPE_Flower3fix.iso의 간단 사용... [19] 김영자 1203 8 09-01
1013 소프트웨어| BRPE 최종본 보완(한글 입력문제) [117] sunshine 3197 64 09-03
» 소프트웨어| WinNTSetup.exe 설치 방식에 따른 설치 용량 차이 [23] suk 1785 18 09-04
1011 소프트웨어| BRPE 에 약간의 유틸을 추가했습니다. [87] sunshine 2545 63 09-05
1010 소프트웨어| S3. 번역기 - Firefox+Google Chrome용 부가 기능: 한국어 ... [4] VenusGirl 2062 10 09-09
1009 소프트웨어| UHD 해상도 배율에 따른 트레이아이콘 버그 [1] 천사와의데 699 0 09-17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