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 샷

제목 : 종료)19H2_2002P,스크립트 5.41

히이이잌

새 버전이 있습니다.

https://windowsforum.kr/gallery/12910090

 

 

 

 

 

 

이번에도 여러 회원분들이 쪽지 등으로 피드백을 주셔서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집**_*나무님께서 네트워크 공유 기능 구현에 대해 질문드렸더니 뼈대를 공유해주셨습니다.

뼈대 제공 및 배포를 허락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9H1에서 19H2로 변경되었습니다.

 

윈포 외에도 출처를 밝히지 않는 조건으로 무단 배포, 개작 및 재배포 허용합니다.

그냥 길가다 주웠다고 하세요. 

안에 들어있는 배치파일 또한 자유롭게 다른곳에 활용하셔도 됩니다.

몇몇 EXE로 컴파일된 배치파일의 경우 실행한 뒤에 %TEMP% 경로에 들어가거나,

BAT TO EXE converter의 EXE TO BAT 기능을 사용하면 디컴파일 가능합니다.

 

이 PE를 처음 접하시는분들은 지난 게시글들을 먼저 읽어주세요.

1)

https://windowsforum.kr/gallery/12823935

2)

https://windowsforum.kr/gallery/12839341

3)

https://windowsforum.kr/gallery/12850373

 

 

아래 각각의 링크는 다 같은 파일입니다. 하나만 받아도 됩니다.

각 사이트별로 일정 횟수 이상 다운로드를 시도하면 제한이 걸리는것 때문에 나눠서 올리는것이니,

어짜피 여러번 받을 필요도 없지만 한번씩만 받아주세요.

 


이름: 19H2_2002P.iso

크기: 1281556480 바이트 (1222 MiB)

CRC32: 77367368

CRC64: C9A0E12FF34D4C13

SHA256: 2C786BFA93156738E5453D6BD4D5BB63812E87DFC6FD4EB3DAB5C416B521278A

SHA1: BB78D05B442AD1A7DA84D1C162037C1BAFF6A9D1

BLAKE2sp: D95EBCB73F213BBB4F7E65230A28E739711F2F74FD5413BEBE6581EED669B173


이름: 
크기: 9286505 바이트 (9068 KiB)
CRC32: 30EFD3CD
CRC64: 5664F75231E716BD
SHA256: 9A555B5135A2BC1D28272F9C616B45D9554D881557E85589B34376C9D9710710
SHA1: AFC31A0B45BC63CC30CA19D942612DCB77B7FDBA
BLAKE2sp: 876272E2DB9331EB25BB17B4DF75BBEDD2E235D361F58E7DB5DB7DD65C199310

PC의 고정식 디스크에 설치하여 복구솔루션처럼 활용하려는 경우

  를 받아 압축을 해제한뒤

ISO 폴더 안에 PE를 넣고 설치 시작.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세요.

(https://windowsforum.kr/gallery/12796601 먼저 읽어보시고 사용하세요)

 

USB에 넣고 사용할 경우

rufus-3.8p.exe 를 받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뒤

556.png

(1) USB 드라이브를 선택

(2) ISO 파일 선택

(3) 볼륨명 (내PC에서 표시될 USB 이름)

(4) ALT+E를 눌러 BIOS/UEFI 공용 모드 활성화

(5) 시작

순서로 누르시면 끝입니다.

만들때 USB는 포맷되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주의하세요.


주요 변경사항

 
(PE)
네트워크 검색 기능 추가 - 집**_*나무님이 많은 도움을 주셨습니다.

2.jpg

탐색기 좌측에 네트워크 항목을 눌러서 같은 네트워크상의 PC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3.jpg

 

계정명과 암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사용하는 PC의 경우 이메일을 적으셔야합니다.)를 적고,

키보드 방향키로 확인을 눌러주시면 연결이 가능합니다.

 

100, 125, 150, 200 배율에 맞는 dok(desktopOK 바탕화면 아이콘 위치 저장 파일) 추가

autorun.cmd의 최상단부분에서 레지스트리를 읽은 후 알맞은 dok파일을 적용합니다.
DPI가 수정된경우 CONFIG.INI의 설정값과는 무관하게 Autodisplay.exe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몇몇 테스트 프로그램 추가

4.jpg

부하 테스트는 Linx 0.6.4 (AVX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는 버전) 입니다.

CPU의 성능을 테스트하거나 오버클럭 안정화 용도로는 부적합하며,

쿨러가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만 사용하시는걸 권장합니다.

(부하상태에서의 CPU 온도 확인용)

 

그 외 autorun.cmd 최적화, 바탕화면 아이콘 크기를 조금 키우고 탐색기를 조금 더 정돈하는 등 세세한 수정.

 

_PE_CONFIG.ini의 ② FireFox.7z 사전 압축 해제 항목에서 '1'을 설정하더라도

FireFox가 미리 압축해제되지 않는 현상을 수정합니다.

 

madplay.exe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startup.mp3가 재생되지 않는 현상을 수정합니다. (부팅 완료시 소리)

mpg123.exe로 대체되었습니다.

firefox,부팅소리 버그수정패치.zip

필요하신분만 받아서 패치해주세요.


압축파일의 내용을 아무 폴더에나 모두 압축해제한 후,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10PE.wim 파일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스크립트)
PE DPI 수정 기능 추가
설치 마무리 단계에서 PE DPI 조절 스크립트가 실행됩니다.
현재 실행중인 운영체제의 레지스트리(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ThemeManager, LastLoadedDPI값)
를 읽어서 동일한 배율이 PE에 적용되도록 레지스트리를 수정합니다.

5.jpg

위 설정을 PE로 옮기는것이며, 지원하는 배율은 100, 125, 150, 200 4가지만 지원합니다.

위 4가지를 벗어나는 경우 100%로 적용됩니다.
 
1.jpg

 

세부 설정은 setup\custom\ini파일을 참고하세요.
동작 원리는 https://windowsforum.kr/lecture/12828146을 참고하세요.
 
WIFI 프로필 내보내기 단계에서 멈추는 현상 수정
자동 스케줄러가 등록되는 문제 수정 (준수아빠님께서 제보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5.3x 스크립트를 사용하셨던분들 중 스케줄러가 등록되어 vbs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신 다음, 

SCHTASKS /delete /TN "Windows PE 자동 업데이트" /F

를 입력하시면 등록된 스케줄러를 삭제하실 수 있습니다.

 

지정된 레이블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 수정

 
 

댓글 [57]

cxnfly

2020.02.21
01:16:22

매번 좋은 자료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cungice

2020.02.21
01:17:34

노고가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Ruzdy

2020.02.21
02:08:39
감사합니다.

은하별

2020.02.21
03:25:23

좋은 작품 아낌없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FS

2020.02.21
07:44:26

수고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무쏘뿔

2020.02.21
07:50:12

수고하셨습니다.^^

CrazyHoONi

2020.02.21
08:00:26
고생많으셨습니다.

별의아이

2020.02.21
08:10:51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팔마

2020.02.21
08:21:48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만고1

2020.02.21
08:25:38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수퍼아저씨

2020.02.21
08:31:57
정말 유용한 자료 감사합니다^^

간장종지6465

2020.02.21
08:33:29

하이이잌님 소중한 자료 공개도 모자라 이렇게 

부족한 부분을 채워서 나눔해 주시니 뭐라 감사를 드려야 할지....

Compuser

2020.02.21
08:53:00

늘 감사합니다. 히이이잌님^^

유용한 도움과 가르침 더딘 동작이지만 한 걸음씩 내딛으며 따라갑니다.

준수아빠

2020.02.21
08:56:08

정말 감사합니다.

초보인 저에겐 너무나도 소중한 자료입니다.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왕초보

2020.02.21
09:43:38

업데이트 버전 감사합니다...

좋은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호구

2020.02.21
10:12:29
감사합니다. 코로나도 조심하시고요.

obs

2020.02.21
10:20:37

수고하셨습니다.

그냥

2020.02.21
12:12:02

잘 사용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ontaC

2020.02.21
12:35:43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드리고 갑니다.

enssomy

2020.02.21
14:09:59

항상 감사드립니다~~

toosan

2020.02.21
15:04:37

감사합니다. /**

폰타나

2020.02.21
17:05:09

항상 감사드립니다.

놀랐네

2020.02.21
18:13:34

감사합니다

이전버전 실행해봤는데 바탕면에서 마우스끌기가 안되던데 정상인지요?

그리고 usb.tag파일은 꼭필요한가요?

여러pe를 사용하고usb폴더를간결하게 하고싶어서boot폴더는 지우고

wim파일을 bcd에등록했거든요

히이이잌

2020.02.21
18:22:16

Desklock이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서 바탕화면의 아이콘 이동을 막아서 그렇습니다.

트레이에서 모든 아이콘 표시를 누른다음 해당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끌 수 있습니다.

 

WIM파일 내부 위치는 Program files\desktopOK\desklock.exe이며,

실행은 같은 폴더 dok.cmd 밑에서 3번째줄에서 실행됩니다.

 

usb.tag파일은 이 게시글에 같이 있는 설치 스크립트를 사용할때 usb.tag파일을 지우고 난 다음에 설치됩니다.

두 PE가 동시에 PC에 존재하는 경우 어느 드라이브가 USB인지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USB로 부팅했는데 설정파일이나 드라이버파일을 PC에 설치된 PE의 드라이브것을 사용하는걸 막기 위함)

 

즉 둘중에 하나만 사용하는경우에는 usb.tag는 없어도 됩니다만,

_PE_CONFIG폴더와 _PE_DRIVER 폴더에서 설정과 드라이버, 파이어폭스 등의 외부 파일을 불러오기때문에

이 두 폴더는 없으면 정상작동하지 않습니다.

놀랐네

2020.02.21
20:04:33

딱원하는 답변이네요

정말감사합니다

꿈속이라도

2020.02.21
19:10:30

정보 자료 공유 감사드립니다 ....^^

집앞의_큰나무

2020.02.21
19:59:09

항상 유용한 스크립트를 접할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두힘

2020.02.21
20:03:26

자료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올려주신 pe의 최신버전인가요?

이전 pe말고 이것만 받으면 되는건가요?

히이이잌

2020.02.21
20:08:06
네 맞습니다

빠송

2020.02.21
20:54:18

너무 감사합니다. 

잘 사용 하겠습니다.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마라톤2

2020.02.21
21:38:00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_^

akurah

2020.02.21
23:03:54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애기얌

2020.02.21
23:57:58

감사합니다.

잘 사용하겠습니다~^^

하얀부엉이77

2020.02.22
06:20:27

수고하셨습니다

칡꽃

2020.02.22
06:37:10

늘 고맙습니다~!

연두소리

2020.02.22
09:14:19

엄청난 노력이 들어간

PE를 사용기회 주셔서 고맙습니다.

놀랐네님이 쓴 댓글 답글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설정 파일을 사용하지 않으면

사용하기가 쉽지 않은데

스크립트를 없어도 되는 프로그램들만도

사용가능하도록 짜주시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히이이잌

2020.02.22
09:42:35

19H1_2002P_.zip

외부 폴더 없이 사용을 원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수정해서 사용하세요.

나름대로 핵심 기능이라 생각했던 부분이 빠지는거라 별로 권장하고 싶진 않습니다.

11.jpg

압축파일을 해제한 후 , add_files\windows\system32\autorun.cmd를 원하는대로 수정한 후 수정 스크립트를 동작시키세요.

PE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add_files\program files\firefox 경로에 미리 _PE_DRIVER 폴더 안에 있는 FireFox.7z의 내용을

풀어놓은 다음에 스크립트를 동작시켜야 WIM파일 안에 포함되게 됩니다.

 

추가 드라이버 설치와 관련된 기능, 디스플레이 프로필 불러오기 기능과 같이 부팅된 이후에 외부 파일이 필요한 기능들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첨부 :
19H1_2002P_.zip [File Size:4.06MB/Download29]
11.jpg [File Size:153.6KB/Download3]

연두소리

2020.02.22
17:47:31

아이구..이렇게 개인적인 요청까지

배려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호정파파

2020.02.22
09:27:21

수고 많으셨습니다.

double07

2020.02.22
13:22:01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사용해본 PE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거의 갖추면서 또한 가볍기도 하여 PE 목적에 딱 맞는 가장 훌륭한 PE라고 생각합니다. 제작자의 땀과 정성이 담긴 멋진 작품을 조건없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네기

2020.02.22
17:48:25

수고하셨습니다

시작시 시작음 startup 나오게 할려면 어디를  변경해야 하나요

도움좀 주세요.

히이이잌

2020.02.22
18:10:35
패치파일에 같이 첨부했습니다. 제보 감사드립니다

카네기

2020.02.22
18:27:11

감사합니다

패치파일 실행하고 재부팅하니 시작음 잘나옵니다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쾌남아담덕

2020.02.22
18:39:57

감사합니다.

수고많으셨어요~ 잘 사용하겠습니다.

두힘

2020.02.22
19:21:47

rufus로 ALT+E를 눌러 BIOS/UEFI 공용 모드 활성화를 통해서 usb에 넣는방법 외에

 

예전에 만능usb만들기라고 올라온게 있는데 아래 링크처럼 만능usb를 만들어서

히잌님 pe를 복사-붙여넣기로 넣어서 써도 되나요?

 

https://windowsforum.kr/index.php?mid=review&search_target=nick_name&search_keyword=%25%EC%B9%B4%EB%A6%AC%EC%8A%A4%EB%A7%88%EC%A1%B0%25&page=2&document_srl=11328089

 

https://windowsforum.kr/index.php?mid=review&search_target=nick_name&search_keyword=%25%EC%B9%B4%EB%A6%AC%EC%8A%A4%EB%A7%88%EC%A1%B0%25&page=2&document_srl=11327802

히이이잌

2020.02.22
19:27:27
rufus도 여러가지 방법의 하나일뿐 상관없습니다

두힘

2020.02.22
19:38:44

답변 감사합니다^^

개구리삼촌

2020.02.22
21:47:53

쪽지받고 다시왔습니다.알려주신 것..포함해서 정리해놓았습니다.세심함에....감사드립니다..정말로 감사드려요..

이어도

2020.02.22
22:04:05

54-1.jpg

 

54-2.jpg

 

54-3.jpg

 

 

54-9.jpg

안녕하세요~

업데이트 버전을 오늘 겨우 테스트 했습니다

노트북 실컴에서 지난 번과 동일한 테스트 결과입니다

 

이전 버전에서 만든 파티션제거 후 일사천리로 가다가 

BCD에서 막히네요~~

 

반복해서 해봐도 동일한 증상 입니다

멋진 작품이 안된다는 글 올리기가 송구하네요...

 

첨부 :
54-1.jpg [File Size:1000.9KB/Download0]
54-2.jpg [File Size:253.0KB/Download0]
54-3.jpg [File Size:790.3KB/Download0]
54-6.jpg [File Size:154.1KB/Download0]
54-9.jpg [File Size:157.3KB/Download0]

히이이잌

2020.02.22
22:35:15

01_설치_시작_BCD단계에서 일시정지.cmd

ERRORLEVEL=(숫자)

계속하려면 아무 키나 누르십시오라는 문구가 뜨면서 화면이 멈췄을때 사진을 찍어서 보여주세요.

 

저 오류가 실제로 발생하는 경우는 저도 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첨부 :
01_설치_시작_BCD단계에서 일시정지.cmd [File Size:94.6KB/Download10]
List of Articles
조회 추천
[공지] 스크린샷 업로드 유의사항 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