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 샷

제목 : [종료]Winbuilder와 PE 이야기1탄(기능편)

우인

안녕하십니까? 우인입니다

 

내용이 좀 있어서 바쁘신 분들은 패스 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지금까지 작업한 자료를 단계적으로 공유하려고 합니다 총 3종 [WinBuilder, PE(기본, 풀) 2종]

 

일전에 다시는 어떠한 자료도 공유를 하지않겠다고 했는데 방대한 작업을 하면서 너무나 많은 윈포 고수님들의 작품들을

적용하여서 완성 한거라 혼자만 사용하기엔 마음에 걸리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또한 Builder를 트윅하면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만든거라 혹시 저 처럼 나만의 Builder와 pe를 만들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자그마한 힌트를 드리고자 하는 의도도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자료실에 무심코 자료 1개를 올린부분도 있기에~~

워낙 많은 분들의 작품을 가져다 쓴지라 일일이 고수님들에게 허락의 말씀 올리지 못한점 양해하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번 머라숙여 감사드립니다.

딱 여기까지만 공유하겠으니 공유 기간안에 받아가시고 이 후에는 쪽지를 보내지 말기 바랍니다.

 

1) 제가 생각하는 pe는 1. 응급복구용, 2. 준 윈도우급일겁니다.

   물론 pe는 급할 때 치고 빠지는 응급복용(부팅속도 빠른)이 정답이맟을겁니다. 그러나 저의 컨셉은

   모든 기능및 유틸을 빵빵하게

   채워넣고 무거운 유틸을 제거하되 대안을 찿아 보자는 쪽으로 잡았습니다.

   즉 pe뼈대(WinBuilder)를 뚱뚱하게 만든다음 본인의 취향애 맟게 가감을 하면

   수만가지의 PE(가벼운것, 무거운것 등)가 만드어 질겁니다.

   제가 제공 하고자 하는 PE는 2가지입니다 1.PE_Defalt버전(1.82G) 2.PE_Full버전(3.67G)입니다.

   4G가 넘으면 VM에서 부팅이 안되네요

   그리고 제공하는 PE는 ADMIN PE이고 그래픽 드리이버를 자동으로 설치 하므로 부팅시간이 조금 더걸립니다

 

 2) 나만의 pe를 만들면서 왠만한 트윅은 어느 정도 해결 할 자신감이 생길 때 바이러스 문제가 생겼습니다.

    그 때 지서아빠님 WinBuilder강좌1,2,탄을 접하면서 스크립트 방식을 알게되었습니다. 

    단일 파일 방식이 아니라 빌더를 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 폴더라는 껍질안에 채우는 방식이 좋을 것 같은 생각에

    WinBuilder트윅을 하게되었습니다.

    지서아빠님에게 감사 인시올립니다. 따라서 기본 뼈대는 지서아빠님의 147-1버전입니다.

    

3) Wim파일의 트윅은 direct로 바꾸면 되는데 WinBuilder를 트윅하여 Wim파일의 트윅을 완성하는거라 

   생각해 볼게 많아졌습니다(숨김파일 등)     

   

4) 로켓독과 레인미가 기본으로 들어갑니다 따라서 어느 상황에서든 기본해상도(1920x1080)를 유지 하는 것이 

    중요하기때문에 무조건 자동으로 그래픽 드라이버가 설치됩니다. 아래는 제가 트윅 한 부분에 대한 내용입니다.

 

<수정 사항>

 

1)  230여개 정도의 Script파일 포함됨(모든 유틸 테스트 후 장상 동작 확인함)

2)  모든 유틸 최대한 최신버전 맟 한글판으로 교체

3)  테마변경화면 및 바탕화면(16개의 이미지) 교체

4)  시작아이콘 및 탐색기아이콘 및 분홍커서(Anathema Pink) 교체 일자 시간 분 초 작업표시줄에 추가

5)  바탕화면 우클릭에 속성 및 종료 메뉴 삭제 그리고 드라이버 추가설치(Tools), 모니터 연결, 데스크탑연필 및 테마변경메뉴 추가

6)  시작메뉴 교체(문서편집도구 및 가상키보드, 원격 데스크탑연결, 블루투스장치연결, 블루투스공유파일전송)

7)  시작 메뉴 모든 프로그램 알파벳 내림차순으로 정열됨

8)  wcs 스크립트파일을 레지등록하여 모든 wcs스크립트파일이 pecmd.exe와 연결구동 가능(가상키보드, bcdboot-gui)

9)  작업포시줄에  SpecialChar, sLaunch, 윈도우 파일 선택기v2.0, PowerRun 배치

10) RockDock 및 Rainmeter(종료 버튼 연결) 설치

11) RockDock에 보조런처 추가(간단한 Games 넣어둠)

12) Tools폴더에 driver폴더에 기본 하드드라이버가 있어서 부팅시 드라이버가 자동 설치됨 또한 필요한 드라이버를 추기로

     설치 하고자 한다면 압축 해제된 드라이버를 Tools폴더에 퐁당하고

     우클릭 메뉴의 드리이버 추가 설치를 클릭하면 추가 설치 가능 

     그리고 Tools폴더에 panther폴더 안에 unattend.xml를 넣어 두어 윈도우 설치 시 드라이버 및 계정을 선택하여 

     설치가능 하게함 (개인적으로 저는 자동보다는 반자동을 더욱 선호함)    

13) 그래픽 드라이버가 설치되면 해상도가 변겅되어 레인미터가 제자리를 잡지 못하여 

      RainRez툴을 이용하여 총 30개의 레이아웃(4096x2160~1024x600)으로 1:1매칭하여 해상도가 달라져도 제위치를 찿아감

14) 해상도변경은 신속한 변경을 위해 QuickChangeResolution툴로 교체함

15) WIM, ISO, VHD파일 우클릭에 각각의 다양한기능 추가

16) 휴대폰 테더링, Wife, 블루투스, 네트워크, 공유등 ..... 가능

17) Google최신버전(133.0.6943.127)및 즐겨찻기 교체, Edgi최신버전(133.0.3065.69)및 즐겨찻기 교체, 

     Mozilla Firefox Quantum ESR추가(최신버전, 즐겨찻기, ublock orgin자동설치)

18) Google chrome 다운 후 자동설치 기능 넣어 둠(offline 설치, ublock orgin 불러옴)

19) Opera브라우저 다운 후 설치 기능 넣어둠(offline 설치)

20) Auidio(Volume2및 Visualizer)

21) driver폴더 우클릭 메뉴에 선택한 드라이브에 백업, 디스크 오류 확인 및 수정, 디스크 섹터 점검 및 수정,

     드라이브 문자 변경, unlocker 추가

22) folder 우클릭 메뉴에 걍로 복사, (활성화/비활성화) 네트워크 공유 추가

23) pe에서 외부 실컴 및 usb에서 자료 불러오려면

     로켓독에 있는 내도구함을 클릭하면 Tools폴더가있는 루트를 찿아 내pe와 연결됨

     (우선순위 :  usb>루트 드라이브는 알파벳 내림차순)

     따라서 수많은 portable, 단일파일을 추가로 불러와 활용 가능함

24) 바이러스 검사에서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제 판단입니다)

 

빠진 부분도있겠지만 대충 이정도입니다 이번 글은 제1탄(기능편)이고 제2탄(유틸편)

제3탄(브라우저편) 제4탄(바이러스편)정도로 정리하고자합니다

윈포회원이 아닌분들을 배제하고 제노력(삽질)에대해 보상 차원에서 추천한분들에게만 보내드립니다

 

단 바이러스에 민감한분들 조금의 불이익도 용납하지앟는 사람들은 절대로 절대로 추천 하시지 말기 바랍니다.

저는 치매를 걱정해야하는 나이인지라 새로운 것에 머리를 쓰면 도움도 되고

잔머리 굴려서 미션을 성공할때의 성취감때문에 이렇게 작업하는것이지 무엇을 바라고 작업하는것이 아닙니다. 

 

요새 운동을 빡세게 해서인지 몸살끼가있어 해열제랑 쌍화탕 먹고 지금 독수리 타자치고 있습니다.

우선 테스트 차원으로 공유기간은 7일정도로 하겠습니다. 혹시 자료가 오지않으면 저에게 쪽지 보내시기 바랍니다.

 

원포회원들 환절기라 저처럼 몸살 걸리지마시고 건강하게 지내시기 바랍니다.

그럼 꾸벅~~^^

A.jpg

 

B.jpg

 

C.jpg

 

D.jpg

 

E.jpg

 

F.jpg

 

G.jpg

 

1.jpg

시작아이콘 교체,  탐색기아이콘 교체, 일자 시간 분 표시 추가

2.jpg

시작메뉴 교체(문서편집도구 및 가상키보드, 원격 데스크탑연결, 블루투스장치연결, 블루투스공유파일전송)

3.jpg

시작 메뉴 모든 프로그램 알파벳 내림차순으로 정열됨

4.jpg

작업표시줄에  SpecialChar, sLaunch, 윈도우 파일 선택기v2.0, PowerRun 배치

5.jpg

바탕화면 우클릭에 속성 및 종료 메뉴 삭제 그리고 드라이버 추가설치(Tools), 모니터 연결, 데스크탑연필 및 테마변경메뉴 추가

6.jpg

Tools폴더에 driver폴더에 기본 하드드라이버가 있어서 부팅시 드라이버가 자동 설치됨

또한 필요한 드라이버를 추기로 설치 하고자 한다면 압축 해제된 드라이버를 Tools폴더에 퐁당하고

우클릭 메뉴의 드리이버 추가 설치를 클릭하면 추가 설치 가능

7.jpg

Tools폴더에 driver폴더(기본 하드드라이버 있음) 따라서 부팅시 자동 설치됨

8.jpg

필요한 드라이버(예: 노트북 터치패드 드라이버등)를 추가로 설치 하고자 한다면

압축 해제된 드라이버를 Tools폴더에 퐁당하고 우클릭 메뉴의 드리이버 추가 설치를 클릭하면 추가 설치 가능

 
9.jpg

듀얼모니터 연결 

10.jpg

데스크탑 연필

11.jpg

RockDock에 보조런처 추가(간단한 Games 넣어둠)

12.jpg

 Rainmeter(종료 버튼 연결)

13.jpg

WIM파일 우클릭에 각각의 다양한기능 추가

14.jpg

ISO파일 우클릭에 각각의 다양한기능 추가

15.jpg

VHD파일 우클릭에 각각의 다양한기능 추가

16.jpg

Drive폴더 우클릭 메뉴에 선택한 드라이브에 백업, 디스크 오류 확인 및 수정, 디스크 섹터 점검 및 수정,

드라이브 문자 변경, unlocker 추가

17.jpg

드라이브 문자 변경

18.jpg

Folder 우클릭 메뉴에 경로 복사, (활성화/비활성화) 네트워크 공유 추가-->약갼의 기다림 필요

19.jpg

해상도변경은 신속한 변경을 위해 QuickChangeResolution툴로 교체함--->%초보님 덕분에 어떤 해상도에서도 항상

QuickChangeResolution툴이 정 가운데 자리잡는 방법을 알게됨 %초보님 감사 드립니다.

20.jpg

3840x2400해상도

21.jpg

PE에서 외부 실컴 및 USB에서 자료 불러올땐 내도구함을 클릭시 Tools폴더가있는 루트를 찿아 내pe와 연결됨

22.jpg

우선순위 :  USB>루트 드라이브는 알파벳 내림차순

23.jpg

갑자기 MTP기능이 안됨(고수님들이 보완해주세요)

24.jpg

USB테더링기능은 되네요

25.jpg

제 PE는 메모리를 많이 원합니다.

26.jpg

 

댓글 [507]

DREAMER

2025.03.09
22:22:31

수고하셨습니다.

독고리22

2025.03.10
14:55:10

감사합니다

sammy

2025.03.10
21:08:01

수고 많으셨습니다.

뇌신

2025.03.10
21:56:40

고맙습니다.^^

SUN™

2025.03.14
16:31:41

수고 많으셨습니다.^^

언제나초보

2025.03.15
08:23:52

수고하셨습니다....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alwaysoo

2025.03.15
23:43:03

수고하셨습니다

List of Articles
조회 추천
[공지] 스크린샷 업로드 유의사항 3
XE1.11.6 Layout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