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이번 n8n 1.88업데이트를 보고 느끼는 점이..
2025.04.12 08:08
점차 ai agent 통합의 시대가 열리고 있어요. 윈도우즈 포럼도 한발 더 너가서 AI포럼도 하나 만들어 지면 좋겠습니다.
매일매일 새로운 정보가 올라오니 따라가기도 벅찬 속도까지 발전을 하고 있어요.
회원님들도 표는 안내시지만 다들 ai에도 관심이 많으시겠죠?
윈도우즈 포럼이 몇일전 서버가 안들어가져서 화들짝 놀란 마음에 걱정이되어 한번 해보는 푸념입니다.
다들 화창한 주말 보내세요~
댓글 [1]
-
오호라7 2025.04.12 21:02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등록일 |
---|---|---|---|---|
[공지] | 자유 게시판 이용간 유의사항 (정치, 종교, 시사 게시물 자제) [1] | gooddew | - | - |
48605 | 내향성 vs 외향성 [1] | 수족냉증 | 384 | 04-17 |
48604 | 티카페 리뉴얼 된다더니.... [6] | 금난새 | 1356 | 04-16 |
48603 | 24H2 보안창 렉 걸리는것 한글 버전만... | 이슬 | 555 | 04-16 |
48602 | MS 개발자들 이해할 수 없네요. [6] | 오호라7 | 1098 | 04-16 |
48601 | 야구에 피치컴 [1] | asklee | 364 | 04-16 |
48600 | 바이두 자료는.. [9] | 깐지 | 816 | 04-16 |
48599 | 한국어 발음을 영어로 쓰기가,, [4] | Caneki | 951 | 04-15 |
48598 | 윈도우12 미리보기 [7] | toz21 | 1941 | 04-15 |
48597 | 30년전 가입한 종신보험 [8] | 번개 | 1407 | 04-14 |
48596 | 간밤에 눈이 내렸네요. [7] | 타나 | 1021 | 04-14 |
48595 | MassTube 언어 파일 [4] | 꽃동산 | 781 | 04-13 |
48594 | 500만원 짜리 사업자 강의 수준 [7] | FINAL | 1600 | 04-13 |
48593 | 카카오톡 업데이트 계속 에러가 나네요 [2] | 소소생 | 465 | 04-13 |
48592 | 신박한 휴대폰 벨소리 [8] | 오호라7 | 1278 | 04-13 |
48591 | 그래픽 카드가 가격이 매우 높은 하드웨어 네요.. [11] | 오늘을사는 | 1391 | 04-12 |
48590 | 오늘의 선곡... [4] | pc초보 | 454 | 04-12 |
48589 | 윈도우 12까지 존버가능할까요 [9] | 아빌로 | 1439 | 04-12 |
» | 이번 n8n 1.88업데이트를 보고 느끼는 점이.. [1] | kanra | 745 | 04-12 |
48587 | 윈포회원님들께.. [19] | 넥스트타인 | 1483 | 04-11 |
48586 | 오늘의 선곡.. [3] | pc초보 | 504 | 04-11 |
구글이 AI 개발도 하고 있지만, 경쟁 AI 개발 업체들 엔진을 ai agents로 묶어
아직 뒤처지는 자신들의 AI엔진 상용화의 부족함도 감추고 생태계 주도권을 쥐겠다는 잔머리라 봅니다.
사실 ai agents는 구글이 주도하지 않아도 각 AI API를 통해 앱 개발자들이 할 수 있는 영역이죠.
구글이 말하지 않은 숨은 의도는 월 사용료 과금입니다.
현재는 AI API는 성능을 조금 더 좋게 쓰려면 각 AI 엔진 업체에 직접 유료 계정 가입하면 되는데,
구글이 원하는건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앱을 설치하고 월정액을 내면 앱에서 AI 엔진들의 유료 사용을 가능하게 하겠다 이런 속셈 아닌가요?
즉, AI 기능을 앱으로 묶은 뒤, 플레이 스토어 구독 모델에 부과되는 통상 15%의 수수료를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구글 발표는 포장만 잘 된, '니들 AI 엔진을 개발자들 앱으로 묶어 사용료는 내가 걷고 수수료 뗀 후, 니들에게 쓴 만큼 나눠줄꼐' 입니다.
구글의 ai agents는 대단한 것도 아닐 뿐더러 경쟁 AI 개발 업체들 입장에선 '을'이 되라는 요구인데 얼마나 협조적일지는 두고 봐야죠.
저렇게 묶이면 수수료까지 떼야 하는 수익 구조상, 각자 경쟁일 때보다 무료 사용 제한도 더 심해져서
현재 무료 기능만으로 충분한 사용자들이 월정액을 내도록 압박받고 유도되는 상황으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이 것이 구글의 숨은 의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