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 다해본 AIO 를 이제사...
2023.03.19 15:09
윈포 회원님들은 진작에 많이 해보신것 같던데...
두어번 시도해 보기는 했지만
아직도 AIO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더군요. 참고용 AIO.7z
데쟈뷰폰트가 큼직하니 잘보이고 글꼴도 좋은데 영어로 해야 되는군요
AIO 디스크를 만들때 GPT형식 VHD 3~10기가짜리 만든후
파티션그루등의 파티션 프로그램으로
앞쪽에 10mb 정도의 ext4 (리눅스용) 파티션을 만들고 (나중에 숨김으로 설정)
뒤쪽은 NTFS로 만들고 그안에
AIO 파일들 풀어넣고 AIO_Boot_Extractor.exe 실행한후에
AIOCreator.exe 로 셑팅해 주면 되나 봅니다.
사진처럼 bootloaders 누른후 grub2 눌러주고 설정한후 테스트부트[QEMU] 로 부팅 테스트후에
버츄얼에 물려 테스트 해보면 되더군요.
저 사이트에서 받은 ~boot.wim 과 ~data.vhd는
AIO 폴더 속에 WinPE 폴더를 만들고 그안에 넣으라네요. AIO VHD 참고용 (비어있는것) AIOV3.7z
부팅후 잘 찾아 들어가면 있군요 AIO 에 대한 것은 설치기등에 설명들 많으니 참고 하시구요.
우연히 AIO에서 돌아간다는 PE가 있어서 버츄얼에 VHD디스크 하나를
AIO 방식으로 만들고 PE를 넣어 봤습니다.
기본 Wim 파일과 포터블프로가 들어있는 VHD로 서로 연결되게 해놓은것 같군요.
AIO 안에 WinPE 방에 넣고 찾아가서 부팅하게 해놨군요.
출처: 베트남 https://windowslite.net/aio-boot-win10pe-x64-usb-boot-cuu-ho-gon-nhe-cho-windows.html
사실은 이 AIO PE 가 재미있는것은 외부로 빼낸 Y:\ VHD 와의 연계로 변경된것의 일정부분 저장이 된다는것입니다.
레지에 기록되는것이 아닌것들은 저장이 되어 다음실행에도 유지 되더군요.
그리고 포터블앱도 인터넷서 받아서 Y:\ VHD 에 저장해서 다음번에 쓸수 있다는것도 재미있구요.
이런것이 이미 다른분들 PE 에서 구현된것 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저는 처음 접하는것이라 신기 하더군요.
심볼릭링크란게 있던데 그것을 멋지게 이용한것인지 잘모르겠네요.
고수님들이 어딘가에 구현설명을 해놨는데 제가 놓쳤는지도 모르겠습니다.
Y:\ 를 VHD 에 열리게하고 유저폴더 실핼파일폴더 바탕화면 테스크바 등의 폴더를 심볼릭등으로
X:\ 와 Y:\ 가 공유하게 한다 ... 인것인지.
아뭏든 재미있는 PE 로군요... 구운~님 koIME 한글화툴로 한글화도 어느정도 되는군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